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여러가지의 칸 ===/◇❽스포츠.취미.자전거.등산.여행.기..

[흔들리는 경기도수원월드컵재단·1]전국에 없는 유일한 기관

[흔들리는 경기도수원월드컵재단·1]전국에 없는 유일한 기관
따로 노는 '두 머리' 산으로 가는 기관
신창윤 shincy21@kyeongin.com  2014년 12월 22일 월요일 제14면 작성 : 2014년 12월 21일 20:08:02 일요일


 

▲ 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 전경. /경인일보DB
조성당시 부족한 건설비 영향
경기-수원 6:4지분으로 출범
이사·직원까지 둘로 나뉘어
명칭·운영권등 12년째 대립

지난 2003년 3월 설립한 (재)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이하 재단)이 유명무실해지고 있다. 재단의 주목적인 축구진흥사업은 뒤로한 채 임대 수익사업에만 열을 올리기 때문이다. 특히 경기도와 수원시 등 2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운영권을 놓고 마찰을 빚으면서 재단의 직원들도 서로 눈치만 보고 있다.

2015년이 되면 재단은 설립한 지 12년을 맞는다. 이에 경인일보는 재단의 현실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대안을 제시해 본다. ┃편집자 주

지난 2002년 한·일월드컵축구대회를 유치하기 위해 전국에 10개의 월드컵경기장이 지어졌다. 10개의 월드컵경기장은 지역색을 가미해 축구장을 건설했고, 이는 한국 축구대표팀이 사상 첫 월드컵 4강 진출의 신화를 쓰는데 기여했다.

하지만 10개의 경기장 가운데 유독 수원월드컵경기장만 독특했다. 당시 프로축구 K리그 수원 삼성의 홈 구장이 필요했던 수원시는 축구 명문 도시로서의 발돋움을 위해 월드컵경기장을 짓기로 했고, 삼성물산에서 맡았다.

하지만 1997년 IMF(국제통화기금) 구제 금융 요청이 빚어지면서 원자잿값 폭등으로 국내 건설경기가 무너졌고, 삼성물산도 수원월드컵경기장 건설을 포기하는 상황까지 맞았다.

이에 수원시는 건설비 확충을 위해 경기도에 지원을 요청했고, 결국 경기도가 60%, 수원시가 40%의 건설 사업비를 출자하면서 2개의 지방자치단체가 2001년 5월 수원월드컵경기장을 완공했다.

하지만 문제는 사업비 비율에 따른 재단 운영권이었다. 경기도는 60%를, 수원시는 40%의 비율을 내세우면서 끝없는 지분 싸움을 했다. 재단의 명칭도 경기도와 수원시 등 2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존재하면서 전국 10개 월드컵경기장 중 유일했다.

다른 월드컵경기장인 서울을 비롯 대전·울산·전주·부산·대구·인천 등은 시설관리공단(사무소)에서 운영해 왔고, 광주는 광주시체육회, 제주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스포츠산업과에서 관리한다.

재단의 머리가 2개다 보니 직원들의 업무 고충도 2배로 늘었다. 직원들은 업무 시행을 위해 경기도와 수원시 등 2개의 지자체에 모두 허가를 받아야 했고, 일부 직원은 경기도(사무총장)와 수원시(관리본부장) 눈치를 보면서 업무를 진행하는 촌극도 빚어졌다.

물론 2개의 지자체는 재단의 이사진에도 반영됐다. 이사장은 도지사가, 부이사장은 수원시장이 각각 당연직으로 맡았고, 경기도기획조정실장과 문화체육관광국장, 경기도체육회 사무처장, 수원시 문화교육국장, 수원시체육회 사무국장 등 경기도와 수원시가 당연직 이사로 자리를 유지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사무총장 자리를 놓고 경기도와 수원시의 잡음이 늘어났고, 결국 수원시의 몇몇 인사가 사무총장을 맡는 현상도 나타났다.

전국에 유사사례가 없는 2개의 지자체가 운영하다보니 직원들간의 불신도 심화됐다. 사무총장과 관리본부장이 서로 다른 지자체에서 내정됨에 따라 직원들은 자신과 맞지 않은 상사와 거리를 두었고, 일부는 다른 직원을 비난하는 등 조직 자체를 흔들었다.

/신창윤기자
<저작권자 ⓒ 경인일보 (http://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