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역_서울 경기 및 지방의 종합/*인천시, 의회

인천광역시(기후∙연혁∙산업∙교통관광∙사회문화 )-두산백과 [ Incheon, 仁川廣域市 ]

인천광역시(기후연혁산업교통관광사회문화 )-두산백과 [ Incheon, 仁川廣域市 ]  

옛 인천지방법원

옛 인천지방법원인천 남구 주안동.

위치 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광역시
면적(㎢) 1002.07
행정구분 8구 2군
행정관청 소재지 인천광역시 남동구 정각로 29(구월동 1138)
장미
나무 목백합
두루미
홈페이지 http://www.incheon.go.kr/
인구(명) 2,853,489(2013년)

동경 124°36′~ 126°47′, 북위 36°55′~ 37°58′에 있다. 동서거리 192.23km, 남북거리 117.60km에 달한다. 북쪽으로 개풍군·황해도 연백군, 동쪽으로 서울특별시·김포시·부천시·시흥시·안산시, 남쪽으로 충청남도 서산시에 접하고, 서쪽으로 서해에 면한다. 2001년 현재 가구수는 82만 9162가구이며, 행정구역은 8구 2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청 소재지는 남동구 구월동 1138번지이다.

연간출생아수는 1998년 3만 5057명이었으나 1999년에는 3만 3985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1,072명이 감소하였다. 1일 평균 93명의 출생률을 보이는데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이다. 연간사망자수는 1998년에는 1만 31명이었고 1999년에는 1만 269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238명 늘어났으며, 1일 평균 28명의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한국문화 형성기로 보아 북방과 남방의 중간지대로서 가장 먼저 근대사의 여명을 맞이한 곳으로서 대륙의 문물이 한반도에 전파되고, 한반도의 문물이 해외로 나가는 중요한 관문이었다. 위도상으로 인천광역시와 비슷한 도시는 스페인의 마드리드,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등이다.
 

인천광역시 본문 이미지 1 강원도서울경기도인천광역시충청남도대전광역시충청북도대구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북도부산광역시전라북도경상남도광주광역시전라남도제주특별자치도울릉도


인천광역시 본문 이미지 2 강화군옹진군서구계양구부평구남동구연수구남구동구중구인천광역시

관련이미지 (5)

이미지 이전
인천광역시 마스코트

인천광역시 마스코트

이미지 갤러리

출처: doopedia.co.kr

 

1/5이미지 다음
  • 인천광역시 마스코트
  • 인천 남구 전경
  • 인천지방법원 북인천등기소
  • 인천지방중소기업청
  • 인천광역시 체육회관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두산백과 두산백과

두산백과의 저작권은 doopedia(두산백과)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저작물로 무단 전재 및 복제를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 이용허락 문의하기

[네이버 지식백과] 인천광역시 [Incheon, 仁川廣域市] (두산백과)



*******(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if !supportEmptyParas]--> <!--[endif]-->

0. 인천광역시


  • 1. 인천광역시의 자연

     

    인천광역시의 지형

    계양산

    계양산인천 계양구 계산동.

    지형은 소래산(279m)·문학산(213m)·계양산(396m)이 동·서·북쪽에 자리잡아 삼각형으로 대치하는 사이에 해발고도 50∼60m의 낮은 구릉이 시가지에 연속적으로 펼쳐져 있다. 지질은 화강암 중에 섞인 변질수성암이 크고 작은 쇄편상을 이루고 있어 대체로 운모편암·화강암·각암이 주요암층을 형성하며 충적층은 땅이 비옥하다.

    그러나 북동부 부평천 유역에 있는 김포평야에 연속된 넓은 평야는 부평공업단지로 공장대가 되었고, 구릉지대도 경지가 되었다가 점차 시가지로 변하고 있다. 해안은 간만의 차(10.2m)가 심하고 수심이 얕은 관계로 천연적 양항으로서의 조건으로는 불리하지만, 넓은 간석지는 천일제염에 유리하여 염전이 널리 발달하였다. 주안염전은 매립되어 공업단지로 조성되었으나 남동에는 대규모 염전이 존속되고 있다.

