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통합당(민주당)이 새 지도부 선출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 국면으로 돌입하고 있다. 1차 경선으로 민주당 대선후보를 뽑은 뒤 장외(場外) 주자인 안철수 서울대 융합
과학기술
대학원장과 단일화 경선을 통해 야권 단일후보를 확정하는 ‘2단계 경선론’이 급부상하는 양상이다. 이는 여론조사 방식을 사용했던 지난 2002년 ‘노무현 - 정몽준 단일화’ 케이스와 달리 완전
국민경선을 통해 민주당 대선후보와 안철수 원장의 단일화를 이루겠다는 것으로, ‘가설(假設)정당 방식’과 ‘박원순 - 박영선 단일화 방식’이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민주당은 본선 승리를 위해선 내부 경선은 물론, 야권 후보 단일화도 광범위한 국민들의 참여 속에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안철수 원장이 이 방식을 받아들일지 불분명한데다 ‘꼼수 경선’이라는 비판도 제기될 수 있어 ‘2단계 경선론’이 실현될지는 불분명하다.
민병두 민주당 의원은 12일 오전 YTN
라디오에 출연해 “2002년 대선 당시에는 여론조사로 (노무현 - 정몽준 후보가) 단일화를 했는데, ‘어겐(again) 2002’가 돼선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 의원은 당내 전략통으로, 11일 김두관 경남도지사의 대선 출마 촉구 기자회견을 연 민주당 의원 11인에 포함된 인물이다. 민 의원은 “민주당은 지금 200만∼300만 명의 국민이 (완전국민경선 선거인단으로) 참여하는 드라마를 꿈꾸고 있다”며 “안철수 원장도 완전국민경선 과정을 통해 ‘리스크 테이킹(위험부담)’도 하고 드라마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해찬 신임 대표는 당선 기자회견에서 “민주당 대선후보를 먼저 뽑고 안철수 원장과 단일화해야 한다”며 ‘2단계 단일화’ 구상을 밝히면서 “시간이 많지 않은 만큼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안 원장과의 단일화 방식으로 완전국민경선을 못박지는 않았다. 하지만 당내 경선을 최대한 서두르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미뤄 이 대표 역시 ‘2단계 경선’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안 원장과의 단일화를 전제로 민주당 내에서 거론되는 경선 방식으로는 ‘가설정당 방식’과 ‘박원순 - 박영선 단일화 방식’ 등이 있다. 두 가지 모두 소속 정당이 다른 후보(예비후보)들이 시민들을 모아놓고 정견 발표를 할 경우 사전
선거운동으로 규정한 현행
공직선거법을 피해가기 위한 아이디어다.
‘가설정당 방식’은 민주당 밖에 임시로 신당을 만든 뒤 민주당 대선후보와 안철수 원장이 신당에 입당해 경선을 치르도록 하자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선 민주당 대선후보가 일시적으로 민주당을 탈당해야 한다.
‘박원순 - 박영선 단일화 방식’은 2010년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사용된 방식이다. 당시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국민참여경선은 선거법 저촉을 우려, 후보자가 현장 정견 발표를 하지 않는 ‘궐석(闕席) 경선’ 방식으로 치러졌다.
이들 아이디어는 현행법을 어기지 않으면서 경선 효과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거론되지만 안철수 원장이 거부할 경우 실현 자체가 어렵고, ‘편법·꼼수 경선’이라는 비판 여론이 거세게 일 경우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이철희 두문정치연구
소장은 12일 문화
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당원과 일반 시민을 구분하지 않는 완전국민경선이라 해도 안철수 원장이 정당에 버금가는
조직을 갖추기는 쉽지 않다”며 “이런 경선 방식은 안 원장이 불리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대선후보경선준비
기획단장에 추미애 최고위원을, 이해찬 대표 비서실장에 김태년 의원을 각각 임명했다.
오남석 기자 greentea@munh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