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신공항 ‘혁신’ 참고서] 4-1. 경기국제공항 ‘공론화’, 민선 8기 반환점 돌다
- 김현우 기자
- 승인 2024.06.19 18:19
- 수정 2024.06.19 18:25
▲ 오스트리아를 유럽의 중심 경제권으로 도약하게 한 빈 국제공항은 갈등 해소를 위해 정부, 지방자치단체, 정계, 시민사회단체, 학계 등이 ‘미디에이션’으로 불리는 공론화를 실행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친환경 운영 시스템의 효과 등을 꾸준히 사회에 보고해 주민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 사진은 인천일보가 제공 받은 자료. /김철빈기자 narodo@incheonilbo.com
약 5년 동안 경기지역의 뜨거운 감자였던 신공항 건설 방안이 민선 8기에서 본격적인 ‘공론화’ 정책을 맞이하게 됐다. 이에 따라 사업 타당성을 확보하고, 정부 상위계획 반영할 수 있는 근거 마련에 동력이 제공될 전망이다.
19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는 올해 초 ‘경기국제공항 유치 도민 숙의‧공론 조사계획’을 수립, 추진과 관련한 각종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우선 도는 도민 의견을 토대로 경기국제공항의 형태를 정립하기로 했다. 이에 4월 공론화 운영 방식을 설계했으며, 지난달은 전문 기관에 맡겨 도민 3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오는 22일에는 핵심 절차라 할 수 있는 토론회가 화성 정남면 소재 기업 연수원에서 개최된다. 200명의 ‘도민참여단’이 핵심 토론자로, 전문가 그룹이 함께 포함돼 체계적인 논의가 가능하도록 했다.
전문가 발표, 분임토의, 질의응답, 자유 토의, 설문조사 등 순서가 예정됐다.
해당 참여단은 자발적으로 희망한 도민을 지역‧연령별로 안배해 구성됐다. 당일 현장에서 공항에 대한 도민들의 생각은 물론, 시설과 기능 등 측면에서의 많은 요구사항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도는 7월 결과보고회를 열고 도민 의견을 향후 국토교통부에 제출할 ‘제7차 공항개발종합계획(2026~2030)’ 건의서에 반영할 방침이다.
도민이 경기국제공항을 직접 설계하는 셈이다. 현재 경기국제공항은 ▲지역경제 활성화 ▲인프라 구축 ▲화물 수출 거점 ▲반도체 산업 ▲관광객 유도 ▲친환경(탄소중립) 운영 등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다.
또 경기국제공항에 대한 공감대 확산과 정책적 신뢰를 높이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8월에는 경기국제공항 건설 필요성과 항공 수요 등 여건 및 여객‧산업‧물류‧교통‧관광‧환경 등을 아우른 최적의 개발계획을 분석한 연구용역이 완료된다. 특히 용역 복수(複數) 후보지를 제시하게 되는데, 시·군이 직접 유치신청을 해야 사업의 기초가 완성된다. 경기국제공항 유력 후보지로는 2019년 이후 일부 주민단체와 경제인단체의 제안으로 화성 화옹지구(간척지)가 거론돼왔다.
해당 장소는 앞서 2017년 정부가 수원‧화성 일대 군공항의 새로운 입지인 예비이전후보지로 지정한 바 있다. 하지만 주민 찬‧반이 엇갈리면서 도는 후보지를 ‘백지상태’에서 점검하기로 했다. 공론화를 통해 갈등을 해소하고, 공정한 방향성을 정하겠다는 원칙도 세웠다.
김동연 지사의 공약 중 하나인 경기국제공항은 2023년 1월 전담 조직인 ‘경기국제공항 추진단’ 신설로 시작해 자문위원회 구성, 전문 세미나‧포럼과 국회 협력 토론회 개최 등의 단계를 밟았다. 이런 노력이 민선 8기 2주년이 다가온 현재 반환점에 도달했다.
이와 별도로 군공항 이전과 연계한 경기국제공항을 요구해온 수원시도 26일 수원 호매실 빛누리아트홀에서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공론화에 나선다. 이날 수원‧화성 소음피해지역 주민 400여명과 전문가 그룹, 수원시의회 의원 등이 심층적인 대안을 찾기로 했다.
수원시 주민 A씨는 “민선 7기에선 도가 공항 현안에 무관심했으나, 8기 들어서 도민과 함께 좋은 방향으로 조정해 나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수도권 지역신문 열독률 1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