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지내는 법 | 차례상 차리기 | 지방 쓰는법- 다음에서 옮김
***
- 1. 진설(陳設) : 식지 않는 음식을 차린다.
- 2. 강신(降神) : 향상 앞에 나아가 향을 피우고 집사자가 따라 주는 술을 세번으로 나누어 모시기에 붓고 두 번 절한다.
- 3. 참신(參神) : 음양의 원리에 따라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한다.
- 4. 진찬(進饌) : 진설에서 차리지 않은 나머지 차례음식으로서 식어서는 안될 음식을 차린다.
- 5. 헌작(獻酌) : 제주가 신위에 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 6. 계반삽시(啓飯揷匙), 삽시정저(揷匙正著) : 메의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은 적이나 편에 올려놓는다.
- 7. 합문(闔門) : 조상님이 식사를 할 수 있게 제청 밖으로 나가고 문을 닫거나, 제상 앞에 병풍을 가린 후 모두 엎드린다.
- 8. 계문(啓門) : 연장자가 기침을 세번하면, 전원이 제청 안으로 들어오거나, 병풍을 걷고 일어선다.
- 9. 철시복반(撤匙復飯) : 수저를 거두고, 메의 뚜껑을 덮는 절차이다.
- 10. 사신(辭神) : 신을 보내 드리는 절차로서,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한다.
- 11. 납주(納主) : 신주를 원래의 자리인 사당 감실에 모신다. 지방을 모셨을 경우 지방을 향로 위에 놓고 태운다.
- 12. 철상(撤床), 음복(飮福) : 차례음식을 내리고 차례상 등의 기물을 정리하고,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덕을 기린다.
차례상 차리기지방 쓰는 법
차례상 차리는 법더보기
- 1열
- 시접, 잔반, 메(밥) - 떡국은 우측, 술잔은 좌측.
- 2열
- 어동육서(魚東肉西)- 어찬은 동쪽, 육찬은 서쪽.
- 3열
- 탕류 - 육탕, 소탕, 어탕 순.
- 4열
- 좌포우혜(左鮑右醯)- 왼쪽에 포(脯), 오른쪽에 식혜.
- 5열
- 조율이시(棗栗梨枾) - 왼쪽부터 대추, 밤, 배.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과실은 동, 흰 과실은 서.
이 차림은 일반적인 상차림이며, 지역이나 지방풍습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지방 쓰는법
'◐ 여러가지의 칸 === > ◇용어.정보.법.자료.역사.책.법원.검찰.경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 후] 법원행정처-법무부 '수원고법·고검 청사 동상이몽' (0) | 2014.10.01 |
---|---|
수원지법·지검 광교청사 11월 착공 (0) | 2014.10.01 |
차례상 앞에서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차리면 끝 (0) | 2014.09.04 |
생명 지키는 112긴급신고 방법 (0) | 2014.08.21 |
도로명주소 햇갈린다면? 당황하지 말고 우체국 가자! (0) | 2014.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