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파란blog이전(+)됨:약7십만접속/-박근혜 前 대통령_내용들

[서울광장] ‘협상가’ 박근혜와 ‘대통령’ 박근혜/최광숙 논설위원

 

[서울광장] ‘협상가’ 박근혜와 ‘대통령’ 박근혜/최광숙 논설위원

협상을 하는 당사자이면서도 협상 테이블에 직접 나서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런 당사자들을 ‘숨은 협상자’(hidden table)라고 한다. 이번 철도노조 측과 협상에 나섰던 최연혜 코레일 사장이 공식 협상자라면 그 뒤의 ‘숨은 협상자’는 정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뒤에서 사실상 진두지휘한 박근혜 대통령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최광숙 논설위원

‘협상가’로서의 박 대통령은 목표 지향적이다. 22일이라는 역대 최장 기간의 철도파업으로 인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결국 정부가 당초 계획했던 수서발 KTX 법인 면허 발급에 성공했다. 그런 점에서 이번 협상의 최대 승리자는 박 대통령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박 대통령의 협상 스타일을 보면 평소의 원칙주의자 모습이 그대로 드러난다. 파업 과정에서 “원칙 없이 타협한다면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는 기조를 끝까지 단호하게 밀어붙였다. 파업 개시 13일 만에 어렵사리 이뤄진 노사 교섭이 결렬됐는데도 냉각기조차 갖지 않고 바로 그날 수서발 KTX 면허를 발급한 것을 보면 더욱 그렇다. 당시 이를 지켜보던 국민들은 ‘불에 기름을 끼얹은 격’이 될까 걱정한 게 사실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면허 발급 이후 파업이 추동력을 잃기 시작한 것을 보면 박 대통령의 일관된 원칙 준수가 협상에서 결정적 힘을 발휘했다고 할 수 있다. 보통 협상 과정에서 자신의 원칙만 고집하면 협상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번 철도노조 파업을 보면 ‘원칙’도 협상의 주요 덕목임을 보여주었다.

일본 소니의 공동 창업자 모리타 아키오 사장은 1955년 소니가 미국에 진출할 당시 OEM방식으로 라디오 10만대를 수출할 수 있었지만 이를 포기했다. 대신 당시 무명의 소니라는 브랜드를 고집하는 원칙을 지켜 소니를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발판을 마련했다. 이처럼 뛰어난 협상가, 리더들은 당장 눈앞의 이익만을 보는 대신 장기적으로 더 소중한 ‘가치’를 추구한다.

그럼 이번 철도파업 해결 과정에서 ‘대통령’ 박근혜는 어떠했는가. 우선 협상 내내 스스로 세운 목표에서 한 치의 흔들림이 없이 ‘원칙’을 견지해 사태를 해결함으로써 공공부문 개혁의 명분까지 얻은 것을 가장 큰 성과로 꼽을 수 있다. 하지만 파업 사태 해결 과정에서 많은 아쉬움을 남긴 것도 사실이다.

협상 이론에 ‘80대20 법칙’이 있다. 전체 노력의 80%는 협상 전 사전 준비에 쏟아붓고, 실제 협상 과정에서는 나머지 20%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이다.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가 탄광노조와의 일전(一戰)을 앞두고 1년치 석탄을 비축하는 등 치밀하게 준비한 게 그 예다. 하지만 이번에 정부가 KTX 자회사 설립을 위해 어떤 전략을 세우고, 노조 측 반발에 어떻게 대응할지 미리 대책을 세웠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다.

파업 초기에는 ‘민영화=악’이란 프레임에 갇혀 철도 경쟁의 필요성에 대한 대국민 설명과 설득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미숙한 대응으로 일관했다. 협상가로서는 성공했을지 몰라도 반대 진영까지 설득해 끌어안고 가야 하는 대통령으로서의 면모도 부족했다. 정부의 초지일관 강경 기조는 박 대통령의 ‘불통’(不通) 이미지를 강화시키기도 했다.

‘협상가’는 협상에서 이기면 그것으로 끝이다. 하지만 ‘대통령’은 다르다. 협상에서 목표 달성도 중요하지만 협상 과정과 협상 이후 대처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대통령은 협상 테이블에 앉은 파트너들과의 신뢰 구축을 통해 향후 갈등을 예방하는 등 장기적 안목으로 국정을 운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협상은 상대를 이기려는 경쟁과 서로 이익을 주고받는 협력이란 양면성을 지닌다. 박 대통령은 이제 경쟁보다 협력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국민들은 ‘법과 원칙’을 중요시하지만 다른 생각을 가진 이들과 대승적 차원에서 대화하고 소통하는 지도자로서의 모습을 보고 싶어한다.

bor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