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파란blog이전(+)됨:약7십만접속/*남경필_활동.비전.어록.영상.보도.논객.자료.건의

15년 만에...경기도내 문화재 보호 범위 대폭 축소/ 뭘해도 특별한 서울?...문화보전지역 범위 경기도와 '차별'

15년 만에...경기도내 문화재 보호 범위 대폭 축소/ 뭘해도 특별한 서울?...문화보전지역 범위 경기도와 '차별'  

*******( 中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15년 만에...경기도내 문화재 보호 범위 대폭 축소/

뭘해도 특별한 서울?...문화보전지역 범위 경기도와 '차별'  

*******( 中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15년 만에...경기도내 문화재 보호 범위 대폭 축소 

국가지정 문화재 500→100m 시·도지정 문화재 300→50m 추진
데스크승인 2014.10.27  | 최종수정 : 2014년 10월 27일 (월) 08:19:39

 

   
▲ 경기도가 문화재 보전지역 지정 15년만에 문화재청과 문화재 보전구역 범위 축소에 대한 협의에 나선다. 수원 화령전(사진 왼쪽) 인근이나 안양 당간지주 인근 등 현재 도내 문화재 인근 지역의 경우 급속한 도시화가 이뤄진 곳이 많다.

경기지역 문화재 보전구역 범위가 대폭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가 경기지역 문화재 보전 지역 지정 15년 만에 문화재청과 지정범위 축소에 대한 협의에 나서서다.

경기도는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에 따라 문화재 보전지역 규제를 반드시 해결해야할 ‘대못 규제’로 분류해 놓은 상태다.

26일 경기도에 따르면, 국가지정 문화재 외부 경계로부터 반경 500m, 시·도지정 문화재의 경우 반경 300m 의 역사문화환경보전지역(문화보전지역) 범위를 각각 100m, 50m로 줄이는 방안을 문화재청과 협의중이다.

문화보전지역은 수목 채취조차 힘들고, 개발을 위해선 문화재심의위원회 심의, 경기도 승인을 받아야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도시화가 된 지역의 경우 이미 상당부분 개발이 진행돼있기 때문에 구역 조정이 불가피한 상태”라면서 “주자장으로 조성된 지역도 문화보전지역에 포함돼 개발을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말했다.

경기도가 역사문화환경보전지역 축소를 요청하는 지역은 수원, 부천, 고양 등 도시화된 지역이다.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 403호로 지정된 수원 화서문 인근은 이미 대형 상가 등이 밀집된 상업지역이다.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반월공단내 별망성자(경기도 기념물 제 73호) 주변은 이미 공장들이 꽉 들어차있다.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에 있는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인근과 사적 제115호로 지정된 수원 화령전 인근도 이미 주택과 상가 등이 밀집해있는 상황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도시화가 된 문화재 주변은 인구가 밀집돼 있고 개발수요가 많아 사유재산 침해 수준이 높다”면서 “서울시와의 형평성을 고려해 문화보전지역 범위를 조정해야한다”고 말했다.

서울시의 문화보전지역 범위는 국가지정문화재의 경우 외부 경계로부터 100m, 시지정문화재이 경우 50m다.

이 관계자는 “서울시의 경우 문화보전지역 범위가 경계로부터 1m 인 곳이 있을 정도로 탄력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면서 “경기도에만 너무 엄격한 잣대를 대고 있다”고 말했다.

문화보전지역은 2000년 2월 문화재와 주변지역 경관의 훼손을 막기 위해 설정된후 15년 동안 전혀 변화가 없었다.

또다른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는 서울에 못지 않게 인구밀집도가 높으며 개발수요가 많다”며 “사유재산 침해 등 갈수록 민원이 늘고 있다. 규제개혁, 경제활성화 차원에서 축소 방안을 심각하게 검토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정현기자/ljh@joongboo.com

[관련기사]
뭘해도 특별한 서울?...문화보전지역 범위 경기도와 '차별'


***( 小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뭘해도 특별한 서울?...문화보전지역 범위 경기도와 '차별'

데스크승인 2014.10.27  | 최종수정 : 2014년 10월 27일 (월) 00:00:01


   
▶클릭하면 이미지가 커집니다.

