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부동산의 칸 ../*❾부동산.일반.종합

文 정부 출범 한달…부동산 시장 전방위로 '들썩'

文 정부 출범 한달…부동산 시장 전방위로 '들썩'

최종수정 2017.06.13 10:12 기사입력 2017.06.13 10:12

 

-서울 아파트값 주간 상승률 0.45%…2006년 11월 이후 최고치
-서울 아파트 분양권 거래 1000건 돌파…5월 매매거래량도 늘어
-분양시장도 후끈…7년 만에 최대 물량 쏟아져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 한 달이 지난 현재, 부동산 시장은 예상과 달리 들썩이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이 가파른 상승세고 거래량도 껑충 뛰었다. 아파트 분양시장에는 7년 만에 최대 물량이 쏟아져나오고 있다. 부동산시장이 전방위적으로 달아오른 것이다.

1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이 지난 5월 대통령 선거 이후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5월 마지막 주 서울 아파트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은 전주보다 0.45% 올라 2006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대선 이후 한 달간 서울 아파트값을 비교해보면 지난 9일 기준 매매가격은 지난달 12일 대비 1.49% 상승했다. 특히 재건축 아파트는 2.69% 올라 오름폭이 더 컸다. 지역별로는 강동구가 5.21%로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송파구 2.37%, 서초구 1.81%, 강남구 1.71% 순이었다. 재건축 아파트 단지가 몰려있는 강남4구가 아파트값 상승을 주도한 것이다. 

거래도 늘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5월 서울 아파트 분양권(입주권 제외) 거래량은 1146건으로 1000건을 넘어섰다. 2007년 분양권 조사를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종전 최고 기록은 지난해 6월 899건이었다. 5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도 1만416건으로 전달에 비해 2600건 이상 많아졌다. 5월 거래량으로는 2006년 실거래가격이 발표된 이후 역대 세 번째다. 

분양시장 역시 달아올랐다. 6월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물량은 5만7429가구로 2000년 이후 최대치다. 5월 대선 이후 미뤄졌던 아파트 분양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졌기 때문이다. 

경매시장에서도 기록이 나왔다. 5월 전국 법원 부동산 경매 평균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지옥션에 따르면 5월 전국 평균 낙찰가율은 78.8%로 경매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1년 1월 이후 월간 낙찰가율로는 최고 수준이다. 직전 최고치는 2008년 5월의 78.2%였다.  

이처럼 부동산 경기가 과열 조짐을 보이면서 정부가 꺼내들 부동산 규제 카드에 관심이 쏠린다.

일단 정부는 당장 8월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경제 관계 장관 간담회에서 "최근 서울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이상 과열을 보이는 것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며 부동산 투기를 좌시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재차 강조하기도 했다. 김 부총리는 탈법 행위 근절을 위해 이번 주부터 관계 기관 합동점검반을 가동, 과열 현상을 보이는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역대 최고 수준의 점검을 진행하겠다고 했다.  

시장에서는 오는 7월 말로 유예가 끝나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대출 규제 강화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조기 도입도 예상하고 있다. DSR은 주택대출 뿐만 아니라 신용카드 대출, 마이너스 통장 대출 등 모든 대출의 원금·이자를 더해 관리한다. 이 밖에 청약조정대상 지역 확대,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유예 중단,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의 규제도 거론된다. 

관건은 규제의 강도다. 임병철 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자칫 규제 강도가 너무 세 경기에 찬물을 끼얹을까 우려가 크다"며 "LTV와 DTI를 지역별, 주택가격별로 기준을 다르게 해 선별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이 거론되는 이유"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내놓는 규제의 강도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대출 규제가 이어지면 당장 부동산 시장을 식히는 데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하반기 입주물량 증가와 미국의 금리인상, 미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 이슈에 따른 불확실성 등도 집값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