본문 바로가기

◐ 수원특례시의 종합/*수원화성(기타 문화재 종합

수원문화원, 2023 정조대왕, 혜경궁홍씨 뽑는다 수원문화원, 2023 정조대왕, 혜경궁홍씨 뽑는다 ​ 9월 8일 오후 7시 2023 ‘정조대왕·혜경궁홍씨 선발대회’ 14일부터 25일까지 참가자 모집…홍보대사로 활동 예정 고륜형 기자 krh0830@kgnews.co.kr 등록 2023.08.10 06:26:13 ▲ ‘정조대왕·혜경궁홍씨 선발대회’ 포스터. (사진=수원문화원 제공) 수원문화원은 오는 9월 8일 오후 7시 수원 화성행궁 신풍루 앞에서 ‘2023 정조대왕·혜경궁홍씨 선발대회’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올해로 14회째를 맞는 ‘정조대왕·혜경궁홍씨 선발대회’는 수원문화원이 주최하고 수원특례시가 후원하는 행사로 수원화성을 축성한 조선 제22대 정조대왕의 효심과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숭고하고 온화한 성품을 이어 받고자 개최하는 수원시의 대표적인 .. 더보기
김영진, 역사문화환경 보존 범위 500m→200m 조정 추진 김영진, 역사문화환경 보존 범위 500m→200m 조정 추진 ​ 기자명 김재득 입력 2023.05.14 16:53 수정 2023.05.14 17:13 ​ 지정문화재가 도시지역 중 주거지역 및 상업지역 안에 위치한 경우에는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의 범위를 지정문화재의 외곽경계로부터 200미터 안으로 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 더불어민주당 김영진(수원병)의원은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문화재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고 14일 밝혔다. ​ 현행법에 따르면 시·도지사는 지정문화재의 역사문화환경 보호를 위하여 문화재청장과 협의하여 조례로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을 정하여야 한다. ​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의 범위는 원칙적으로 지정문화재의 가치와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그 외곽경계로부터 500.. 더보기
수원시,수원화성 가치 높이며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지역주민과 상생할 방안 모색 수원시,수원화성 가치 높이며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지역주민과 상생할 방안 모색 ​​​​​​​기사게재일: [2023-04-02] 전길헌 기자 ​ ​ ​ ​ ​ 수원시가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으로 지정돼 개발이 제한된 수원화성 주변 지역의 규제를 개선할 방안을 모색한다. ​ 수원시와 김영진(수원시병)·김승원(수원시갑) 의원은 3월 31일 수원화성박물관에서 ‘수원화성 가치 증진을 위한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 개선 정책토론회’를 열고, 수원화성의 가치를 보존하면서 지역주민과 상생할 방안을 논의했다. ​ 이날 토론회는 이재준 수원특례시장, 김영진·김승원 의원의 인사말, ‘수원화성 주변 도시관리 개선방안’을 주제로 한 이재수 ㈜디자인그룹 이상도시 소장의 발제, 토론으로 이어졌다. 채미옥 (사)연구그룹 미래세상 이사가 토론.. 더보기
김승원 수원 화성일대 건축제한 규제 풀어야.. 규제 완화 정책토론회- ( 김승원‧ 김영진 의원, 수원시 가 공동개최 한 수원화성 일대적용 건축규제 완화방안 공론의장...) 김승원 수원 화성일대 건축제한 규제 풀어야.. 규제 완화 정책토론회- ( 김승원‧ 김영진 의원, 수원시 가 공동개최 한 수원화성 일대적용 건축규제 완화방안 공론의장...) ​ “500m 현행 규제 과도, 수원 시민 뜻 반영 최선 다 할 것 입력 : 2023. 03.31(금) 20:27 수원/정재형 기자 ​ ​ ​ ​ [수원/정재형 기자] 31일 수원화성박물관서 김승원‧ 김영진 의원, 수원시 가 공동개최 한 수원화성 일대적용 건축규제 완화방안 공론의장은 관련 시민 300여명이 참석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 세계문화유산‘수원 화성’일대에 적용되고 있는 건축 고도 제한 등의 규제를 합리적으로 완화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공론화 장’으로 열린 이날 토론회는 김승원 국회의원이 중점 추진 중인 수원 화성 일.. 더보기
수원화성 축성 주역 '수원유수 조심태' 초상화, 230여 년 만에 발견됐다 수원화성 축성 주역 '수원유수 조심태' 초상화, 230여 년 만에 발견됐다 ​ 기자명정준성 기자 입력 2023.03.13 09:41수정 2023.03.13 09:44 ​ - 수원화성박물관 학예연구사 ‘이건희 컬렉션’ 수집품 검색 중 발견 - 문인초상일괄’에서 시복본(초본), ‘문신초상화첩’에서 시복본(채색) 등 두 점 발견 - 근엄한 얼굴에 매서운 눈매… 궁중 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 조심태 시복본(채색). [수원일보=정준성 기자] 수원화성 축성의 주역이면서 수원부유수(현재의 수원특례시장)를 지낸 조심태(趙心泰, 1740~1799)의 조선시대 초상화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 수원화성박물관 김세영 학예연구사는 오는 5월 개막 예정인 ‘수원유수부 승격 230주년 기념 전시’ 관련 자료 조사 과정에서 조심태의.. 더보기
