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부동산의 칸 ../*교통.안전.도로.차량.전철 등

(1)= 수원~구로·부산 내성~송정BRT 생긴다…올해 462억 투입/ (2)=[BRT, 幹線急行─體系] - 간선급행버스체계 - (네이버/두산백과)

(1)= 수원~구로·부산 내성~송정BRT 생긴다…올해 462억 투입/ (2)=[BRT, ] - 간선급행버스체계 - (네이버/두산백과)
 ******( 中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차례]
 (1)수원~구로·부산 내성~송정BRT 생긴다…올해 462억 투입
 (2)[BRT, ] - 간선급행버스체계 - (네이버/두산백과)
 ******( 中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1)

수원~구로·부산 내성~송정BRT 생긴다…올해 462억 투입


등록 2018-02-11 11:00:00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수원-구로(국도1호선) 광역BRT 위치도 (제공=국토교통부)
 
【서울=뉴시스】최희정 기자 = 경기 수원~서울 구로, 부산 내성~송정 구간에 BRT(간선급행버스체계)가 생긴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수도권․부산권 등 대도시권에 저비용·고효율 신교통수단인 BRT 구축 사업에 462억원을 투입한다고 11일 밝혔다.

BRT는 대도시권에서 건설·운영하는 버스시스템으로 전용주행로, 정류소 등 체계시설을 갖춘 교통체계를 뜻한다.

올해 말에는 부산 내성~송정BRT 사업이 개통되고 수원~구로BRT 설계를 완료할 계획이다.

수원~구로BRT 노선은 장안구청부터 구로디지털단지역까지 총 26㎞ 구간으로 오는 12월 착공해 2021년 개통을 목표로 시행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 구간에 BRT 노선을 확대하고 자가용 통행을 억제할 예정"이라며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시켜 출퇴근 시간을 크게 단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 내성~송정BRT(총 연장길이=14.5㎞) 노선 중 1단계(내성교차로~올림픽교차로, 7.4㎞) 구간은 지난해 12월 개통했다.

2단계(올림픽교차로~송정교차로, 7.1㎞) 구간은 오는 하반기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부산 내성-송정 도시BRT 위치도 (제공=국토교통부)
1단계는 부산 동래 도심을 관통해 교통 혼잡이 극심했던 구간에서 BRT 설치로 인해 버스중앙차로로 노선을 변경했다. 이에 따라 가로변의 불법 주․정차가 근절돼 상습적인 교통 혼잡이 해소됐다.
             
부산 내성~서면BRT 노선은 내성 교차로부터 서면 교차로까지 총 6㎞ 구간에 현재 공사 중으로 내년 상반기 개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이 노선은 부산 서면 시가지를 관통하는 중요 구간으로써 직장인들의 출·퇴근 시간이 단축되고, 환승연계 편리성 제공으로 대중교통 이용객 편의가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BRT 노선 신설은 기존 도로를 활용해 건설비가 지하철의 10분의 1 수준으로 사업비 부담이 경감될 수 있고, 정시성 확보 및 버스·지하철의 장점을 살려 대중교통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적은 사업비로 교통개선 효과가 높고 친환경적인 BRT노선 구축을 활성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dazzling@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小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2)

[BRT, ] - 간선급행버스체계 - (네이버/두산백과)


요약 도심과 외곽을 잇는 주요 도로에 급행버스가 운행되는 교통시스템.
원어명 bus rapid transit

도심과 외곽을 잇는 주요한 간선도로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여 급행버스를 운행하게 하는 대중교통시스템을 말한다. 요금정보시스템과 승강장·환승정거장·환승터미널·정보체계 등 지하철도의 시스템을 버스운행에 적용한 것으로 '땅 위의 지하철'로 불리며, 'bus rapid transit'를 줄여서 BRT라고도 한다.

도심지역의 도로와 교통시설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대중교통 서비스의 질이 낮아지며, 교통체증이 지속되어 필요해진 개념으로, 1970년대부터 미국 등 선진국에서 실시되었다. 한국에서는 2005년 말부터 서울특별시와 대전광역시에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2010년까지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건설비가 지하철도에 비해 10분의 1에 불과하면서도 도착정보시스템과 버스우선신호체계·환승터미널 등 지하철도의 시스템의 장점을 갖추어 버스의 정시성과 신속성·수송능력을 크게 높일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에 따라 버스의 대중교통수단 분담률도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간선급행버스체계 [BRT, 幹線急行─體系]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