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파란blog이전(+)됨:약7십만접속/-박근혜 前 대통령_내용들

대통령의 ‘징크스’, 멈춰서야 한다

대통령의 ‘징크스’, 멈춰서야 한다

동규 dk7fly@joongboo.com 2016년 10월 10일 월요일

 

 

 

대통령의 ‘징크스’, 국민에게도 불행이다. 불행의 ‘징크스’, 깨져야 한다. ‘징크스’는 깨질 때 의미가 있다. 재단 의혹에 대한 정부의 명확한 해명, 기대한다.

‘징크스(jinx)’는 부정적 의미다. ‘불길한 징후’로 풀이된다. 사람의 힘이 닿지 않는 운명(運命)을 내포한다. 고대 그리스의 ‘개미잡이(wryneck/Jynx torquilla)’라는 새 이름서 유래됐다. ‘징크스’는 문화를 양산(量産) 한다. ‘13일의 금요일’은 서양인들에게 불길한 ‘징크스’다. 한국에서 4자(字)는 터부시된다. 병실 번호에 ‘4’가 없는 것도 일종의 ‘징크스’다. 아침에 까마귀가 우는 것도 ‘징크스’ 로 여긴다. 어찌보면 일종의 미신이다. 인과관계의 논리(論理)로 따지기 어렵다. ‘징크스’는 우연(偶然)을 담고 있다. 우연의 반복이 ‘징크스’를 낳는다.

박근혜 대통령의 ‘징크스’는 순방(巡訪)이다. 순방 전후를 막론하고 예외가 없다. ‘불길한 징후’가 이어지고 있다. 부재(不在) 마다 발생하는 대형사건이 그것이다. 순방 ‘징크스’는 외교적 성과를 집어 삼켰다.

박 대통령은 다자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지난달 3개국 순방 길에 올랐다. 이 기간 북한의 5차 핵실험이 있었다. 비상국면은 당연했다. 대통령의 일부 일정이 취소됐다. 이른 귀국길에 올랐다. 엄중한 안보 상황을 감안한 일정 축소였다.

지난 7월 ASEM 정상회의, 몽골 순방 때는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배치 발표에 따른 ‘성주 사태’가 발발했다. 황교안 국무총리가 6시간 30분 동안 억류됐다. 국무총리는 대통령 부재시 권한을 대행한다. 초유의 사태가 빚어진 셈이다. 박 대통령은 ASEM 2일차 세션 직후 타국에서 “국가안보를 위해 국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자정을 촉구해야만 했다.

최근 사례 뿐 아니다. 박 대통령의 순방 ‘징크스’는 외교성과를 집어 삼켜왔다. 순방 첫 ‘징크스’는 2013년 5월이었다. 집권 후 첫 외국(미국)행이었다. 윤창중 대변인의 성추문은 다가올 징크스의 서막(序幕) 이었다. 방미 성과는 묻혔다. 국정 지지도는 일순간 추락했다. 한달 후인 2013년 6월, 순방 ‘징크스’는 또 찾아왔다. 중국 방문 직전 남재준 전 국가정보원장이 남북정상회의록을 공개했다. 대통령 외교는 관심밖으로 밀렸다. 이해 9월 러시아, 베트남 순방 때의 ‘징크스’는 절정(絶頂)이었다. 이석기 통진당 전 의원의 내란음모 사건,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아들건 등은 대한민국을 흔들었다. 대통령의 순방 뉴스는 단신(短信)으로 취급됐다.

해가 바뀌어도 ‘징크스’ 릴레이는 멈추지 않았다. 2014년 6월, 중앙아시아 순방 때는 문창극 전 총리 후보자의 친일 논란이 대두됐다. 순방의 조명(照明) 방향이 바뀌는 것은 당연했다.

2014년 10월 10차 ASEM 정상회의(이탈리아) 순방 뉴스도 묻혔다. 김무성 당시 새누리당 대표의 ‘개헌발언’의 파괴력 때문이었다. 2015년 3월 중동 순방기간 중에는 마크 리퍼트 주한 미대사 피습 사건이 발생했다. 파장은 긴 시간 지속됐다. 2015년 4월, 중남미 순방 때는 이완구 당시 총리의 전격 사의가 있었다. ‘성완종 리스트’ 의혹의 후폭풍이었다. 대통령 권한대행자가 대통령의 부재에 사의를 표명하는 또 한번 초유의 사태를 지켜봐야 했다.

2015년 11월 아세안 정상회의 (말레이시아) 순방 중에는 한국 정치사의 큰별이 졌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서거했다. 박 대통령은 현지에서 애도사를 남겨야 했다.

2016년 6월 아프리카 3개국·프랑스 순방 기간에는 ‘상시 청문회’를 가능케 하는 내용의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대통령 거부권이 타국에서 원격 행사되는 사태가 빚어졌다.

이처럼 박 대통령의 4년여 순방길은 험난했다. ‘불길한 징후’의 연속이었다. 순방 ‘징크스’의 행진은 멈춰섰을까.

최근 국정감사에서 박 대통령의 순방과 관련해 의혹이 제기됐다. 진실공방이 뜨겁다. 미르재단, 케이(K)스포츠 재단이 진실공방의 핵심이다. 해외 순방 성과와 이권을 이들 재단에 몰아주려 했던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다. 순방 ‘징크스’가 또 다시 고개를 든 셈이다. 그동안의 순방 ‘징크스’ 반복이 낳은 악재(惡材)일까… 이번에 제기된 재단 의혹 ‘징크스’는 ‘쓰나미급’이다. 과거의 순방 ‘징크스’들의 파괴력과 비교되지 않는다.

대통령의 ‘징크스’, 국민에게도 불행이다. 불행의 ‘징크스’, 멈춰서야 한다. ‘징크스’는 깨질 때 의미가 있다. 쓰나미급 ‘징크스’에 대한 명확한 해명, 기대한다.

동규 사회부장/dk7fly@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http://www.joongbo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