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파란blog이전(+)됨:약7십만접속/*김문수_활동.비전.어록.영상.보도.논객.자료.건의

청와대, 후임총리 물색…'개혁공천 주역' 김문수 거론

청와대, 후임총리 물색…'개혁공천 주역' 김문수 거론
데스크승인 2014.05.30  | 최종수정 : 2014년 05월 30일 (금) 00:39:48 연합뉴스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의 낙마로 국정공백 장기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29일 후임 총리 재물색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 총리가 임명돼야 개각을 통해 수혈되는 신임 국무위원들에 대한 제청권 행사를 통해 제2기 내각을 출범시킬 수가 있는데, 국회 인사청문회 일정 등을 감안할 때신속하게 ‘대타 총리’를 찾지 않을 수 없는 형편이어서다.

안 후보자가 ‘전관예우’ 논란에 휘말려 낙마한 만큼 후임은 후보군 가운데 국회인사청문회를 넘을 수 있는 민심의 눈높이를 기준으로 옥석을 가릴 가능성이 커졌다는게 대체적 관측이다.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의 의견을 박 대통령이 적극 수용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힘을 얻는 까닭이다.

이미 새누리당은 당소속 김무성·최경환 의원,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그리고김성호 전 국정원장 등을 청와대에 일찌감치 천거했고, 그 추천인 명단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얘기가 나온다.

일단 박 대통령은 현 정부에서 지나치게 편중됐다는 지적이 나오는 법조인은 후보군에서 배제할 가능성이 커보인다. 법조인 중용에 대한 여론의 피로감이 높아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은 언론과 야당의 인사검증을 통과할 수 있는 인사를 뽑는데주안점을 둘 것으로 예상된다.

집권 1년여 만에 이미 두 명의 총리 후보자가 인사검증 부실로 인해 청문회 문턱에도 못가보고 낙마한 상황에서 또 한 번의 총리 인선 실패가 발생한다면 그 후폭풍은 정권의 위기 수준으로까지 발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후임 총리의 최대 과제인 ‘적폐 해소 및 관피아(관료+마피아)로 대변되는 공직사회 개혁’을 수행할 능력도 중요한 인선 기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러한 기준에서 박 대통령이 이번에는 정치인 출신을 발탁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국가개조나 관피아 혁파 등 혁신을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국정과 민심에 밝고 강한 추진력을 갖춘 자질의 인사가 요청된다는 이유에서다.

명지대 김형준 교수는 2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관피아 혁파 등은 고도의 정치적 행위로 기득권의 엄청난 저항을 불러올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대통령을 대신해 그 저항을 막아주면서 개혁을 끌어내려면 정치인 중 개혁성이 강한 인사를 발탁하는게 좋다”고 말했다.

정치인은 선거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검증을 받는 만큼, 인사검증을 통과할 가능성이 다른 직군 출신 인사들보다 높다는 의견도 있다. 여기에다 동료 정치인들이어서 인사청문회에서도 상대적으로 ‘살살’ 다루는 것도 이점으로 꼽힌다.

이런 점에서 지난 대선에서 총괄선대본부장을 맡아 대선 승리의 공신이 됐던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과 박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최경환 의원은 여전히 유력후보군으로 거론된다.

호남 출신인 한광옥 위원장은 국민대통합이라는 부분에서, 김종인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은 ‘경제민주화 아이콘’이라는 점에서 개혁성이 각각 장점이다.

다만 김 의원은 당권에 의욕을 보이고 있고, 최 의원은 박 대통령의 최 측근인사라는 점에서 야당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있는 점이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또 한 위원장은 2005년 ‘나라종금 퇴출저지 로비사건’ 연루, 김 전 위원장은 과거 동화은행 뇌물수수 사건에 연루됐던 점에서 총리 후보로서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지방선거후 중앙무대로 복귀하는 김문수 경기지사를 적임자로 꼽는 이들도 있다. 김 교수는 “재산도 많지 않고 8년간 경기도지사를 하면서 행정도 경험했고 무엇보다 개혁적 이미지가 강한게 장점”이라고 말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지난 2004년 17대 총선 당시 한나라당이 탄핵 역풍 속에서 위기에 처했을 때 김 지사가 당시 공천심사위원장을 맡아 인적 쇄신을 부르짖으며 개혁 공천을 밀어붙여 예상 밖 선전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다만 잠재적 대권주자로 꼽히는 그가 청와대의 요청을 받더라도 흔히 ‘대선 주자의 무덤’이라고 하는 총리직을 택할지는 불투명하다.

한편에서는 정치인도 이번에 몰매를 맞은 ‘관피아’나 ‘법피아’와 별 다를 바 없는 기득권 세력으로 국민에게 인식되는 만큼, 능력과 깨끗함을 동시에 갖춘 사회적 명망가를 택하는 것이 한 선택지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유용화 정치평론가는 “개혁을 하려면 기존의 기득권과는 좀 떨어져 있던 사람이어야 할 것이고, 그렇다면 결국 시민사회단체에서 찾아야 한다”며 “깨끗하게 살아오면서 개혁적 성향에 사회적 경륜을 갖추며 시민사회단체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분이 제일 적격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