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부동산의 칸 ../*아파트.단독.주거포함_종합

도내 일부 노후 건축물 ‘붕괴 위험’소방방재청 ‘재난위험시설 현황’ 분석결과…2010년比 올해 400% 급증 대책 시급

도내 일부 노후 건축물 ‘붕괴 위험’소방방재청 ‘재난위험시설 현황’ 분석결과…2010년比 올해 400% 급증 대책 시급
강해인 기자  |  hikang@kyeonggi.com

경기도 내 재래시장, 아파트·건축공사장 등 일부 노후 건축물이 붕괴위험에 노출돼 보수·보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전등평가결과, 재난 발생 위험이 심각한 문제가 있는 시설물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2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새누리당 고희선 의원(화성갑)이 소방방재청이 제출한 ‘재난위험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즉시 보수·보강이나 사용 및 주거제한을 요할 정도로 재난발생 위험이 높은 시설은 전국적으로 2010년 658개소에서 올해는 1천42개소로 증가했다.

이중 경기도는 2010년 34개소에서 지난해는 124개소, 올해는 137개소로 증가했다. 이는 2010년에 비해 올해 재난위험 시설이 400% 이상 증가한 것이고, 지난해에 비해서도 9.1%가 늘어났다.

연도별로는 2010년에 즉시 보수·보강이 필요한 D등급 33개소와 사용 금지인 E등급 시설 1개소 등 총 34개소에서 지난해는 124개소(D등급 121개소, E등급 3개소)였고, 올해는 137개소(D등급 135개소, E등급 2개소)였다.

특히, 성남시 태평동 소재 J시장과 부천시 오정구 원종동에 있는 D 아파트 등은 노후화가 심각해 철거 또는 재건축을 해야 하는 E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D급 판정을 받은 수원시 매탄동의 T 연립주택은 노후화로 벽체가 균열했고 남창동 소재 A 주택옹벽은 옹벽이 기울어져 붕괴위험이 우려돼 보수보강이 요구되고 있다.

도내 시·군별로는 부천시가 59개소로 가장 많고, 이어 안양(31개소), 의왕(15개소), 수원시(9개소) 순이었다.

시설물별로는 노후아파트가 전체 절반을 훨씬 넘는 85개소를 차지했고, 연립주택(36개소), 옹벽석축(5개소) 등이었고, 교량(4개소)과 공공청사 1곳도 포함됐다.

인천의 경우 더 심각해 재난위험시설 129개소 가운데 사용을 금지해야 하는 E등급 시설이 54개소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 의원은 “안전관리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재난위험시설이 전국적으로 천여 곳이 넘는 실정”이라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각 지자체와 해당 기관의 안전점검과 보수·보강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 저작권자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