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파란blog이전(+)됨:약7십만접속/기존_ 자료1(기타)종합

안철수와 환상의 복식조는? [2012.06.18 제915호]

안철수와 환상의 복식조는? [2012.06.18 제915호]
[특집]문재인의 공동정부론 vs 김두관의 민주당 자강론, 안철수와 연대 방식 두고 차이 …안철수와 정치적 거리는 문재인이 가깝지만, 이질적인 김두관과 시너지 효과 크다는 분석도
▣ 송호균
» <한겨레> 박종식 기자
4·11 총선이 새누리당의 압승으로 귀결되자 야권의 ‘박근혜 대항마 만들기’는 난해한 고차방정식으로 변했다. 민주당 전당대회는 난해함을 더했다. ‘안철수-문재인’ 경쟁 구도가 약해진 틈으로, 김두관 경남지사가 뛰어들었다. 공식적인 출마 선언을 코앞에 두고 있는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과 김 지사가 박근혜 새누리당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맞붙으려면 우선 서로를 넘어야 하고, 그다음 또 하나의 산을 넘어야 한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연대 문제다. 이에 대한 문 상임고문과 김 지사의 태도는 결이 다르다. 만나야 한다는 당위는 공유하고 있지만, 접근 방식에서는 차이가 적지 않다. 문 상임고문은 공동정부론을 제시했고, 김 지사는 이를 비판하며 민주당 자강론을 주장하고 있다.

문재인, 먼저 공동정부론 카드 던지다

문 상임고문은 <한겨레>와의 인터뷰를 통해 “안 원장과의 단일화는 단지 경쟁에서 이기는 사람이 후보가 되고 정권을 장악하는 차원이 아니라 함께 공동정부를 구성하는 데까지 가야 한다”며 ‘공동정부론’을 공개적으로 제기했다. 이를 두고 안 원장은 지난 5월30일 부산대 강연에서 “이 시점에서 답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것 같다. 굳이 저를 거론했다기보다는 분열이 아닌 화합의 정치를 하겠다는 그분의 철학을 보여준 게 아닌가 생각한다”는 원론적인 반응만을 보였다. 물론 가능성이 완전히 닫힌 것은 아니다. 안 원장과 가까운 김효석 전 민주당 의원은 다음날 “(공동정부 제안은) 시점상 적절치 않아 보이지만 생각해볼 수 있는 (연대의) 모형 중 하나”라며 “서너 가지 모형 중 하나로 검토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안철수 원장은 우리 시대 젊은이들에게 많은 희망의 메시지를 던져주는 분”이라며 “이런 분들이 정치에 참여해 국정을 함께 논하고 희망을 주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문 상임고문의 공동정부 제안에 대해선 ‘민주당 자강론이 우선’이라는 태도다. “먼저 민주당을 좋은 당으로 만들고 좋은 후보를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김 지사는 “좋은 며느리를 잘 모시려면 자기 아들부터 번듯하게 키워놓아야 한다. 민주당의 대선 후보가 먼저 결정된 뒤 안 원장과 최종적으로 정책 연대를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경선을 통해 선출될 민주당의 대선 후보를 아들로, 연대의 대상인 안 원장을 며느리로 규정한 발언이다. 문 상임고문의 제안이 ‘결혼을 전제로 한 교제’에 가깝다면, 김 지사의 언급은 ‘무조건 나에게 시집오라’는 메시지로 읽히는 이유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조사분석실장은 “공동정부론을 통해 문 상임고문과 안 원장이 유권자들의 뇌리에 나란히 인식되는 측면은 분명히 있다”면서도 “제안의 시점과 방식이 논란을 불러일으켜 오히려 부정적 효과를 낳은 측면도 있다”고 지적했다. 당내에서도 ‘별 성과도 없이 문 상임고문 처지만 우습게 됐다’는 시선이 적지 않다. 반면 김 지사는 아직까지 ‘신랑감’으로서의 매력을 충분히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저평가 우량주’라는 당 안팎의 평가는 그의 가능성인 동시에 분명한 한계이기도 하다.