    1914년 최초 면적은 송림동·창영동·도원동과 서쪽의 항만지대에 한정된 6.05㎢였다. 그후 1936년 10월에 1차로 부천군 다주면 전역과 문학면 일부를 편입하여 27.12㎢가 되었다. 1940년 4월에는 부천군 문학면 등 4개 면과 부평일부를 포함하여 65.82㎢에 이르렀고, 1963년1월에는 작약도를 편입하여 166.32㎢가 되었다.

    1981년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1989년 김포군 계양면과 옹진군 영종도, 용유도가 각각 편입되었고, 1995년 광역시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강화군·옹진군·검단면을 통합하여 958.24㎢의 면적에 이른다. 2001년 현재 111개의 무인도, 42개의 유인도 등 총 153개의 도서가 서해의 해안선을 따라 분포하고 있으며, 총 도서면적은 344.70㎢이다. 

     


  • ***(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2) 인천광역시의 기후


  •  

    인천광역시의 기후

    인천의 기후 그래프

    인천의 기후 그래프

    해안에 위치하지만 중부 내륙의 영향도 많이 받고 있어 해양성·대륙성 기후의 점이적 성격을 띠며, 계절풍의 영향도 강하게 받는다. 서해의 바다안개 영향으로 안개가 많이 끼고 바람은 북서계절풍이 탁월하다.

    기온은 중부 내륙지방보다는 비교적 높아서 연평균기온이 11.7℃(평년값 기준) 정도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152.3mm(평년값 기준) 이다. 적설량은 그다지 많지 않고, 예년 평균 초설은 11월 초순, 종설은 3월 하순으로 강설기간도 짧은 편이다. 무상일수는 평균 210일이다.


  • ***(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2. 인천광역시의 연혁


  • 인천광역시의 연혁

    문학산과 계양산 부근, 만석동 일대의 해안지대에서 돌도끼·돌칼 등의 유물이 출토되고, 문학동·학익동·주안동 일대에 고인돌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5,000∼6,000년 전부터 인간이 거주하고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백제 시조 온조왕(溫祚王)의 형인 비류(沸流)가 현재의 인천에 정착하여 미추홀(彌鄒忽)이라고 명명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것이 인천 최초의 명칭이라 할 수 있다.

    삼국시대 초기에는 고구려 백제의 힘이 대립되는 경계에 위치하여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토호가 할거하는 지역이 되었다. 고구려 장수왕 때에는 고구려의 영토가 되어 매소홀현(買召忽縣)이라 칭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경덕왕 때 소성으로 개칭, 율진군(지금의 시흥시)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1018년(현종 9) 수주에 속하였으며, 숙종 때 경원군, 인종 때 인주, 1390년(공양왕 2)에 경원부로 계속 승격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392년(태조 1) 인주로 환원, 1413년(태종 13)에 인천군이 되었으며, 1460년(세조 6) 도호부로 승격되었으나 1748년(영조 24)에는 현으로 강등, 1757년 다시 부로 환원되었다. 

    1883년(고종 20) 개항되었으며, 개항 당시의 인천부는 부내·원우이·주안·남촌·조동·신개고·황등천·전우·이포·다소 등 10개 면이 있엇으며, 문학산에 있던 치소가 개항과 함께 다소면의 작은 어촌이던 제물포로 옮겨짐에 따라 제물포가 근대 인천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그로부터 인천은 조미수호통상조약, 한일간의 제물포조약, 조·영 및 조·독 수호조약 체결의 무대가 되었고, 유럽과 미국 각국과의 통상의 중심지가 됨에 따라 각국의 영사관이 설치되었으며, 근대적 항만시설이 축조되어 국제도시의 면모를 갖추었다.

    조정에서는 인천항을 관장하는 감리서를 설치하였으나 을사조약과 함께 폐지하고 그 대신 일본이 이사청을 신설하였다가, 국권피탈 후 1895년 이래 인천의 행정기구인 인천부에 통합하였다. 1910년 조선총독부 관제에 의한 부가 되었고, 부세확장에 따라 부평의 대부분을 포함하였다. 