(사)화성연구회, 2023년 3월 월례회의 개최​ (사)화성연구회, 2023년 3월 월례회의 개최 ​ 2023-03-12 오전 8:31:25김용헌 기자 yongheon716@hanmail.net ​ ​ 더보기
수원시, 수원화성지구단위계획구역 내 한옥 신·개축 공사비용 최대 1억 5000만원 지원 수원시, 수원화성지구단위계획구역 내 한옥 신·개축 공사비용 최대 1억 5000만원 지원 ​ 지용진 승인 2023.01.20 21:18 ​ 수원시, ‘2023년도 한옥 건축·수선비 지원 사업’ 참여자 공모 ▲ 수원시, 수원화성지구단위계획구역 내 한옥 신·개축 공사비용 최대 1억 5000만원 지원 ​ [수원=광교신문] 수원화성 지구단위계획구역 내에 한옥을 신·개축하면 최대 1억 5000만원까지 공사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 ​ 수원시가 수원화성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민간한옥 건축을 활성화하기 위해 ‘2023년도 한옥 건축·수선비 지원 사업’ 참여자를 공모한다. ​ 수원화성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한옥촉진 지역에서 한옥을 신·개축하면 공사비용의 50% 내에서 최대 1억 5000만원을, 한옥촉진 지역 외 신·개축은 .. 더보기
[홍성용의 건축美인탐구] 우연히 만들어진 건축이 형성한 도시 아이덴티티_산타페와 행궁동 [홍성용의 건축美인탐구] 우연히 만들어진 건축이 형성한 도시 아이덴티티_산타페와 행궁동 기사입력 2023-01-05 05:30:13 폰트크기 변경 미국 남부 뉴멕시코 산타페 마을 경관/ 사진 : 위키미디어 제공 ​ 건축을 보면 유명한 건축사들이 디자인한 경우도 있지만 불특정 다수, 일종의 지역적 특색의 건축이 만들어내는 도시경관이 있다. ​ 건축에서는 이를 지역건축(Vernacular)이라 하는데, 지역의 재료와 문화, 기술등이 어우러져 나타나며, 지역의 건축사 작품들 역시 이런 흐름에서 나타난다. 마치 작은 세포들이 모여 전체를 구성하듯, 하나하나의 건축들이 모여 도시이미지를 만들어내며 도시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 미국 남부 뉴멕시코의 산타페는 이런 지역적 특색이 강해 산타페 스타일 또는 부에블로 리.. 더보기
수원시 3개 공립박물관, 문체부 '공립박물관 평가' 3회연속 인증 수원시 3개 공립박물관, 문체부 '공립박물관 평가' 3회연속 인증 ​ 머니S 수원=김동우 기자|입력 : 2023.01.06 13:33 ​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95)] ‘수원 정체성’을 지키지 못한 북수원 개발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95)] ‘수원 정체성’을 지키지 못한 북수원 개발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11.07 06:00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더보기
‘2022 힐링폴링 수원화성’에 100만 관람객 찾았다 ‘2022 힐링폴링 수원화성’에 100만 관람객 찾았다 ​ 정준성 기자 승인 2022.10.25 10:31 ​ - 4개 가을 축제로 이뤄진 ‘2022 힐링폴링 수원화성’, 관람객 호응 속 대장정 마무리 - 4개 축제 : 수원화성 미디어아트쇼, 세계유산축전 수원화성, 제59회 수원화성문화제, 정조대왕능행차 공동재현 [수원일보=정준성 기자]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23일까지 한 달 여 동안 수원화성 일원에서 개최된 가을 축제 ‘2022 힐링폴링 수원화성’에 10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2022 힐링폴링 수원화성’은 수원화성 미디어아트쇼, 세계유산축전 수원화성, 제59회 수원화성문화제, 정조대왕능행차 공동재현 등 4개 가을 축제를 말한다. 제59회 수원화성문화제 드론 퍼포먼스. 창룡문..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93)] 수원도시계획 제3기 중점사업은 ‘동수원 건설’이었다-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93)] 수원도시계획 제3기 중점사업은 ‘동수원 건설’이었다-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박사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10.24 04:40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박사 경수산업도로 건설은 동수원 조성의 선결 과제 제3기 추진 토지구획정리사업 위치도. 경수산업도로 1공구는 파송지구, 2공구는 지만인계지구, 3공구는 권선지구에서 부담함으로써 당시 전체사업비 152억400만원 중 72.6%인 110억3800만원을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부담했다. (자료=수원시) 경기도청이 수원으로 이전한 1967년 10월 영등포구 시흥2동에서 수원공설운동장까지 이어지는 19.74㎞ 도로가 1973년 11월 21일 확장 개통됐다. 1970년대 말이 되자 수원은 29만272명이 거주하는 도시로 성..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91)] 1970년대 수원은 성장을 억제하는 도시계획이 추진됐다-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91)] 1970년대 수원은 성장을 억제하는 도시계획이 추진됐다-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10.10 02:50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1962년부터 추진한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효과로 1970년대가 되자 전쟁복구 단계를 넘어 산업입국을 향해 갔다. 