» 야권의 최종 선수는 누가 될가.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과 김두관 경남지사가 대선 본선 무대에 오르려면 상대를 넘어야 하고,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라는 또 하나의 산을 넘어야 한다. <한겨레> 신소영 기자

‘안철수 현상’에 대한 양쪽의 온도차


그래서일까. 문 고문의 공동정부 제안이 최근의 ‘이해찬-박지원 담합’ 논란과 맞물려 ‘지나치게 공학적인 접근’이라는 당 안팎의 비판에 직면한 대목을 김 지사 쪽은 주요 공략 포인트로 여긴다. 김 지사 쪽의 한 참모는 “공동정부론은 민주국가의 정치인으로서 할 말은 아니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자치분권연구소 이사장으로 김 지사를 지원하고 있는 원혜영 의원은 “민주당 내부의 정리가 끝났다고 가정하고 안 원장을 바라보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며 박근혜 새누리당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행보를 예로 들었다. “지금 새누리당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판을 키워야 하는 사람은 박 전 위원장이다. 오픈프라이머리보다 더한 것이라도 박 전 위원장 처지에선 받아들여야 한다. 그런데 아무것도 안 하고 있지 않나. 마찬가지다. 이 문제는 민주당에서 훨씬 더 절실하다. 지금은 경선의 판 자체와 후보들의 체급을 키워야 한다. 그래야 해볼 만한 대선 구도를 만들 수 있다.”

‘안철수 현상’ 자체에 대한 시선에서도 양쪽의 온도차는 확연하다. 문 상임고문은 자신을 포함한 당내 대선 후보군과 안 원장을 모두 ‘정권 교체를 위한 도구’로 바라보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김 지사 쪽의 한 참모는 “대선에서 정권 교체가 이뤄진다면 다음 정부는 여소야대 구도에서 출발하게 된다”며 “기업인 출신인 안 원장이 평생의 정치 이력을 경남 지역에서 일궈온 김 지사만큼의 정치력을 발휘할 수 있겠느냐”라는 말로 견제구를 던졌다. 김 지사 본인도 “거머리가 득실대는 논에 맨발로 들어가 모내기 한 번 해본 적 없는 사람”이라는 말로 정치권 안팎의 ‘안철수 현상’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바 있다.

그렇다면 연대의 파괴력은 어느 쪽이 더 클까. 문 상임고문이 안 원장과의 물리적·심리적 거리에서 상대적으로 김 지사보다 가깝다. 총선 국면을 전후로 문 상임고문과 안 원장은 직간접적으로 몇 차례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상임고문 쪽 인사들은 안 원장이 최근 ‘복지·정의·평화’라는 세 가지 화두를 제시한 대목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두 사람이 일종의 ‘가치 연대’를 실현할 수 있는 공통의 지반을 서로 확인하는 과정에 있다는 인식에서다.

“민주당 역동적 경선 성공이 우선”

정반대의 시각도 있다. 정치컨설턴트 이윈컴의 김능구 대표는 “단일화 전술은 결국 단일화를 통해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전제가 있어야 성립된다. 가치와 이미지를 공유하는 문 상임고문과 안 원장보다는 어쩌면 이질적으로 보일 수 있는 김 지사와 안 원장이 단일화할 경우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대선까지는 200일도 채 남지 않았다. 문 상임고문과 김 지사, 그리고 안 원장은 그 때까지 ‘필승조’를 탄생시킬 수 있을까? 물론 첫 라운드는 민주당 내부에서 시작된다. 민주당의 한 중진 의원은 “결국 관건은 당의 대선 후보 경선을 얼마나 역동적으로 끌어가느냐에 달렸다”고 말했다.

문재인 상임고문의 공동정부 제안이 최근의 ‘이해찬-박지원 담합’ 논란과 맞물려 ‘지나치게 공학적인 접근’이라는 당 안팎의 비판에 직면한 대목을 김두관 지사 쪽은 주요 공략 포인트로 여긴다. 김 지사 쪽의 한 참모는 “공동정부론은 민주국가의 정치인으로서 할 말은 아니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송호균 기자 ukno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