    1914년 인천의 관할구역이 구제물포를 중심으로 한 인천항의 신시가지로 축소되고 구인천읍과 부평이 통합되어 부천군이 되었다. 이 해 월미도가 인천부에 편입되었으며, 1936년에 부천군 다주면과 문학면 각 일부가, 1940년에 부천군 문학·남동·부내·서곶의 4개 면이 각각 편입되어 시역을 확장하였다.

    8·15광복 이후 1949년 지방자치제 실시로 인천시로 개칭되었고, 1963년 부천군 작약도를 편입하였으며, 1968년부터 구제가 실시되었다. 1981년 7월 1일 직할시로 승격, 경기도에서 분리·독립하였다. 1989년 김포군 계양면, 옹진군 영종면, 용유면 등이 편입되었다. 

    1995년 1월 직할시에서 광역시로 개칭되었고, 같은 해 3월 경기도 강화군 전역과 김포시 검단면, 대부면을 제외한 옹진군 전역이 편입되었다. 중구·동구·남구·연수구·남동구·부평구·계양구·서구의 8구와 강화군·옹진군의 2군으로 행정구역을 이룬다.

     


  • ***(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3. 인천광역시의 산업


    • 1) 인천광역시의 농림수산업
    •  

      인천광역시의 농림수산업

      농경지의 분포는 1960년대까지만 해도 부평평야가 중심이었지만 현재는 부평구·계양구에 많이 분포한다. 농업경영형태를 보면,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답작중심 농가비율이 높지만, 과수·채소·축산농가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천은 개항 직후부터 외국인에 의해 과수·채소 등 상업적 영농이 이루어져 근교농업의 발상지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서구는 화훼·낙농·축산, 부평구·계양구는 화훼·낙농·채소·답작, 연수구·남구 남동구는 시설채소·포도·배·화훼, 영종도·용유도 등 도서지역은 과수농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0년 현재 농가구수는 1만 6981가구이며 그 중 전업가구가 1만 442가구이다. 농가인구는 5만 8278명이며 가구당 경지면적은 1.46ha에 이른다. 총 식량작물 생산량은 9만 4434t이며 그 중 미곡 8만 6017t, 맥류 292t, 잡곡 368t, 두류 761t 등이다. 

      2000년 축산현황은 사육가구수로 한우 1,537가구, 젖소 197가구, 돼지사 626가구, 닭사 2,100가구, 오리 273가구, 산양 657가구 등이다. 임야면적은 2000년 현재 총 4만 1717ha로 국유림이 5,063ha, 공유림 1,830ha, 사유림이 3만 4824ha를 차지한다. 유명한 특산물에는 화문석·인삼·순무·옹진섬포도·까나리액젓 등이 있다.

      1995년 1월 편입된 강화군 지역은 전체 주민의 7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한다. 주요농산물은 이며, 무·배추 등 원예작물과 왕골·깨 등의 특용작물도 생산한다. 인삼 화문석은 특산물이다. 옹진군 지역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어 경지율은 가장 낮으나, 토양이 비옥하여 반농반어의 형태를 취한다. 특히 연중 어장이 형성되어 새우·꽃게·피조개·민어·조기 등의 어장이 형성된다. 제염업이 이루어지며 조기잡이철의 파시가 유명하다.

      주요어종은 조기·갈치·새우 등이며, ·대합·바지락 등의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일찍이 주안·소래·남동 등 염전지대에서 천일염이 성행하여, 한국 최초의 천일제염 개척의 선구지이면서 한때 최대의 소금 생산지였다. 최근 염전 면적과 소금 생산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2000년 기준 어가구수는 총 7,084가구 중 전업가구가 1,856호이며 어가인구는 총 2만 186명에 이른다. 어선은 총 2,083척으로 동력선 2,012척, 무동력선 71척을 보유하고 있다. 총 수산물어획량은 4만 5400t이며 그 중에 어류 1만 5900t, 갑각류 1만 5500t, 연체동물 3,600t, 기타 1만 400t 등이다.  