따라서 대도시로의 집중과 무질서한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이 시행됐다. 1972년 8월 11일 도시계획도. 북쪽 광교산을 중심으로 그린벨트가 설정됐다. 경부고속도로를 넘어 용인시 구성면과 신갈저수지까지 수원도시계획구역으로 편입됐다. 삼성단지를 제외하고 공업지역이 해제됐다. (자료=수원시) 첫 번째 규제는 1971년 1월 19일 도시계획법을 개정해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제도.. 더보기
'정조 능행차' 그때처럼… 시민과 함께 재현 '정조 능행차' 그때처럼… 시민과 함께 재현 ​ 입력 2022-10-09 19:00수정 2022-10-10 21:44 유혜연기자 pi@kyeongin.com ​ ​ ​ ​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91)] 1970년대 수원은 성장을 억제하는 도시계획이 추진됐다-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91)] 1970년대 수원은 성장을 억제하는 도시계획이 추진됐다-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10.10 02:50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1962년부터 추진한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효과로 1970년대가 되자 전쟁복구 단계를 넘어 산업입국을 향해 갔다. 따라서 대도시로의 집중과 무질서한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이 시행됐다. 1972년 8월 11일 도시계획도. 북쪽 광교산을 중심으로 그린벨트가 설정됐다. 경부고속도로를 넘어 용인시 구성면과 신갈저수지까지 수원도시계획구역으로 편입됐다. 삼성단지를 제외하고 공업지역이 해제됐다. (자료=수원시) 첫 번째 규제는 1971년 1월 19일 도시계획법을 개정해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제.. 더보기
수원시의 대표 문화관광축제 '제59회 수원화성문화제'- 수원화성 연무대 국궁터 등에서 화려하고 장엄한 볼거리 문화 축제 펼쳐져​ 수원시의 대표 문화관광축제 '제59회 수원화성문화제'- 수원화성 연무대 국궁터 등에서 화려하고 장엄한 볼거리 문화 축제 펼쳐져​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90)] 수원의 그린벨트는 50년을 맞았다-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90)] 수원의 그린벨트는 50년을 맞았다-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10.03 04:45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자료=국토해양부) 수원에서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가 지정된 것은 수원도시계획 2기인 1972년 8월 11일이었다. 도시계획 재정비 때 도시계획에 반영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그린벨트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은 1962년부터다. 이 시기부터 세 차례에 걸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나라살림과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됐다. 농촌 사람들은 새로운 일터를 찾아 도시로 모여 들기 시작했다. ​ 이로 인해 도시의 인구는 팽창했다. 서울시의 경우 해방 전만해도 100만 명을 넘지 못하던 것이 1972년에는 600만 명이 됐다. .. 더보기
'형형색색' 빛으로 물든 수원화성의 밤 '형형색색' 빛으로 물든 수원화성의 밤 ​ 입력 2022-09-25 19:10수정 2022-09-25 20:45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 ​ ​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89)] 수원시 본격 도시계획은 경기도청 수원이전 때부터 시작됐다-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89)] 수원시 본격 도시계획은 경기도청 수원이전 때부터 시작됐다-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09.26 04:15 ​ 좋아요공감 공유하기 통계 게시글 관리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88)] 도시 발전은 도시계획으로부터 시작된다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88)] 도시 발전은 도시계획으로부터 시작된다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09.19 06:00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수원의 1기 도시계획(일제강점기 ~ 경기도청 이전까지) 1961년 수원시도시계획 재정비계획도(1기 도시계획). 일제강점기에 수립한 내용을 보완한 계획으로 해방이후 수원시가 만든 최초의 도시계획도이다. 경기도의 반려로 법적인 계획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자료=수원시) 도시계획은 하나의 도시를 성장시킨다. 도시계획은 ‘도시의 청사진’이라는 말로 표현하기도 한다. 청사진은 무엇인가. 대형복사기가 나오기 전까지 각종 계획도면이나 설계도를 청사진으로 인화해서 만들었다. 그리하여 청사진 하면 도시계획이라는 표현이 .. 더보기
