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 사회의 칸 ==../-국민의힘( 대표

친박, 직계·서청원계·당권파 등으로 분화… 비주류, 정몽준·김무성·김문수 '3M' 중심

친박, 직계·서청원계·당권파 등으로 분화… 비주류, 정몽준·김무성·김문수 '3M' 중심

  • 김봉기 기자 현재 여권(與圈) 내 친박 진영은 과거와 달리 분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에 입성하기 전만 해도 단순히 박 대통령의 주변 근접 여부에 따라 '근박(近朴)' 또는 '원박(遠朴)', 언제부터 친박 활동을 했느냐에 따라 '원조 친박' 또는 '신(新)친박' 등으로 나뉘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청와대 입성 후 친박 내 구심점이 약해지면서 분화도 다양해졌다.

    먼저 핵심 그룹인 친박 당권파가 있다. 친박 내 주류 세력으로 친박 내 여론 형성을 여기서 주도한다. 최경환 원내대표나 홍문종 사무총장 등이 해당된다.

    또 친박계 맏형격인 서청원 의원이 작년 국회에 복귀하면서 서 의원을 중심으로 한 그룹도 생겼다.

    노철래·이우현 의원 등처럼 친박연대 때부터 또는 이보다 훨씬 전부터 서 의원을 도왔던 인사들이 주축이다.

    당 운영 전면에서 한발 물러나 있는 친박계 비주류들도 있다. 차기 원내대표 후보로 거론되는 이완구 의원이나 한때 핵심 친박이었지만 관계가 소원해진 유승민 의원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박 대통령의 직계 그룹이다. 박 대통령의 의중을 가장 잘 파악하고 직접 메시지를 받는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이 대표적이다. 당에선 여야 갈등 국면 때 전면에 나서 청와대 입장을 가장 잘 '대변'한다는 평가를 받는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 등이 포함된다.

    비박(非朴) 및 비주류 진영은 이른바 '3M'(3명 모두 영문 약자에 M이 들어감)으로 불리는 정몽준·김무성 의원과 김문수 경기지사를 중심으로 결집하고 있다. 정 의원과 김 지사는 비박계다.

    김 의원은 친박도 친이도 아닌 비(非)당권파 정도로 분류된다. '원조 친박' 출신인 김 의원은 김성태·김학용 의원 등 비박계 의원들뿐 아니라 상당수 친박계 의원들과도 친분이 깊다.

    서울시장 출마를 검토 중인 정몽준 의원은 안효대·조해진 의원과 정양석 전 의원 등이 돕고 있다. 6월 지방선거 이후 당으로 복귀할 김 지사는 당 소장파인 김용태 의원을 비롯해 차명진·신지호 전 의원 등이 함께해왔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