    • ***(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 2) 인천광역시의 공업
    • 인천광역시의 공업

      공업은 개항 직후 소규모의 정미업·양조업 등으로 시작했다. 그러나 중일전쟁 무렵 군수공장이 입지하면서 본격적으로 공업이 발전하기 시작하여, 1960년대 이후 수출주도의 경제성장정책으로 급속히 발전하였다.

      1970년 이전까지는 경공업 중심의 업종구성을 보이다가 1980년대 들어 조립금속·기계장비·석유화학 등 중화학공업 중심의 공업구조로 재편되었다. 1993년 제조업체 5,109개 중 조립금속·기계장비 업종이 전체의 60%를 차지하는 가운데, 목재·가구·석유화학·섬유·의복 순으로 업종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제조업체의 98%는 중소기업이다.

      2000년 현재 총 제조업체수는 7,320개, 종업원수는 19만 7167명으로 증가하였고, 여전히 조립금속·기계장비 업종이 전체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광업은 22개의 업체와 571명의 종업원으로 미약하다.

      제조업체의 절반 가량인 3,730개 업체가 총면적 13.7㎢, 7개의 주요 공업단지에 분산되어 단지별로 특화된 생산활동을 하고 있다. 남동구 논현동·남촌동 일대에 조성되어 있는 남동공단은 총면적 9.6㎢에 기계·화학·섬유업종 등 3,060개 업체가 입주해 있는 가장 규모가 큰 공업단지이다.

      계양구 효성동의 수출공단 4단지와 서구 가좌동, 남구 도화동의 수출공단 5·6단지에는 다수의 대기업체를 포함하여 267개 업체가 있으며, 주요업종은 기계·금속·목재·전기전자·화학 등이다. 이외에도 구시가지에 분산되어 있던 공장들이 이전해온 남구 도화동의 인천지방공단과 인천기계공단이 있으며, 서구 경서동의 주물공단과 하점지방공단이 있다.

      현재 입주하는 기업체에는 기업소득세를 5년간 면제하고, 지방소득세를 10년간 면제하는 등 세제우대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1996년부터 시작된 송도신도시 건설이 2011년까지 완공할 계획으로 추진 중에 있다.

      한편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단둥[丹東]으로부터 토지사용권을 취득하여 1998년 인천단동산업단지를 완공하였다. 중국 동북 3성을 배후로 한 연해개방도시 단둥을 물류와 생산의 거점으로 하기 위한 인천단동산업단지는 인천의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고 동북아시아 경제의 중심지로서 크게 기대하고 있다.

    •  

    • ***(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 3) 인천광역시의 상업
    • 인천광역시의 상업

      1883년 개항 이후 외국인, 특히 일본인들이 현재의 신포동 일대에 상가를 개설함으로써 상업기능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한국 최초로 상관을 설치하여 무역업무를 수행하였다. 

      8·15광복 이후에는 인천을 중심으로 하는 인현동·신흥동이, 1970년대에는 부평구 부평동이, 1980년대에는 남구 주안동과 남동구 간석동이 각각 새로운 상업중심지가 되면서 현재는 경인철도를 따라 상업·업무지구가 고루 발달해 있다. 

      2000년 현재 업무·상업 기능이 내륙의 남동구·남구·연수구·계양구·부평구 쪽으로 집중되고 있다. 1993년에는 시장 76개, 백화점 등 대규모 유통시설 7개소가 있었으나 2000년 현재 107개의 시장이 있고, 백화점 7개, 쇼핑센터 3개 등이 분포하고 있다. 도매기능의 상당부분은 서울특별시의 상권으로 흡수되어 있다. 

      구월동에 있는 농산물도매시장에는 연간 약 25만t 이상의 농산물이 유통되고 있으며, 수산물은 연간 4만t 이상이 유통되고 있다. 외국기업이 제조업 분야에 51개 업체, 서비스업 분야에 18개 업체가 입주해 있고, 31개 업체가 참가하여 2건의 해외시장을 개척하였다. 제조제품, 기계 및 운수장비, 화학물 및 관련제품이 주요 수출품목이며, 연간 약 655만 달러의 수출실적을 올리고 있다.