화성시문화재단, ‘왕의 행렬단’ 정조대왕과 함께 융건릉으로 화성시문화재단, ‘왕의 행렬단’ 정조대왕과 함께 융건릉으로 ​ ‘정조대왕 능행차 재현 행사에 참가할 주요배역 11인 및 백성 행렬단 참가 시민 모집 백평인 기자 등록 2022.09.15 16:41:13 ​ ​ [경기경제신문] 화성시문화재단은 10월 8일과 9일 이틀간 ‘2022 정조 효 문화제’와 ‘정조대왕 능행차 재현’ 행사를 진행한다. ​ 앞서 축제의 주요 프로그램인 재현 행사에 함께할 주요배역 11인과 백성 행렬단의 시민 참가자를 모집한다. ​ 화성시 대표 역사문화축제인 이번 행사는 역사적 고증에 따른 재현 프로그램인 ‘영우원 천장’과 ‘정조대왕 능행차’ 재현이 주요 프로그램으로 1789년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현재 융건릉으로 옮긴 ‘장헌세자영우원천봉의궤’를 기반으로 재현되는 ‘영우원 천장.. 더보기
[김우영 광교칼럼] ‘수원천 개울치기’는 또 하나의 지역축제가 됐다- 김우영 논설위원 / 시인 [김우영 광교칼럼] ‘수원천 개울치기’는 또 하나의 지역축제가 됐다- 김우영 논설위원 / 시인 ​ 김우영 논설위원 ​ 승인 2022.09.06 09:15 ​ 김우영 논설위원 / 시인 '2022 수원천 개울치기’ 행사 모습. (사진=김우영 필자) ​ 지난 2017년부터 시작된 ‘수원천 개울치기’ 행사를 나는 한 번도 가보지 못했다. 아마도 내심 이 행사를 무시하고 있었을 것이다. 그저 흉내에 불과한 ‘행사를 위한 행사’라는 인식이 있었던가. ​ 그러다가 올해 9월 3일 수원천 개울치기에 가봐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김봉식 신임 수원문화원장의 열정에 박수라도 보태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그리고 행사가 끝나면 인근 지동 순대타운에 가서 김준기 수원시인협회 회장과 순대국밥이나 한 그릇씩 할 생각이었다. ​ 그런데..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85)] 조선시대 건축 관련 제도는 어떠했을까-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85)] 조선시대 건축 관련 제도는 어떠했을까-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08.29 06:00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1960년대 남창동사무소로 활용된 옛 양성관 가옥. (사진=수원시) 조선은 전통사회로서 왕권을 중심으로 엄격한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집에 대한 제반사항을 법으로 마련했다. 조선의 주거 정책은 신분이상의 집을 짓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기본이었다. 조선시대 가대제도(家垈制度, 대지와 건물제도)는 어떠했을까. ​ 조선시대 도성(都城)내의 토지정책은 기본적으로 국유제를 바탕으로 했다. 토지는 국가소유로 했고 집은 사유를 인정했다. 집터 사용료로 가기세(家基稅)를 징수했다. 토지사용 희망자는 한성부에 신청해 사용했다...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83)] 해방이후 1950년대까지 수원재래시장의 변화-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83)] 해방이후 1950년대까지 수원재래시장의 변화-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08.15 06:05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1955년 당시 수원의 주요 시장분포도, 북수동의 가축시장, 성밖의 영동시장, 매산시장이 표기되어있다. (자료=수원시사) 우리나라에서는 시장을 ‘저자’, ‘장시(場市)’, ‘장마당’ 등으로 불렀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시장을 “여러 가지 상품을 사고 파는 일정한 장소”, “상품으로서의 재화와 서비스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추상적인 영역”으로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시장은 우리가 사는 동네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재래시장을 들 수 있다. 재래시장은 사전적으로 “예전부터 있어 오던 시장을 백화점 따위의 물건 판..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82)] 일제강점기 수원 장시(場市)의 변화-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82)] 일제강점기 수원 장시(場市)의 변화-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08.01 05:05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1930년대 수원역앞의 모습. (사진=수원박물관) 신읍조성 초기 활성화 방안으로 형성된 장시는 십자로 주변의 시전과 ‘북문밖장’ · ‘남문밖장’이 형성됐다. 