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실률 상승했지만, 상업용부동산 인기 여전
최종수정 2017.07.26 11:00 기사입력 2017.07.26
한국감정원,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 발표
![]() |
[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한국감정원이 전국 상업용부동산에 대해 올 2분기 임대시장 동향을 조사한 결과 오피스 공실률이 전분기 대비 상승해 12.4%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수출·투자 중심 경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오피스 공급이 지속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소형 빌딩 등에 대한 투자 관심이 이어져 투자수익률은 전분기 대비 0.07%포인트 상승한 1.62%를 기록했다.
상가의 경우 공실률이 중대형 상가는 9.6%, 소규모 상가는 4.1%로 소폭 상승했다. 소비 심리 개선에도 불구하고 내수 회복세 이어지지 않은데다, 중국인 관광객 감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임대료의 경우 강보합세를 유지했다. 오피스는 보합, 중대형 상가는 전분기 대비 0.1% 상승, 소규모 및 집합상가는 보합을 나타냈다. 전국 평균 임대료는 오피스가 1㎡당 17만3000원, 상가(1층 기준)는 중대형이 29만6000원, 집합상가가 28만6000원, 소규모 상가가 21만4000원 순으로 나타났다.
오피스 및 상가의 투자수익률은 전분기 대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공실증가로 인해 소득수익률 하락에도 불구하고 상업 및 업무용 부동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이어진 영향으로 보인다. 오피스는 전분기 대비 0.07%p 상승한 1.62%, 중대형 상가는 0.15%p 상승한 1.68%, 소규모 상가는 0.17%p 상승한 1.58%, 집합 상가는 0.02%p 상승한 1.58%로 나타났다.
자본수익률은 오피스 0.45%, 중대형 상가 0.53%, 소규모 상가 0.56%, 집합 상가 0.34%를 기록했다. 저금리로 인한 중소형 빌딩 등 수익형 부동산에 대한 투자수요가 유입되며 가산가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잇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서울은 오피스 공실률이 전분기 대비 1.5%p 상승한 11.3%로 나타났다. 오피스 공급 증가와 기업 이전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또 중국인 관광객이 주로 찾는 관광지 상권인 서울 명동 및 강남, 제주 등의 임대가격지수는 관광객 감소로 인해 모두 하락했다. 서울 명동이 0.04% 하락, 강남이 1.5% 하락, 제주가 0.2% 하락으로 조사됐다.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정보는 매분기 조사·발표하고 있으며,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국토교통통계누리(stat.molit.go.kr),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kr),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경제.부동산의 칸 .. > *주상복합.오피스.도시형.빌라.원룸.다세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깊게보기] 수익형 부동산 투자도 과학 접목해야 (0) | 2017.09.26 |
---|---|
8.2 부동산대책 이후… 오피스텔 투자 최적지는? (0) | 2017.08.09 |
수원 오피스텔, 용도변경 무시한채 불법 운영 수두룩 (0) | 2017.06.22 |
‘건축주 민원 우려’ 시의회 딴지… 수원시 주차난 해소 ‘가시밭길’주차장 조례 일부개정안 (0) | 2017.06.15 |
주택시장 주춤, 오피스텔·상가 반사 이익 (0) | 2017.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