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지속가능성이 인류의 지속가능발전을 결정한다?!’ 1992년 리오 환경회의 직후 출범한 자치단체국제환경협의회(ICLEI)가 20주년을 맞았다. 그동안 시민의 삶에서 도시가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높아졌다. 동시에 도시를 관리하는 지방정부 정상의 역할과 책임강화 또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보는 대한민국 특별시와 광역시 다음으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수원시의 ‘지속가능성’을 점검해 본다.
하 지방의제21 경험과 교훈
상 지속가능한 미래전략
중 ‘환경수도’ 수원
1992년 브라질 리오 환경회의에서 179개국 정부대표와 비정부기구(NGO)들이 참여해 채택한 지구환경보전행동계획이 ‘의제(Agenda) 21’이다.
의제21 주요 내용은 사회복지·경제적 측면에서 개발 도상국의 지속가능한 개발 촉진, 국제적 정책으로는 빈곤퇴치, 보건증진, 지속가능한 주거환경의 증진 등 다양하다.
또 환경 관리 측면에서 산림황폐화 대비, 쓰레기 및 하수의 친환경적인 관리, 폐기물의 환경 친화적관리 등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돼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설치된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와 2007년에 제정된 지속가능발전기본법이 국가 단위에서 지속가능발전의 이념을 전파한 사례로 꼽힌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이 운동을 주도했던 인물이다.
앞서 수원시는 1997년 기초자치단체 단위로서 순천, 청주와 더불어 지방의제21의 중심도시로 활동했다. 당시 염 시장은 ‘수원의제21’의 사무국장을 맡아 활동했으며, 이후 ‘지방의제21 전국협의회’ 사무처장을 거쳐 청와대 지속가능발전비서관에 발탁됐다.
2010년 수원시장에 취임한 염 시장은 기초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지속가능발전 이행보고서를 작성했다. 또 시민참여 거버넌스를 활성화해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마을만들기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환경수도 수원’을 선포했으며,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CO² 30% 감축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 염 시장은 오는 15일 자치단체국제환경협의회(ICLEI)세계총회 개막총회인 고위급패널회의에 참석해 ‘한국의 지방의제21 경험과 교훈’이라는 주제발표에 나선다.
그는 지난 2002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세계환경정상회의(WSSD)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지속가능발전 우수사례인 ‘한국의 지방의제21’을 소개한 바 있다.
이금미기자/lgm@joongbo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