북문밖장은 19세기 중반에 소멸돼 성내 시전에 통합됐다. 1894년 제작된 수원부읍지(水原府邑誌)인 ‘기전영지’(畿甸營誌)에 남문외장이 남암문 밖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성 안 장은 1904년 새로 신설됐다. 매달 9일, 19일, 29일에 섰고, 성 밖 장은 4일, 14일, 24일이었다. 5일장이 된 셈이다. ​ 수원 주변은 평야지로 형성돼 있어 이곳에서..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81)] 수원 신읍 활성화 방안은 상업도시 발판이 됐다-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81)] 수원 신읍 활성화 방안은 상업도시 발판이 됐다-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출처 : 수원일보(http://www.suwonilbo.kr)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07.25 04:20 ​ ​ ​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80)] 50년 전 수원 이야기(2)-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80)] 50년 전 수원 이야기(2)-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07.18 06:00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화성안에서 전통의 모습이 사라진 이야기 1907년 화성안의 모습. 독일인 헤르만산더가 한국여행중 동남각루에서 장안문 방향의 모습을 찍은 사진이다. 멀리 장안문과 화홍문이 보인다. 사진에는 초가집만 보인다. (사진=화성박물관) 오늘날의 수원은 1789년 7월 11일 어전회의에서 사도세자의 묘 이장과 구읍의 이주사업이 결정되면서부터 시작됐다. 그해 7월 15일 구읍의 이주가 시작돼 10월 7일 사도세자의 묘가 이장됐다. 신읍인 오늘날의 수원은 구읍의 이주로 시작됐으나 도시의 모습을 갖추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 ..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77)] 수원화성은 천주교도들이 피 흘린 순교성지이다(2)-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77)] 수원화성은 천주교도들이 피 흘린 순교성지이다(2)-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06.27 04:45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화성행궁과 이아 모습. 왼쪽은 화성행궁, 오른쪽 하단이 판관이 근무하던 이아(貳衙) 이다. (자료=화성박물관) ​ 수원지역에서는 천주교 박해가 극심했다. 이는 화성건설과 관련이 있었다. 1789년 현륭원이 조성되고 신읍이 건설되자 조정에서는 수원에 성곽을 축조해야한다는 여론이 일었다. 정조는 화성건설에 앞서 1793년 수원부를 화성유수부로 승격했다. 화성건설이 완료되자 인근의 5읍(용인·진위·안산·시흥·과천)을 화성유수부의 속읍으로 귀속시켰다. ​ 총융청(摠戎廳) 산하의 중영(中營)은 장용외영(壯..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76)] 수원화성은 천주교도들이 피 흘린 순교성지이다(1)-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76)] 수원화성은 천주교도들이 피 흘린 순교성지이다(1)-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06.20 03:30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방화수류정 천장의 십자가 모습. 정약용이 설계하고 중 굉흠이 공사를 담당했다. (사진=김충영 필자) ​ 우리나라에 천주교가 들어오게 된 배경엔 마태오릿치 신부가 쓴 ‘천주실의’가 있었다. 유교의 부족한 점을 보충해 줄 수 있다는 '보유론(補儒論)'은 진리를 목말라하던 소수의 실학자들을 매료시켰다. 그러나 17세기까지는 지식과 사회문화운동의 대상이었을 뿐 실천적 신앙의 대상은 아니었다. ​ 건국 이래 조선의 지도 이념이었던 주자학이 18세기 후반에는 그 긍정적 역할을 상실해 가고 있었다. 이에 지.. 더보기
[김충영 수원현미경(75)] 화성을 만든 이들을 기린다-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김충영 수원현미경(75)] 화성을 만든 이들을 기린다-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 김충영 논설위원 승인 2022.06.13 05:50 ​ 김충영 논설위원 / 도시계획학 박사 화성을 만든 장인 명패 시안. 왼쪽부터 김자근노미, 노차돌, 권수대, 김개노미, 전광세, 김자근노미, 쇠고치. (자료=김충영 필자) ​ 세계문화유산 화성은 누구의 작품일까? 수원화성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정조대왕이다. 정조는 사도세자와 혜경궁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0살이 되던 해 아버지 사도세자의 비참한 죽음을 지켜봐야 했다. 24세에 대리청정을 시작했다. ​ 이어 1776년 조선 제22대 임금으로 즉위했지만 1786년(정조10년) 문효세자의 죽음으로 후사가 사라졌다. 1789년 7월 11일 임금의 고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