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매교 생활형숙박시설

[왜냐면] 안철수 대통령은 있다/[성한용 칼럼] 안철수 대통령은 없다

[왜냐면] 안철수 대통령은 있다/[성한용 칼럼] 안철수 대통령은 없다

****************************************************

[왜냐면] 안철수 대통령은 있다

[성한용 칼럼] 안철수 대통령은 없다

***

[왜냐면] 안철수 대통령은 있다

등록 : 2012.05.30 19:24 수정 : 2012.05.30 19:24

5월29일치 성한용 칼럼 ‘안철수 대통령은 없다’에 대한 반론

정진욱 ㈜황금씨앗 대표이사

‘정치초보’를 대통령으로
만들고 싶을 만큼
국민들 처지가 절박하다

안철수 원장이 직격탄을 맞았다. 안 원장이 대통령에 출마하지 말고 존경받는 인물로 남았으면 좋겠다는 것은 안 원장을 아끼는 사람들이면 한번쯤 드는 생각이다. 그러던 차에 성한용 기자의 칼럼 ‘안철수 대통령은 없다’라는 대형 포탄이 날아들었다. 안철수가 정치를 하는 것이 정말 안 되는 일인가 궁금해지는 때다.

오늘날 정치는 매우 복잡하고도 어려운 영역이다. 그래서 정치전문가가 해야 한다는 데 많은 사람이 동의한다. 우리 정치도 점차 그렇게 되어가고 있다.

안철수 원장은 정치에 문외한이다. 안 원장은 자신이 잘 모르는 영역에 진입할 때 그 분야의 책 수십권을 읽어 기초를 닦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책으로 정치를 배울 수는 없고 대통령 직은 말할 것도 없다. 정치는 살아있는 생물이어서 정답이 없기 때문이다. 김대중, 노무현 같은 정치9단이라는 분들도 살아있는 생물과의 싸움에서 이긴 경우보다 진 경우가 더 많았다.

그 점에서 안철수 원장이 정치 초보라는 것은 매우 불안한 일이다. 정치를 하려면 국회의원부터 하라는 멘토들의 조언도 있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국민 중 상당수는 ‘대선후보’ 안철수를 지지한다. 20~40대는 열렬하다. 왜 그럴까? 기존 정치에서 찾지 못한 희망을 그에게서 엿보았기 때문이다. 지난 총선 때 민주통합당이 패한 가장 결정적인 이유도 지도부가 새로운 희망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 새로운 희망의 실체는 결국 비전과 능력을 갖춘 ‘새로운 사람’이다.

정치선진국에서 정치 초보가 느닷없이 대권주자가 되고 대통령이나 수상까지 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영국의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만 하더라도 43살에 수상이 됐지만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23살 때부터 보수당 정책연구소에서부터 일한 ‘정당인’이다. 사실 우리 정치에서 급작스럽게 부상했던 박찬종, 이인제, 고건, 문국현 같은 분들은 모두 대선 도전에서 실패했다. 국민들도 이것을 잘 안다. 그럼에도 왜 안 원장에게 기대를 갖는가? 이 난국을 해결할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지도자, 신뢰할 수 있는 정치인에 대한 요구가 그만큼 절박하기 때문이다. 대통령직을 수행하는 데서 정치적 경험은 결정적으로 중요한 요소이다. 그것에 대한 시험과 평가는 앞으로 철저히 이뤄질 것이다.

대선후보로 끝까지 살아남느냐는 안철수의 몫이다. 시험대에 오르기도 전에 불출마 선언이 나올 수도 있다. 그러나 대통령 시험장에 누가 들어와야 하는지를 정할 권한은 아무에게도 없다. 참정권에서 핵심 중 하나는 선택의 다양성이다. 전두환 정권 때의 체육관 선거는 그래서 참정권의 행사가 아니다. 국민은 자신이 갖고 있는 모든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행여라도 ‘안철수 대통령은 없다’는 말의 이면에 안철수 현상에 대한 안이한 인식이 있다면 큰일이다. 안철수 현상은 우리 정치권의 문제와 쌍둥이다. 첫째, 국민은 우리 정치에 새롭고도 격렬한 변화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정치가 직업으로 자리잡으면서 정치인이 어느덧 기득권 계층이 된 것을 국민들은 쉽사리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변화의 요구가 좌절된다면 국민은 기존의 정당정치를 거부할 것이다. 이러면 정권교체는 난망해진다.

둘째, 정치 초보를 대통령으로 만들고 싶을 만큼 우리 국민들이 처한 현실이 절박하다는 것이다.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있는 대통령감이라면, 국민은 어떤 제한도 두지 않고 있다. 안 원장에 대한 지지는 단순한 인기투표가 아니다.

‘정치는 역시 정치인이 하는 것’이라거나, 있을지도 모를 안 원장의 낙마에 희희낙락하며 정치적 기득권자들의 게임으로 대선을 치르려 한다면, 민주·진보진영은 또 한번 혹독한 겨울을 맞을 각오를 해야 할 것이다. 국민의 절망은 바다 밑까지 닿고, 한숨은 하늘을 찌르고 있다는 것을 한순간도 잊지 않는 지도자를 국민은 갈망하고 있다.