경기도가 대못 규제인 역사문화환경보전지역(문화보전지역) 범위 축소에 나선 것은 문호보전지역 설정이 경기도 현실에 맞지않게 과도하다는 판단때문이다.

이미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도 문화보전지역 범위를 과도하게 설정해 주민 재산권을 침해하고 있고, 문화보전지역 범위가 경기도의 5분의 1 수준인 서울시와의 형평성도 맞지 않는 상황이다.

▶서울시, 경기도의 5분의 1 = 경기도 문화보전지역 범위는 국가지정 문화재문화재로부터 반경 500m, 시지정 문화재의 경우 반경 300m다. 서울시는 국가지정 100m , 시지정 50m다.

서울시의 보호구역범위가 경기도보다 작은 것은 ‘특별’하다는 이유에서다.

수도인 서울시에는 문화유산이 밀집해있는데 이미 도시개발이 진행돼 보전지역 설정을 최소화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는 도성이 위치한 곳이기 때문에 보존해야할 문화유산이 많지만 이미 개발이 많이 진행돼 보전지역 범위가 다른 곳보다 적을 수 밖에 없다”며 “보전지역 범위가 1m 인 문화재도 있다”고 말했다.

보전구역 범위는 지자체와 문화재청과 협의해 고시한다.

경기도는 인구밀도가 높아져 도시화가 된 지역이 많아 서울시와 비슷한 상황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부천시, 수원시의 경우 개발할 곳이 없을 정도로 개발이 진행됐는데도 문화보전구역을 반경 500m 로 설정한 것은 형평성에 맞지않는다”면서 “도시화된 지역만이라도 축소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올초부터 문화재청과 문화보전지역 재설정(축소)에 대한 협의에 착수했다.

경기도는 “문화재청이 경기도만 서울시처럼 줄이면 전국에서 축소를 요구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면서도 “서울시는 문화보전구역이 반경 1m 인 곳도 있다. 어느 곳이든지 탄력적으로 적용하면 풀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경기도내 문화재 900개 = 경기도에는 화서문, 용인 서봉사지현오국사탑비 등 900여개가 문화재로 지정돼 있다. 도시화가 된 지역은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방화수류정)· 장안동(서북공심돈)·신풍동(수원화성 행궁),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중초사지 당간지주), 고양시 덕양구 대서문길(태고사 원증국사탑비)·북한동(북한산성), 구리시 인창동(동구릉 건원릉 정자각), 오산시 지곶동(오산 독산성·세마대지), 하남시 춘궁동(이성산성), 이천시 사음동(설봉산성), 의정부시 호원동(회룡사 오층석탑),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이수선생묘) 등 200여 곳이다.

▶보전지역 축소시 어떤 혜택 보나 = 국가지정 문화보존지역내에서는 수목 채취,주택 건축 등 모든 개발행위가 제한된다. 개발을 위해서는 현상변경등 허가신청을 해야하는데 허가를 받기 쉽지 않다. 주민들은 문화재마다 고도제한 등 각기 다른 개발행위제한 기준에 따라 사업계획을 달리 작성해 위원회에 제출해야하는 불편도 겪어왔다. 보전지역에서 제외되면 경기도와 경기도문화재위원회 등의 심의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등 개발이 쉬워진다.

땅값 상승도 예상된다. 예컨데, 화성 행궁 주변 문화보전지역 공시지가는 1㎡에 약 124만원(2014년 1월기준)인데 바로 옆 지역은 3배 높은 350여만원에 거래가 이뤄진다.

행궁 인근 주민 김영모(43)씨는 “행궁, 팔달문 등 화성 주변으로는 제한이 많아 개발 등이 어려워 흔히들 못사는 지역으로 인식이 된다”며 “제한이 풀리지 않으면 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지역은 발전이 더뎌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현기자/ljh@joongb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