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파란blog이전(+)됨:약7십만접속/-박근혜 前 대통령_내용들

朴 대통령 지지율 20%대 급락 “뭘 해도 된다는 자만심이 독”

朴 대통령 지지율 20%대 급락 “뭘 해도 된다는 자만심이 독”

최민우 기자 minwoo@joongang.co.kr | 제0호 | 20150131 입력 
이른바 ‘박근혜 지지율 폭락 미스터리’다. 세월호 참사 때도 빠지지 않던 지지율이 왜 새해 들어 30% 선마저 깨졌느냐다. 

한국갤럽은 지난달 30일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 긍정 평가는 29%”라고 발표했다. 박근혜 정부 출범 후 매주 지지율을 조사해 온 갤럽의 조사 중 최저치다. 이에 앞서 리얼미터는 지난달 27일 박 대통령 지지율을 29.7%로 집계했다. 국정 운영의 마지노선인 지지율 30%가 붕괴된 셈이다. “지지하든 반대하든 대통령 지지율 30%는 국가의 불행”(김병준 국민대 교수)이다. 

하락 속도도 가파르다. 1월 첫째 주 40%였던 긍정 평가는 이후 35%→30%→29%로 떨어졌다. 3주 만에 11%포인트 빠졌다. 반면 부정 평가는 51%→55%→60%→63%로 높아졌다. 긍정 평가의 배 이상이다.

역대 정권과 비교해도 최악이다. 문민정부 이후 집권 3년차 1분기 지지율은 김영삼 37%, 김대중 49%, 노무현 33%, 이명박 44%(한국갤럽)였다. “아무리 죽을 쒀도 박 대통령의 콘크리트 지지율 40%는 꺼지지 않는다”는 말이 무색해졌다.

원인으론 청와대 문건 유출, 불통 태도의 신년 기자회견, 연말정산 파동 등이 꼽힌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 때도 50% 내외를 유지하던 지지율이 이런 이유만으로 힘없이 급락했다는 건 충분한 설명이 되기 어렵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과거 사례에서 원인을 찾기 힘들 만큼 박 대통령 지지율 하락이 복합적이고 구조적”이라고 분석했다. 

과거 정권과 비교하면 ‘지지율 폭락의 4요소’가 없다. 우선 광우병 파동 같은 초대형 악재가 없다.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로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집권 1년차에 20%대에 불과했다. 

분명히 드러난 친인척·측근 비리도 없다. 야권은 정윤회 문건 파동을 측근 비리라고 주장하지만 아직 설(說)일 뿐 확인되진 않았다. 여권이 심각하게 분열된 상태도 아니다. 그에 비해 노무현 대통령은 임기 초 대북송금 특검을 수용해 호남 지지층 이탈을 겪었다. 이명박 정부의 경우 박근혜계의 세종시 수정안 반대로 국정 장악력이 떨어졌다. 게다가 박 대통령에게 대항하는 막강한 야당이 없다. 노무현 정부에선 상당 기간 열린우리당보다 야당인 한나라당의 지지율이 더 높았다. 반면 현재 새정치민주연합의 존재감은 미약하다. 여야를 통틀어 강력한 차기 대권 주자도 없다.

이를 강원택 서울대 교수는 “국민 불만은 누적됐고, 대통령은 오판했다”고 정리했다. 국민 불만과 대통령의 대응 사이의 어긋남이 쌓이고 쌓여 지지율 급락으로 표출됐다는 분석이다. 그는 또 “세월호·수첩인사 등 지지율 하락요인이 상존해 있었는데, 빠지지 않으니 ‘나는 뭘 해도 괜찮다’는 대통령의 자만심이 독이 됐다”고 했다. 빠질 때 빠지지 않아 궤도 수정을 못했다는 의미다. 

지지율이 50% 이하로 떨어지고도 회복한 경우는 김대중 대통령의 6·15 남북 정상회담(2000년 3분기) 때가 유일하다. 반면 이명박 정부는 임기 초 20% 지지율이었으나 ‘친서민 중도실용’ 등으로 집권 3년차 40%대로 반전을 꾀한 바 있다. 노력에 따라 반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전통시장과 어린이집을 찾는 등 현장 행보에 나서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그 정도론 안 된다는 평가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은 물론 3인방까지 바꿔야 한다. 확 달라졌다는 메시지를 담아야 한다”고 말했다. 강원택 교수는 “연말정산이든 건보 개혁이든 대통령이 나설 수밖에 없다. 이젠 대통령과의 직접 대화만이 국민을 달랠 수 있다”고 했다.

▶관계기사 4p


최민우 기자 minwoo@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