***

[성한용 칼럼] 안철수 대통령은 없다

등록 : 2012.05.28 19:32 수정 : 2012.05.29 14:42

성한용 정치부 선임기자

정치는 정치인이 해야 한다
다른 후보들에게 기회 주고
존경받으며 사는 게 어떨지

 “야권에선 지금 그분이 지지율이 높고 제가 그 뒤를 따라가고 있는데, 서로 인정하고 신뢰하고 존중하고 있다. 집권을 위해 연합정치가 필요하다.”(문재인 상임고문)

 “사회의 백신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우리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손학규 전 대표)

 “정치 참여 여부를 떠나 좋은 쪽으로 이끄는 지도자 중 한 명이다. 연대는 원칙적으로 공감하지만 민주당이 좀더 잘 중심을 잡아야 한다.”(김두관 경남지사)

 민주통합당 정치인들에게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악몽’이다. 최근 발언을 들여다보면 매우 심하게 가위눌려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통령 선거는 7개월도 남지 않았는데 박근혜·안철수 양강 구도는 흔들리지 않고 있다. 민주당의 수많은 대선주자들이 자칫 예비후보로 나서 보지도 못하고 스러져갈 판이다.

 안철수 현상이 출현해서 지속되고 있는 배경은 무엇일까?

 첫째, 언론사의 여론조사다. 안철수 원장이 유력 대선후보로 부각된 것은 지난해 9월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를 지원하면서부터다. ‘대통령 안철수, 서울시장 박원순’이라는 가상 시나리오가 만들어졌고, 각 언론사 대선후보 양자대결 조사에서 안철수 원장이 박근혜 의원을 앞서기 시작했다.

 둘째, 야권 대선주자들의 부진이다. 문재인 상임고문은 노무현 전 대통령 비서실장 이미지에 갇혀 있다. 김두관 경남지사는 ‘스토리’가 있지만 ‘텔링’이 되지 않는다. 손학규 전 대표는 능력에 비해 매력이 부족하다.

 셋째, 새로운 정치에 대한 유권자들의 열망이다. 1992년 대선의 정주영, 97년의 이인제, 2002년의 정몽준, 2007년의 문국현이 그런 열망을 반영한 ‘제3후보’였다. 야권 주자들의 부진 덕분에 안철수라는 제3후보가 제2후보의 자리에 올라 있는 것이다.

 넷째, 안철수 원장은 한국 사회에서 존경받을 만한 일을 많이 했다.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해 무료로 나눠 주었다. 청춘 콘서트를 기획해 좌절한 젊은이들과 눈높이를 맞추었다. 재산의 절반을 사회에 내놓았다. 하나하나가 다른 사람은 흉내내기도 어려운 업적이다.

 그렇다면 그냥 안철수 원장이 대통령을 하면 안 될까?

 안 된다. 대한민국 대통령은 정당을 기반으로 딛고 있는 정치인만이 할 수 있는 자리다. 안철수 원장은 단 하루도 직업으로서의 정치를 해본 일이 없다. 공적 분야의 업무를 처리한 경험이 거의 없다. 이 시대의 과제인 양극화 해소와 일자리 대책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접촉하는 인물들을 보면 사람을 보는 안목이 부족한 것 같다.

 의식에도 좀 문제가 있다. 2004년 안철수 원장이 쓴 책의 서문에 이런 내용이 들어 있다.

 “글을 쓸 때 개인적인 이해타산이 포함되면 안 된다. 10년 전, 20년 전의 글을 읽으면서 지금도 한 점 부끄러움이 없음을 다행으로 생각하고 있다. 거창한 표현이기는 하지만, 글은 역사의식을 가지고 써야 한다고 믿는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 뉴시스

 사고가 역사학자나 철학자를 닮았다. 그래서 위험하다. 안철수 원장은 지난 3월27일 서울대 특강에서 “내가 만약 사회 긍정적 발전 도구로 쓰일 수 있으면 그게 설령 정치라도 감당할 수 있다”고 했다. 국내정치를 전공하는 학자에게 이 발언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왕권신수설을 연상케 한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2007년 대선에서 야권의 패배는 어느 정도 예상된 일이었다. 그런데 정치를 잘 모르는 문국현 후보가 갑자기 출현해 선거 지형을 왜곡시켰다. 야권은 참패했다. 선거 결과는 이명박 대통령의 독선과 오만으로 이어졌다. 지금 안철수 원장의 위치와 2007년 문국현 후보의 위치가 얼마나 다를까?

 정치는 정치인이 하는 것이다. 안철수 원장이 ‘역사의 물결을 거스르는’ 세력의 재집권을 원하지 않는다면 대선후보 자리를 비켜줬으면 좋겠다. 그래야 다른 주자들에게 공간이 열린다. 그리고 안 원장도 계속 존경받으며 살 수 있을 것 같다. 요행을 바라면 안 된다.

성한용 정치부 선임기자 shy99@hani.co.kr

ⓒ 한겨레 (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