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추적]광교 신청사 건립 '만만찮은' 현실(해설)
경기도, 규모 축소·순차적 이전 등 해결책 고민중
사업 감축 현실적 대안이지만 광교주민 반발 부담
소방재난본부 등 現청사 입주율 늘리는 방안 검토
김태성·이경진 lkj@kyeongin.com 2014년 11월 19일 수요일 제3면
댓글 0단축url지면보기 폰트
▲ 경기도가 광교신도시로 청사 이전을 추진하면서 현 청사의 활용방안으로 산하기관 입주를 계획 중이다. 사진은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에 위치한 경기도청사. /하태황기자
경기도의 재정난 때문에 보류됐던 광교신청사 이전 작업은 남경필 경기지사 취임 이후 본격화됐다. 추경에 설계비 11억원이 반영되면서 신청사 건립도 탄탄대로를 걸었다.
하지만 신청사 건립이 구체화된 후 현청사 활용 방안과 재원확보 문제가 맞물리면서 경기도를 다시 고민에 빠지게 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신청사에 대한 기존 건축 계획도 상당부분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 광교신청사 건립은
= 도는 오는 2018년까지 수원 광교신도시내 공공청사 4-1블록 5만9천㎡ 부지에 연면적 11만1천139㎡ 규모로 4천273억원을 투입해 신청사를 완공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건물보다 사람을 먼저 생각해 건립하겠다'는 남 지사의 생각을 반영해 줄이고·나누고·공유하는 개방·소통의 청사로 거듭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한 상태다.
도의 계획대로라면 내년 상반기까지 설계를 완료하고 시공업체 선정과 행정절차를 마무리해 이르면 내년 하반기쯤 착공에 들어간다. 광교신청사는 도청은 물론, 도의회·재난안전본부 등 3개 동(棟)으로 지어진다. 사업비는 설계비 130억원, 공사비 2천716억원, 토지비 1천427억원 등이다.
■ 청사 이전, 딜레마는
= 당장 현(現)청사 활용과 재원 확보가 문제다. 도청 이전후 현 청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산하 기관 이전이 필수다. 하지만 도의 검토 결과 26개 산하 기관중 이전이 가능한 기관은 불과 9개뿐이다.
당초 이전이 고려됐던 도농업기술원 등은 이전 비용이 과다하다. 또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등은 광교테크노밸리를 구성하고 있어 이전에 따른 효과보다 부작용이 크다.
재원 마련도 어렵다. 도는 "도민 세금 안쓰고, 부담을 안주겠다"며 신청사 건립 비용을 도의 가용재원이 아닌 도유지와 현 청사 이전 기관의 소유 부동산으로 해결하려 했다. 그러나 대형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없어 이를 매각하는 작업 전망도 흐리다.
게다가 공시지가 가격으로 이를 책정하면 당초 도가 생각했던 매각 대금보다 900억여원이 부족한 1천800억여원에 불과하다. 그렇다고 별도의 예산을 들일 경우 도의 재정 부담이 우려된다.
■ 해결 방안은 없나
= 현실적 대안은 신청사의 규모 조정이다. 하지만 광교신도시 주민 반발 등의 부담이 있다. 도는 이에 대안 마련을 위한 다각적인 검토를 진행중이다.
소방재난본부 등을 현청사에 입주시켜 현청사 활용률을 높이면서 신청사 규모를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도의회의 이전을 계획보다 늦추는 등 순차적 이전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 지난달 국회 국토교통위원회가 진행한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이우현(새·용인갑) 의원은 "정부도 서울과 세종 두 곳에 청사가 있는데, 도의회와 소방상황실을 한번에 이전할 필요가 있나? 재정 여건을 감안해 차차 이전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김태성·이경진기자
<저작권자 ⓒ 경인일보 (http://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역_서울 경기 및 지방의 종합 > ⋁경기도 소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공기업 부채비율 해마다 늘어 (0) | 2014.11.21 |
---|---|
경기도민이 낸 세금인데...교부세는 공무원수로? '황당' (0) | 2014.11.21 |
사회부지사 8명 지원 공모 마감...새 인물은 없었다 (0) | 2014.11.18 |
경기도, 8개 市 순회 '4050 재취업 지원' 특강 (0) | 2014.11.18 |
'남경필 싱크탱크' 임해규, 분도론 긍정?…南과 시각차 (0) | 201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