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서울대 농생대 부지 도농업기술원 이전 추진
<속보> 경기도가 수원시민을 위해 활용 및 개방한다는 당초 입장과 달리 경기도농업기술원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을 빚고 있다.
특히 이같은 도 계획이 실행될 경우 서울농대 개방이 물 건너가는데다 그동안 경기도와 수원시가 논의해온 ‘서울농대 부지와 수원월드컵경기장의 시 지분 맞교환’ 계획 등도 무산이 불가피해 서울농대 개방과 관리권 이양을 요구해온 시와 시민들의 ‘꼼수 행정’에 대한 반발이 거세질 전망이다.
30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그동안 표명한 것과 달리 서울농대 부지 활용방안으로 화성시 기산동 315 일원에 위치한 경기도농업기술원(이하 도농기원)의 이전을 계획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농기원이 서울농대 부지로 이전하게 되면 현재 사용중인 서울농대창업센터 등과 함께 여유공간이 아예 사라져 수원시와 시민들이 요구해온 시민공간으로의 탈바꿈 및 개방은 사실상 물거품이 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시민을 위한 공간 조성과 개방’을 표명한 도의 입장에 따라 그동안 진행돼온 경기도와 수원시의 도 소유 서울농대 부지와 수원월드컵경기장의 수원시 지분 935억원을 맞바꾸는 등가 방식의 맞교환 계획도 수포로 돌아가게 돼 ‘도의 이중플레이’에 사실상 행정력만 낭비한 사례라는 지적마저 나온다.
당장 도의 도농기원 이전계획이 알려지면서 서둔동 등 서수원권 주민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주민 박모(34·서둔동)씨는 “결국 도는 수원시민들의 피해는 안중에도 없고, 개발이 한참인 화성에 위치한 도농기원을 파는 땅장사로 이익만 챙기겠다는 속셈 아니냐”며 “말로는 시민들의 피해를 보상하고 합당한 활용계획을 내놓겠다고 하더니 눈 가리고 아웅하는 꼴”이라고 말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도가 수원시민들을 위해 서울농대 부지를 보수해 내년 초 개방한다고 해 기대가 컸지만 도의 농기원 이전계획은 충격”이라며 “만약 사실이라면 도농기원 전체가 아닌 사무용 시설만 이전하고, 나머지 최소한의 부지라도 수원시민들에게 개방하는 방법이라도 검토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도농기원을 서울농대 부지로 이전하는 계획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확정된 것은 없다”며 “도는 서울농대 부지의 10년 가까운 방치로 피해를 본 주민과 수원시민을 위해 부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대 농생대 부지는 지난 6월 경인교대 경기캠퍼스 12만2천812㎡와 건물 4만9천186㎡의 도유지와 국유지였던 서울대 농생대 부지 15만853㎡ 및 건물 8천751㎡와 남한산성도립공원 내 부지 1만919㎡를 맞교환, 내년부터 역사 및 문화체험 등 공간으로 활용키로 한 바 있으며, 31일 김성렬 행정1부지사가 이곳을 현장방문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