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부동산의 칸 ../*❾부동산.일반.종합

트윗에 담긴 메시지…부동산과 대선공약

트윗에 담긴 메시지…부동산과 대선공약

[리프레임 코리아-국민이 잘사는 나라]부유층

머니투데이 세종=박재범 기자 |입력 : 2014.01.02 05:59
image

'현재에 대한 답답함과 미래에 대한 걱정'
'불경기·양극화·가계빚' 등을 키워드로 한 트윗에 담긴 의미다. 트윗 건수, 언급된 주요 단어 등에 국한되지 않은 내용이 시사하는 바가 적잖다.

이번 분석 작업 곳곳에 등장한 '부동산'이 그렇다. 부동산은 불경기, 양극화, 가계빚의 주요 키워드였다. 경기 침체와 부동산 침체, 자산 가격 상승이 불러온 양극화, 주택담보대출과 전세값 급등이 낳은 가계빚…. 부동산을 둘러싼 걱정과 비판이 대부분이다. 노출도가 높은 영향력있는 트윗의 내용을 봐도 '부동산 정책'이 양극화와 가계 부채를 관통했다.

정부와 KDI(한국개발연구원)가 공동으로 교수와 연구원, 기업인 등 소위 전문가집단 291명과 일반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복수응답 허용)도 이를 뒷받침한다. 새해 부동산시장 정상화가 가장 시급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일반 국민 응답자 중 24.5%였다. 반면 전문가집단은 15.5%만이 부동산시장 정상화가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일반 여론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민감도와 체감도가 생각보다 크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SNS의 속성상 정부에 대한 비판적 내용이 주를 이룰 것이란 선입견이 있었지만 실제는 달랐다. 실제 조세제도 관련 트윗의 경우 '서민 증세'에 대한 비판과 함께 복지 국가로 가기 위한 증세의 불가피성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또 대선 공약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가계 부담 요인 키워드로 삼았던 의료비와 노후비는 대선 공약과 맞물리며 급증한 사례다. 의료비는 4대 중증 질환 보장 공약 후퇴, 노후비는 기초노령연금 공약 후퇴가 트윗 수 증가로 이어졌다.

특히 공약 후퇴가 미래에 대한 걱정으로 이어졌다는 게 이채롭다. 의료비의 경우 의료 민영화 우려 트윗까지 연결됐다. '공약 후퇴→의료비 부담 증가→의료 민영화'의 연상 작용을 일으킨다는 얘기다. 기초노령연금도 국민연금을 매개로 미래세대 부담으로 이어졌다.

☞ 2014 머니투데이 신년기획 '리프레임 코리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