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파란blog이전(+)됨:약7십만접속/-박근혜 前 대통령ㆍ청와대

김무성 대항마 … 친박, 서청원 밀까 최경환 띄울까-

김무성 대항마 … 친박, 서청원 밀까 최경환 띄울까

[중앙일보] 입력 2014.04.14 01:01 / 수정 2014.04.14 09:33

당대표 경선 최경환 새 변수
서·최 함께 나오면 표 분산 우려
"최 출마설 청와대 뜻 실려" 분석도
이인제 "대표·최고위원 따로 뽑자"


여의도에선 지금 두 개의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벌이고 있는 ‘지상전(地上戰)’이 하나, 새누리당 당권을 놓고 수면 아래서 일어나고 있는 소리 없는 ‘내전(內戰)’이 다른 하나다.

5월 초 원내대표 경선을 시작으로 5월 말 국회의장을 선출하고, 7월 14일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를 뽑는다. 다음 새누리당 당권을 잡는 사람은 2016년 총선 공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조금 더 멀리 보면 ‘차기’ 구도와도 상관이 있다. 여권의 주요 포스트인 당 대표와 국회의장, 원내대표는 서로 독립변수가 아니다. 누가 어떤 자리로 가느냐가 다른 자리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방정식이다.

새누리당의 차기 당 대표 경선에 ‘최경환 변수’가 등장하고 있다. 최경환(경북 경산-청도) 원내대표는 그간 “원내대표직을 마치면 당분간 쉴 것”이라고 말해오다 최근 “좀 두고보자”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 1차 명분은 대구·경북(TK) 지역 의원들의 전당대회 출마 요청이다. TK지역 한 의원은 13일 “TK를 대표하는 정치인이 전당대회에 나서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다”며 “곧 지역 의원들의 총의를 모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 원내대표가 청와대의 신뢰를 받는다는 점에 비춰 대표 출마설은 청와대의 뜻이 실린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최 원내대표가 출마할 경우 당권 구도는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우선 같은 친박계인 서청원 의원과의 표 분산을 우려하는 사람이 많다. 두 사람이 역할 분담을 해야 한다는 얘기가 그래서 나온다. 친박계 일각에서 ‘서청원 국회의장, 최경환 당 대표’ 시나리오가 거론되는 배경이다. 당내에선 “서청원 의원과 김무성 의원의 경쟁이 과열될 경우 후유증이 클 수밖에 없다. 대표는 양보하되 최고위원들을 최 원내대표 등 친박계로 포진해 견제하자”는 얘기도 나온다. 하지만 서 의원은 대표 경선에 집념을 보이고 있다. 올 들어 충북도당과 인천시당, 용인시당 등 전국의 당원협의회를 돌며 당원 교육에 앞장서고 있다. 서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의 요청으로 하얼빈역에 안중근 의사 기념관이 생기는 등 외치(外治)의 성과가 크지만 선진화법으로 국회가 묶이면서 정치가 해야 할 일들을 못하고 있다”며 집권 2년차 ‘강한 여당론’을 앞세우고 있다. 대야 관계가 원만한 강점을 부각하며 당심(黨心)을 파고들고 있다.

 김무성 의원 역시 “아직은 당권을 말할 때가 아니다”는 입장이지만 당원들과 접촉면을 늘리고 있다. ‘역사교실’ ‘통일경제교실’ 등을 열며 콘텐트 쌓기에 집중해온 김 의원은 12일 열린 세종과 울산의 새누리당 후보 경선장을 시작으로 각 지역 광역단체장 후보들의 합동연설회나 선출대회에 빼놓지 않고 참석하고 있다.

 물밑에선 서·김 의원 간 각축이 이미 시작됐다. 우여곡절 끝에 김무성 의원과 가까운 김학용 의원이 경기도당위원장에 선출되긴 했지만 이 과정에서 양측이 낯 뜨거운 공방을 벌인 게 대표적이다. 두 사람의 경쟁은 원내대표·국회의장 선출과도 맞물려 있다. 공교롭게 차기 원내대표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이완구(충남 홍성) 의원은 서 의원(충남 천안)과 같은 충청권 출신이고 부산 태생인 김무성 의원과 원내대표 출마설이 나도는 정갑윤(울산) 의원은 부산·경남(PK) 출신으로 겹친다. 이 때문에 서 의원이 정갑윤 의원을 원내대표로 민다는 얘기도 나온다. 하지만 서 의원 측 관계자는 “비록 고향은 충남이지만 서울에서 20년 넘게 정치를 했고 지금 지역구는 경기도 화성”이라고 일축했다.

 대표 경선의 또 다른 변수는 1인1표제와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안이다. 선진당 출신으로, 상대적으로 당내 기반이 취약한 이인제 의원이 들고나온 안이지만 뜨거운 쟁점이 되고 있다. 현행 대표 선출은 최다 득표자가 대표가 되고, 차순위자들이 최고위원을 맡는 방식이다. 하지만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나눠 선출할 경우 당내 최대 계파인 친박계의 입김이 결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각에선 “친박계가 김무성 의원의 지도부 입성을 배제하려는 계산이 깔린 것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그러나 경선 직전의 당헌·당규 개정은 또 다른 분란을 야기하는 만큼 쉽지 않을 거란 전망이 많다.

권호·김경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