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MB수렁에 빠지다
2012-02-29 오후 2:22:07 게재 |
이재오 공천논란, 현정권과의 '어정쩡한 관계'가 원인 새누리당이 '이재오 공천'을 놓고 집안싸움이 한창이다. 김종인 비대위원은 이명박정부와의 차별화를 내세워 낙천을 주장했지만, 박근혜 비대위원장측은 "인위적 차별은 없다"며 공천을 강행했다. 미래권력인 박 위원장이 현재권력인 이 대통령과 단절하지 못하고 어정쩡한 관계를 설정한 한계가 여권 내부의 혼란을 불렀다는 분석이다. 박 위원장은 이명박정부 4년 동안 대립과 협조관계를 반복해왔다. 18대 총선공천과 세종시 수정안 등을 놓고 정면충돌했지만 정권성공과 재집권을 위해 협력하는 모양새를 취하기도 했다. 서로 내키지 않지만, 자신의 성공을 위해 손잡는 게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지난해 말 비대위가 출범하면서 발생했다. 이명박정부의 실패로 몰락의 위기에 몰린 옛 한나라당은 박근혜 비대위를 출범시켜 활로를 모색했다. 당으로선 이명박정부의 흔적을 지우는 게 급선무였다. 단절이 절실했다. 이명박식 성장주의 대신 복지와 일자리, 경제민주화가 자리잡았다. 박 위원장은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당은 현 정부와) 자연스럽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말로 차별화 의지를 피력했다. 하지만 딱 여기까지였다. 박 위원장은 정책차별화는 했지만, 차별의 화룡점정인 인적차별 앞에서 주춤했다. 이명박정부를 상징하는 인물을 내칠 것인가라는 선택의 순간 앞에서 돌아섰다. "인위적 차별은 없다"고 말했다. 이명박정부 출신이라고 해서 공천에서 불이익을 줄 수 없다는 것이다. 박 위원장의 고민은 이명박정부 출신을 공천에서 배제하는 순간, 이 대통령과의 차별화, 나아가 이 대통령의 탈당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에 머물렀던 것으로 보인다. 박 위원장의 머리 속엔 현재권력과 등을 돌리는 순간 닥쳐올 위험과 불이익이 떠올랐을 것이다. 현재권력은 미래권력을 만들지는 못해도 막을 수 있다는 게 정치권의 정설이다. 더욱이 이재오 의원을 낙천시킬 경우 제기될 불공정 시비도 부담이었을 것이다. 이 의원은 이명박정부에서 장관을 지냈지만 한동안 권력투쟁에서 밀려 음지에 머물렀던 것도 사실이다. 만약 이 의원을 이명박정부 장관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낙천시킨다면, 마찬가지로 장관을 지낸 친박핵심 최경환·유정복 의원과 나머지 장관 출신 의원들에게도 똑같은 잣대를 적용할 것인가라는 고민이 남게 된다. 결국 박 위원장은 "정책적 차별은 하지만 인위적 차별은 없다"는 어정쩡한 타협안으로 이 대통령과의 관계를 정리했다. 대선을 염두에 두고 현재권력인 이 대통령과 등을 돌리지 않지만, 이명박정부에 비판적인 총선 민심을 의식해 외형적인 거리두기를 하겠다는 것이다. 이명박정부라는 수렁에 하반신은 빠진 채 상반신만 간신히 꺼내놓은 형국이다. 한 친박인사는 "차라리 비대위 초기에 '이명박정부 장관급 출신은 무조건 (공천이) 안된다'는 식으로 기준을 정했어야 하는데 (이명박정부와의) 관계를 명확히 정리하지 못한 게 문제"라고 아쉬워했다. 명지대 신율(정치외교학) 교수는 "과거 현재권력과 미래권력 관계였던 김영삼과 이회창, 김대중과 노무현, 노무현과 정동영 모두 결국엔 등을 돌렸다"며 "이 대통령과 박 위원장도 시기의 문제일 뿐 결별은 불보듯 뻔하다"고 전망했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
'▣ ↑파란blog이전(+)됨:약7십만접속 > -기존_자료2 종합(박근혜 前 대통령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운찬 `박근혜, 대통령 딸로 자라 서민 어려움 몰라` (0) | 2012.03.01 |
---|---|
김정은 反박근혜투쟁 포문 (0) | 2012.02.29 |
박근혜, 안철수 `꼬리` 잡았다 (0) | 2012.02.29 |
北 “박근혜, 유신독재 부활 시도” 맹비난 (0) | 2012.02.29 |
안철수 지고 문재인 뜬다…‘박근혜 꺾었다’ (0) | 2012.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