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상권이 폭풍 전야를 맞고 있다. 늦어도 이달 말이면 ‘국내 유통 1위’ 롯데몰 수원역점이 입점하고 ‘경기도 쇼핑 1번지’ AK 수원점이 증축을 마무리할 예정으로, 서수원 상권은 명실상부 ‘경기도 최고의 쇼핑 메카’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당연히 고객들의 입장에서는 원스톱(One-Stop)으로 쇼핑과 문화, 먹거리까지 해결해주는 대형쇼핑몰의 입점을 반길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거대 유통 공룡들의 서수원 상륙은 양면의 동전과도 같다.
당장 이들의 등장으로 생계를 걱정하는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기획 기사를 쓰면서 만나 본 남문 로데오거리의 한 상인은 “2003년 AK 수원점이 입점한 뒤 산소호흡기를 달고 하루하루를 연명하는 중환자의 삶을 살아왔는데 롯데몰까지 수원역에 입점하는 것은 우리에게서 호흡기를 강제로 떼버리는 것과 같다”고 비통해했다. 물론 아직 구체적인 피해를 적시하긴 이르다. 하지만 어느 정도 예상은 가능한 게임이다.
소상공인진흥공단이 발표한 ‘대형쇼핑몰 출점이 지역상권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에 따르면 신세계 프리미엄 아웃렛과 롯데 프리미엄 아웃렛의 입점으로, 파주 금호동 문화의 거리와 고양 덕이동 로데오 타운내 200여점포는 대형쇼핑몰의 출점 후 3년간 월평균 매출액이 45.6%나 감소한 것으로 소상공인들의 피해는 현실이 되고 말았다.
시장 경제 사회에서 대기업의 쇼핑몰 진출을 강제로 막을 수는 없다. 하지만 선진국 사례를 벤치마킹해 우리만의 상생 롤모델을 만들 수 있다. 미국의 용도지역제가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다. 부지 및 건물의 용도와 부지 내 건물의 위치ㆍ규모ㆍ형태 등 도시개발 전반에 대한 규제에 나서며 대형소매점의 입점 여부를 대기업이 아닌 ‘도시계획 측면’에서 결정하는 것이다.
대형쇼핑몰의 등장으로 울고 웃는 사람이 양분되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 웃는 것, 그것이 바로 상생경제다. 한국형 상권 모델이 절실한 이유다.
김규태 경제부 차장 < 저작권자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