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중인 지방행정체제 개편과 관련, 수원·화성·오산 통합이 사실상 무산됐다.

3개 시와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이하 개편위)에 따르면 지난 8일 오후 서울시 중구 퇴계로에 위치한 개편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16차 본위원회 임시회'에서 위원장을 제외한 참석위원 21명 중 통합 찬성 인원이 반을 넘지 못해 3개시 통합안이 부결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개편위가 자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수원과 오산시 주민들은 통합에 대해 60%가 넘는 찬성 입장을 보였으나 화성은 찬성이 40% 중반에 머물러 이날 통합 건을 거수표결에 부쳤으며 결국 부결됐다.

개편위는 이번 결과에 대해 12일까지 행정안전부와 청와대에 보고할 예정이며, 원구성이 끝나는 대로 국회에도 보고할 계획이다. 일반에는 이달안에 공개된다.

수원시는 즉각 아쉽다는 입장을 보였다. 수원시 관계자는 "수원과 오산 주민들이 통합에 적극 찬성 의사를 밝혔음에도, 화성 주민들과 일부 개편위원들이 반대해 무척 아쉽다"며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통합은 어렵게 됐지만, 주민투표를 통해 자체적으로 통합하려는 청주와 청원의 사례처럼 수원도 주민투표를 할 수 있을 때까지 통합 관련 업무를 계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화성은 통합 무산에 적극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화성시 관계자는 "지방자치는 적정한 면적과 적당한 주민수가 담보돼야 하는데, 3개시가 통합되면 면적은 서울의 1.5배 가까이 되고, 인구수도 180만이 넘어 1개 시장이 주민들과 소통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오산은 중립적인 태도를 보였다. 오산시 관계자는 "개편위의 결과 공개와 3개시가 공동 발주한 통합 관련 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입장을 정리해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오용화·김학석·김선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