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 사회의 칸 ==../-국민의힘( 대표

與, 수도권 '빅5' 기초단체 탈환 부심…'4중고'/ '수도권 '빅5' 기초단체 탈환하라'…새누리, 인물난 해소 부심

 

與, 수도권 '빅5' 기초단체 탈환 부심…'4중고'/ '수도권 '빅5' 기초단체 탈환하라'…새누리, 인물난 해소 부심 

***

與, 수도권 '빅5' 기초단체 탈환 부심…'4중고'
데스크승인 2014.02.04  | 최종수정 : 2014년 02월 04일 (화) 14:09:50   

 새누리당이 6·4 지방선거에서 수도권 '빅 5'로꼽히는 거대 기초단체 탈환을 위한 전략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성남·수원·용인·고양·부천 등 5개 도시는 모두 한 해 예산이 1조∼2조원에 달하고 인구는 100만명 안팎으로, 어지간한 광역단체 규모에 버금가거나 오히려 크기 때문에 전략적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광역단체장이 상징성이 강하다면 이들 5개 지역은 앞으로 대선, 총선에서 주요 거점이 될만한 알토란 같은 요충지로 분류된다.

 지난 2006년 지방선거 때는 새누리당이 이들 지역을 석권했으나 2010년 지방선거에선 5곳을 모두 야당이 차지했다.

 새누리당은 이번에는 반드시 되찾겠다며 '고토 회복'을 꾀하고 있지만 그러려면'4중고'를 넘어야 하는 실정이다.

 물론 정치권의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문제가 아직 매듭지어지지 않은데다 만약 새누리당의 희망과 반대로 공천폐지 쪽으로 결론날 경우 소속정당이 무의미해지지만 보수 성향, 즉 사실상 '새누리당 후보'를 반드시 당선시키겠다는 구상이다.

 4중고와 관련, 우선 현장에서 선거전을 이끌 장수인 현역 의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부천은 4개 선거구 모두 민주당이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 지역의 경우 수원(4개 선거구) 1개, 고양(4개 선거구) 1개, 성남(4개 선거구) 2개, 용인(3개 선거구) 2개 지역만 새누리당 지역이어서 절대적으로 열세인 상황이다.

 홍문종 사무총장은 4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역적 열세를 인정하면서 "모두중요한 지역이지만 선거전이 쉽지 않아 최선을 다해 임하는 수밖에 없다.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부딪칠 것"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현역 시장이 모두 야당 소속인 만큼 적잖은 '현직 프리미엄'에 맞서 싸워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특히 골목골목을 누비며 밑바닥을 훑는 방식으로 유권자를 만나야 하는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현직이 누리는 혜택은 막강하다.

 또 하나같이 새누리당이 취약한 젊은 층의 인구 유입이 상대적으로 많은 곳인 데다 집값 하락, 전세 가격 상승 등 부동산 시장 불안에 대한 불만을 품은 중산층도적지 않아 인구 분포 면에서도 불리하다.

 이 같은 악조건을 딛고 승리하려면 적어도 장관급의 명망가가 출마하는 게 유리하지만 정작 새누리당이 접촉한 후보들이 손사래를 치고 있어 '인물난'도 겪고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기초단체장이 격에 맞지 않는다고 여기고, 설령 나온다 하더라도 치열한 당내 경선 과정을 거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물론 지난 2010년 성남에서는 황준기 전 여성부 차관을 전략공천 했지만 민주당에 패배한 전력이 있어 선뜻 외부 인사를 영입하기도 쉽지 않은 형편이다.

 이종훈(성남 분당갑) 의원은 "수도권의 몇몇 매머드급 도시들은 지역을 대표하는 도시로, 반드시 우리 당이 되찾아 와야 한다"면서 "인지도가 높으면서도 유권자들이 수긍할만한 후보자를 찾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

[관련기사]
예비후보 등록 첫날 선관위 '북적'…본격 선거전 돌입

***

'수도권 '빅5' 기초단체 탈환하라'…새누리, 인물난 해소 부심
데스크승인 2014.02.05  | 최종수정 : 2014년 02월 05일 (수) 00:00:01   
   
▲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가 4일 국회 본회의 교섭단체대표연설을 마친 뒤 의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수도권 ‘빅5’인 수원·성남·고양·용인·부천시장을 탈환하라!

6·4 지방선거를 앞둔 새누리당 앞에 놓인 중차대한 과제중 하나다.

이들 5개 시장직은 경기도지사 수성과 인천·서울시장 탈환 만큼 새누리당에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단순히 기초단체장 1석을 차지하는 것 이상의 실속을 챙길 수 있어서다.

이들 5개 시는 인구수만 100만명 안팎이고, 한 해 예산이 1조∼2조원에 달해 어지간한 시·도 규모에 버금가거나 오히려 크기 때문에 전략적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광역단체장이 상징성이 강하다면 이들 지역은 앞으로 대선, 총선에서 주요 거점이 될만한 알토란 같은 요충지로 분류된다.

새누리당은 이번에는 반드시 되찾겠다며 ‘고토(古土) 회복’을 꾀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2006년 지방선거 때는 이들 지역을 모두 석권했지만, 4년 뒤 열린 2010년 지방선거에서는 통째로 내준 아픈 경험을 갖고 있다.

새누리당은 이들 지역 탈환을 위한 전략마련에 부심하고 있지만, ‘4가지’ 벽을 넘여야 하는 현실적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선 현장에서 선거를 진두지휘할 장수인 현역 국회의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부천의 경우 선거구 4곳 모두 민주당이 차지하고 있다. 수원과 고양은 각각 4곳중 1곳에 불과해 숫적으로 절대적으로 열세다.

게다가 현역 시장이 모두 민주당 소속어어서 ‘현직 프리미엄’에 맞서 싸워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또 하나같이 새누리당이 취약한 젊은 층의 인구 유입이 상대적으로 많은 곳인 데다 집 값 하락, 전세 가격 상승 등 부동산 시장 불안에 대한 불만을 품은 중산층도 적지 않아 인구 분포 면에서도 불리하다.

이 같은 악조건을 딛고 승리하려면 적어도 장관급의 명망가가 출마하는 게 유리하지만 정작 새누리당이 접촉한 후보들이 손사래를 치고 있어 ‘인물난’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성남시장 후보의 경우 이병박 정부에서 장관을 지낸 인사 1~2명의 영입설이 나돌았지만, 아직까지 설에 머물고 있는 상태다. 거물급 인사들은 기초단체장이 격에 맞지 않는다고 여기고, 설령 나온다 하더라도 치열한 당내 경선 과정을 거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 한 의원은 “인지도가 높으면서도 유권자들이 수긍할만한 후보자를 찾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재득기자/jdkim@joongb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