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임대주택 3가구 중 1가구가 경기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부 시·군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주택은 서민들의 내 집 마련에 기여하고 있지만, 일부 지역의 편중현상은 자칫 관리부실로 인한 슬럼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각 지역에 고루 분포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LH(한국 토지주택공사)가 9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이노근 의원(새)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전국의 임대주택은 총 65만8천709 가구이며, 이중 30.9%인 20만3천688가구가 경기지역에 위치해 있다. 이는 서울이 4만5천411가구인 것에 비하면 무려 4.5배 많은 것이다. 도내 임대주택 중 국민임대가 13만9천694가구(68.6%)로 가장 많았으며, 영구임대 1만9천664가구(9.7%), 전세임대 1만2천109가구(5.9%) 순으로 조사됐다.
도내 20만3천688가구 건설 서울비해 무려 4.5배나 많아
파주·용인등8개시1만가구↑ 관리부실땐자칫슬럼화우려
시·군별로는 파주가 1만8천50가구로 가장 많았고, 용인(1만7천541가구)·화성(1만5천817가구)·수원(1만4천784가구)·성남(1만4천698가구)·고양(1만3천706가구)·김포(1만2천34가구)·오산(1만251가구) 등 8개 지자체가 1만 가구가 넘었다.★도표 참조
전국 임대주택 순위에서도 파주가 1위였으며, 용인 3위, 화성 4위, 수원 6위, 성남 7위, 고양 8위, 김포 10위 등 도내 7개 시가 전국 상위권 10위내에 포함될 정도로 도내 일부 지역에 임대주택이 집중됐다.
이에 비해 과천·여주·양평은 임대주택이 한 가구도 없으며, 안성·구리·광주·연천·가평 등 8개 지자체는 1천 가구 이하로 조사되는 등 시·군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의 경우, 3만7천94가구의 임대주택이 있으며, 국민임대가 1만8천260가구로 49.22%를 차지했다. 영구임대는 6천54가구(16.3%), 전세임대는 5천587가구(15.1%) 등이었다.
기초지자체 중에는 남동구에 전체의 41.8%인 1만5천515가구가 위치해 있으며, 부평구에도 6천766가구(18.2%)가 있어 양 지자체에 전체의 60%가 집중돼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구 2천816가구, 연수구 2천287가구, 계양구 2천78가구 등으로 그 뒤를 이은 반면 강화군 등에는 임대주택이 한 가구도 없어 대조를 보였다.
이 의원은 “임대주택이 너무 한 곳에 집중돼 있으면 자칫 관리부실로 인한 슬럼화가 될 우려가 있다”면서 “각 지역에 고루 분포해 슬럼화도 막고 임대주택에 대한 혜택도 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재민기자 jmkim@kyeonggi.com
< 저작권자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