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대출 규제,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하나금융포커스 제10권 15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2020.07.23원문보기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본고에서 지난 2017.6월 주택가격 안정을 위해 발표한 부동산 담보대출규제 정책이 주택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 2017.6월 이후 고강도 LTV 규제 강화로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는 둔화된 반면 신용대출이 급증, 서울지역 투기지역 지정으로 일부 수도권 지역의 부동산 거래량 및 가격이 상승함.
- ‘12.16대책’ 이후 서울 등 투기과열지구의 고가 주택시장이 일시적 진정세를 보였으나, 이후 규제강도가 낮은 수도권 남부 지역 집값 상승 등 불안정이 지속됨.
- 정부의 부동산 대출규제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오피스텔로 매수세가 이동하는 현상도 보임.
- 8월부로 시행되는 수도권 및 지방광역시의 비규제지역 대상 분양권 전매금지 조치로 청약과열 분위기가 한풀 꺾일 것으로 예상하지만, 정부 규제가 미치지 않는 지방도시로 청약열기가 옮겨가는 풍선효과 발생 가능성도 존재함.
- 정부는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 형성을 위해 신규주택 공급을 늘리고 다주택자의 보유부담을 확대해 재고주택 공급활성화를 유도 중이나, 집값안정 효과는 제한적임.
- 저금리 기조 하에서 부동산 투자수요로 인한 풍선효과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경제.부동산의 칸 .. > *부동산 관련,기고 칼럼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곽 나온' 임대차 3법 구상안 주요 내용 (0) | 2020.07.28 |
---|---|
'부동산'으로 촉발된 '행정수도' 논란, 與野 손익표는? (0) | 2020.07.26 |
촛불로 번진 부동산 분노 (0) | 2020.07.23 |
우리나라 가구당 재산 4억6268만원…76%가 부동산에 묶여 (0) | 2020.07.22 |
(1)=아파트 규제하자 다세대주택·연립주택으로 ‘풍선효과’/ (2)=내년부터 분양권도 주택…분양권+1주택 양도세율 16~52% (0) | 2020.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