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여러가지의 칸 ===/◆역학.풍수.지진 등

한반도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 7.0 이상 발생 가능성

한반도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 7.0 이상 발생 가능성


지질학적 주기 400~500년… 1643년 경상도 대지진 기록

양산ㆍ밀양ㆍ울산ㆍ동래단층 등 활성기 접어들면서 우려 제기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역대 2번째 강진으로 한반도도 더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15일 발생한 5.4 규모의 지진으로 포항에서는 건물외벽이 떨어지고 일부 도로가 붕괴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5.4 규모의 강진으로 한반도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지진은 1970년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9차례의 5.0 이상 규모 지진 가운데 두 번째로 강한 것이었다.

규모 5.0 지진은 집과 건물이 흔들리는 것은 물론 사람이 서 있기도 힘들 정도의 강도를 지닌다. 일각에서는 최근 2~3년간 일본·타이완·파키스탄 등 한반도 주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5.0 이상 규모의 지진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볼 때 국내에서도 7.0 이상의 대형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충분해졌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역사 속 추정 대지진(7.0) 가능성···한반도 안전은 '낙제점' = 전문가들은 역사적으로 축적된 지질학적 특성에 집중하고 있다. 한반도는 100년~150년 사이를 두고 지진이 활성화됐고, 규모 7.0 이상의 대지진도 400∼500년 주기로 있어 왔다. 조선왕조실록에도 1643년 울산 등 경상도 남동부에서 7.0 이상으로 추정되는 강진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 

학계는 경북 영덕군에서 경남 양산시를 거쳐 부산에 이르는 영남 지방 최대 단층대인 양산단층이 최근 활성화기에 접어들면서 지진이 잇따르는 것으로 분석한다. 원자력발전소가 밀집한 양주·울산·부산·경주 아래로는 양산단층 등 대표적인 활성단층이 지나간다. 

손문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양산단층 외에도 밀양단층, 울산단층, 동래단층 등 인근에 위험한 단층들이 많다”며 “이 단층들이 활성기에 접어들면서 우리나라에서도 7.0 이상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7.0 규모의 지진은 국내에서 지진계측이 시작(1978년)된 이후 아직 한 번도 발생한 적이 없다. 전문가들은 규모 7.0 이상을 대지진으로 분류한다. 6.0 규모만 돼도 건물에서 창틀이 떨어져 나가고 땅이 가라앉으면서 부실한 건물은 붕괴된다. 7.0 정도의 강진은 산사태나 쓰나미를 발생시키며, 철도를 휘어지게 한다. 또 땅이 심각하게 갈라지면서 거의 모든 건축물이 붕괴된다.

인근에서 발생한 지진 중에선 1995년 일본 고베 대지진(규모 7.2)과 지난해 4월의 일본 구마모토 대지진(규모 7.3)이 대표적이다. 이 두 지진으로 약 1만명이 목숨을 잃거나 다쳤고, 재산피해액도 205조원에 달했다. 특히 일본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규모 9.0)으로 후쿠시마 원전이 폭발하면서 방사능 유출 피해를 입기도 했다. 이 지진으로 1만6000여명이 사망했고, 2500여명이 실종됐다. 또 100만여채의 건물이 훼손됐으며, 피해액도 185조원에 달했다. 

◆6.5 지진 시 국내 원전 안전 의문 = 전문가들은 한반도에는 6.5 이상의 지진만 와도 원전의 안전성을 확답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국내 원전 가운데 규모 7.0의 지진을 견딜 수 있는 것은 신고리 3~4호기 뿐이다. 현재 운영중인 월성·한울·한빛원전·고리·신고리 1~2호기는 모두 6.5로 내진 설계돼 있다. 3개월간 공론화 과정을 거쳐 건설 재개가 결정된 신고리 5·6호기는 규모 7.5까지 견딜 수 있다. 

만약 이런 상태에서 7.0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 시민단체 ‘원자력안전과미래’가 지진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고리원전(설비용량 100만kWe 원전 기준)에서 지진 등으로 인한 중대사고가 발생할 경우 1만1600여명이 7일 이내에 사망하고 50년간 누적 암사망자는 200만명에 달할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과 댐, 교량 등도 예외는 아니다. 현행법에 따르면 국내 건축물의 내진설계 기준은 건물 6.0, 댐 6.1~6.3, 교량 6.0~6.3 등이다. 국내에선 규모 6.0의 지진만 와도 각종 건축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뜻이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전국 건축물 699만여동 중 내진설계 대상 건축물은 144만여동, 이중 내진성능이 확보된 곳은 48만여동(6.8%)에 불과하다. 

◆수도권도 위험하다···서울 강남·송파 취약 일각에서는 수도권, 서울 등에서도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다. 김소구 한국지진연구소장은 “중부 수도권 지역은 200년 동안 지진이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아서 더욱 위험하다”며 “여진 추세를 볼때 서울·경기 등 수도권에서도 강진이 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서울에서는 강남·송파 등의 지역이 지진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대부분의 대지가 화강암·편마암인데 비해 강남이나 송파 일대는 한강에서 오랜 기간 퇴적된 자갈·모래·진흙 등 물기를 머금은 ‘충적층’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지역에는 대지면적에 비해 인구 밀도가 높다 보니 고층건물과 충격흡수가 약한 필로티형 건물이 많다. 한 지질전문가는 “지진 발생에 있어 암반이 얼마나 튼튼한지는 충격흡수 여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며 "땅을 파서 금방 물이 나오는 곳은 지진이 나서 땅이 수평으로 흔들리게 되면 대지가 죽처럼 변해 건물들이 그대로 옆으로 넘어진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가 지난해 서울 지진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서울 중구의 경우 6.5의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 파손되는 건축물은 58만4000동, 사망자는 11만5000여명, 이재민은 10만4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진 규모가 1등급 상승할 때마다 에너지 크기는 32배 커진다. 서울에서 7.0의 대지진이 발생하면 사망자는 275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