  • ***(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 4. 인천광역시의 교통관광

  • 인천광역시의 교통관광

    월미도 놀이공원

    월미도 놀이공원인천 중구 북성동.

    1993년도 인천항을 통해 연간 1만 9150척의 선박이 입항하고, 화물 4억 124만 1000t, 여객 109만 8000명을 수송하였고, 2000년에 시에는 2종 및 3종어항이 각각 32개 소, 5개 소가, 육지어항 10개소, 도서어항 38개 소 등이 생겼으며 여객수 136만 2138명, 화물량 15억 6488만 2000t으로 7년 동안 크게 증가하여 국제적인 항구도시로의 면모를 보였다. 최근 중국의 웨이하이[威海] ·톈진[天津] ·칭다오[靑島] ·다롄[大連] 등을 연결하는 정기항로가 개설되었다.

    다른 지역과 연결되는 도로로는 서울과 연결되는 경인고속도로 및 국도와 수원을 연결하는 국도가 있다. 이 도로들은 교통량이 많아 만성적인 체증현상을 겪고 있다. 시의 남쪽 해안을 따라 건설한 서해안고속도로로 기존 도로의 체증현상이 많이 완화되었다.

    시내도로는 주안·간석·부평 등 신시가지에는 노폭이 넓은 직교상의 도로망이 발달해 있는 반면, 중구·동구 일대의 도로는 노폭이 좁고 복잡한 도로망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심의 교통난이 극심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시외곽 순환도로가 건설되었다.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를 매립하여 건설한 인천국제공항은 수도권 항공운송의 수요를 분담하고 동북아시아의 중추공항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며, 이에 따라 서울과 신공항을 잇는 10차선 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

    1899년 건설된 경인선 철도는 1974년 전철화되어 서울의 지하철망과 연결됨으로써 서울~인천 간 통근·통학수단이 되고 있다. 1937년에 건설되어 인천항과 수원을 연결하던 협궤철도 수인선은 낮은 경제성으로 1995년 말 영업을 중단한 후 2012년 6월 복선전철로 재개통되었다. 1993년부터 인천 지하철 건설이 시작되어 1999년 1호선이 개통되었으며, 총 3개 노선, 총연장 78.87km의 지하철을 완공할 계획이다. 

    시의 문화재 현황으로는 국보 1점, 보물 21점, 천연기념물 9점, 사적 16점, 민속자료 1점, 무형문화재 6점 등의 국가지정문화재와 기념물 46점, 민속자료 2점, 문화재자료 16점, 유형문화재 35점, 무형문화재 8점 등의 도지정문화재가 있다.  

    연간 총 2500만에서 3000만에 달하는 관광객이 몰리는 국제적인 관광도시로서 뛰어난 자연경관이 발달한 해양관광자원과 공업단지가 제공하는 산업관광자원 및 도시 곳곳에 산재해 있는 공원 및 문화유적 등 많은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해양관광자원으로는 송도유원지·을왕리해수욕장이 있는 영종도 ·용유도, 울창한 수목과 바다낚시장소로 유명한 작약도, 해수욕장이 있고 각종 문화행사가 열리는 월미도, 연안부두, 소래포구 등이 있다.

    주요공원에 1888년 응봉산 일대에 조성된 한국 최초의 서구식 공원인 자유공원을 비롯하여 남구 숭의동의 수봉공원, 동구 장수동의 인천대공원 등이 있다. 

    동구에 있는 화도진공원은 통상수교거부정책으로 서구세계와 외교를 맺지 못하고 교역이 없었던 조선 말기 고종 16년 외국선박을 감시하기 위해 설치된 화도진지가 있었던 자리로 동구 화수동 128번지, 163번지 일대 주변에 조성되어 있다. 서해의 영종도, 작약도, 월미도가 한눈에 보이는 시원한 도서경관을 볼 수 있는 곳으로 관광객이 많이 들리고 있다. 

