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부동산의 칸 ../*종합(재개발.재건축.주거환경.지구단위,리모델링

재개발 백지화 ‘슬럼화 가속’… 뉴딜정책 희망햇살

재개발 백지화 ‘슬럼화 가속’… 뉴딜정책 희망햇살

수원 고색동·서둔동·영화동 일대 등 재개발정비구역 해제후 부작용 심각
주택방치 10년… 안전·치안 사각지대 市·주민 ‘맞춤형 재생’ 머리 맞대야

조성필 기자 gatozz@kyeonggi.com 노출승인 2017년 09월 14일

14일 오후 수원 권선구 고색동 74-1일원. 오래된 주택이 다닥다닥 붙어 있다. 좁은 골목에는 오가는 사람이 거의 없다. 이 지역은 낙후된 지역을 새롭게 개발하는 뉴타운 붐이 일었던 2009년 5월 재개발정비구역으로 지정된 곳이다. 

당시 헌 집을 새집으로 고친다는 취지 아래 조합이 설립되고 시공사 선정도 마치는 등 낯선 활기가 돌았다. 하지만 재개발사업은 첫 삽도 뜨지 못한 채 중단됐고, 지난달 1일 재개발정비구역에서 해제된 이후 이곳은 생기를 잃었다.

주민 이태호(31)씨는 “재개발사업이 중단되면서 이 지역은 더 썰렁해졌다”며 “어떤 방식으로든 활기를 되찾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2000년 중반 이후 정부의 뉴타운 정책 등과 맞물려 수원 곳곳에서 진행된 재개발사업이 잇달아 좌초되고 있다. 재개발이 취소된 구역은 생활환경이 더욱 열악해지고, 심지어 밤길 치안까지 불안해졌다. 문재인 정부는 앞으로 5년간 50조 원을 ‘도시재생 뉴딜 사업’에 투입한다는 청사진을 발표했다. 이런 가운데 이들 지역을 활력 넘치는 공간으로 바꿀 수 있는 지자체의 대안 마련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수원시에 따르면 지난 2009년 이후 시의 재개발구역으로 지정ㆍ고시된 곳은 21곳이다. 이 가운데 고색동 73-1일원, 서둔동 188-2일원, 영화동 93-6일원 등을 포함 9곳은 8월 말 기준 재개발구역에서 해제됐다. 2010년대 들어 부동산 경기침체가 오자 시공사 선정, 원주민 보상금 문제 등으로 홍역을 치르다 결국 사업 취소에 이른 것이다.

이들 구역은 재개발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증ㆍ신축 등의 행위가 제한돼 주민들은 10년 가까이 노후 주택에 살아야 했다. 주택 보수를 할 수 없었던 것은 물론 지자체의 도로와 보도 보수 작업도 멈춰 지역은 날로 쇠퇴했다. 방범용 CCTV도 다른 지역과 대비 설치 대수가 적어 절도와 화재 위험에 노출되는 등 치안 사각지대로 전락했다.

더 큰 문제는 재개발 취소 구역이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란 점이다. 현재 수원 내 재개발사업이 완료된 곳은 화서동 4-26일원 1곳뿐이다. 지동, 인계동, 정자동 등 나머지 11곳은 재개발사업이 진행 중에 있으나 사업 백지화를 요구하는 주민들이 늘어나는 등 각 구역마다 혼란을 겪고 있다. 이미 정자동, 영화동, 인계동 등 6개 재개발지역 주민들은 사업취소를 시에 요구한 상태다.

하지만 시는 이렇다 할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재개발정비구역에서 해제된 지역을 대상으로 향후 주거환경개선사업을 계획하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며 “부서마다 사업 내용이 달라 계획을 수립하는 데까지 시간이 꽤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대안으로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정책을 주목하고 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 박사는 “정부의 뉴딜정책은 뉴타운에서 해제된 후 마땅한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지역 주민들에게는 더없이 반가운 소식이 될 수 있다”며 “지자체가 나서 주민과 함께 지역 맞춤형 재생모델을 만들고 확산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조성필기자

 

<저작권자 ⓒ 경기일보 (http://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