    한편, 주요문화유적에 신라 말기에 초기 청자를 만들었던 서구 경서동의 녹청자도요지와 백제 건국 당시의 도읍지로 알려진 문학산성,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던 동구 화수동의 화도진지, 조선 후기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남구관교동의 인천향교, 계양산성, 약사사 등이 있다.

    시의 산에 마니산, 무의도산, 영종도백운산 등이 있다. 무의도산 등산코스는 연안부두에서 샘꾸미선착장을 지나 호룡곡산, 구름다리, 국사봉, 애기봉, 큰무리 선착장 등을 거치는 길로서 약 2시간 30분의 소요시간이 걸리며 인천항, 인천국제공항, 해수욕장 등의 도서경관을 볼 수 있어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고, 전등사가 있는 마니산과 용궁사가 있는 백운산에도 연중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다. 



  • ***(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 5. 인천광역시의 사회문화

  • 인천광역시의 사회문화

    인천광역시 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광역시 종합문화예술회관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조선시대 교육기관에 1127년(인종 5) 계양산 남쪽 기슭에 설립된 부평향교와 1398년(태조 7) 남구 관교동에 설립되어 일명 부천향교라고도 불렸던 인천향교가 있다. 서원으로는 1702년(숙종 28)에 설립된 학산서원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에 1892년 선교사에 의해 설립된 인천영화여학당과 영화학당이 최초이다. 

    1895년 관립 한성외국어학교 인천지교가 설립되었고, 1899년 부평공립보통학교가 설립되었다. 지방유지들에 의하여 설립된 사립학교에 1899년 일신학교, 1900년 인천사립박문소학교, 1903년 제령학교, 인명학교 등이 있었다. 

    8·15광복 후 교육기관의 확장으로 1954년 인하대학이 설립되어 1972 종합대학교로 승격하였고, 1962년 인천교육대학(지금의 경인교육대학교), 1979년 인천대학이 설립되어 1989년 종합대학교로 승격하였다. 초등교육 중등교육을 실시하였던 특수학교에 1955년에 설립된 인천농아학교, 1958년에 설립된 경기맹아학교 등이 있었다. 1973년에 설립된 인천승희학교와 1975년에 설립된 인천송원학교는 정신박약아의 교육을 맡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에는 인천대학교·인하대학교·경인교육대학교·인하공업전문대학 등이 있다. 정규교육기관 외에 인천교육원, 해양탐구학습장과 시립도서관을 비롯한 도서관 등이 있다. 주요문화시설에 각종 문화재가 전시된 연수구 옥련동의 시립박물관, 각종 공연 및 전시가 열리는 남동구 구월동의 종합문화예술회관이 있다.

    문화행사에 제물포예술제, 시민의 날 문화행사, 화도진축제, 월미축제가 있으며, 강화군 지역에 전해오는 민속놀이로 시선뱃놀이와 용두레질놀이가 있다. 옹진군 송림면 연평리에는 임경업 장군을 모신 충민사가 있어 매년 봄마다 풍어를 기원하는 행사가 벌어진다. 

    1962년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버뱅크시와 자매도시 결연을 맺었다. 매년 6월에 열리는 제물포축제는 인천광역시 미술대전, 인천광역시 사진대전, 국악, 주부백일장, 관악제, 청소년교향악단연주회, 생활비디오한마당, 인천상생굿, 문화가족음악의 향연 등 다채로운 문화예술행사들이 펼쳐지며 시의 향토문화를 보존, 발전하고 시민의 화합을 도모하는데에 이바지 하고 있다.

    화도진축제는 매년 4월 말에서 5월 말까지 동구 화도진공원 및 관내에서 한달간 개최되는 전통문화행사로서 전통문화의 가치보존과 계승 그리고 창조적 발전을 통한 지역의 독창적 가치 추구를 도모하고 있으며, 인천의 대표적 향토문화축제로서 발전, 승화하고 있다. 이밖에도 매년 10월 부평풍물대축제 및 서곶문화예술제, 격년으로 열리는 강도문화제, 은율탈춤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