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는 11일
여의도 당사에서 경기일보 등 한국지역언론인클럽
회원사와 공동인터뷰를 통해
수도권의 접경지역, 오지 등에 대해 지역의 특성을 활용해 개발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후보는 특히 접경지역에는 이 지역이 보유한 희귀 생태자원과 문화유산을 종합적으로 활용해 ‘평화지대 프로젝트’를 추진해 나갈 예정으로,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육성하고, 장기적으로는 유라시아 대륙진출 물류전진기지로 육성할 것을 제시했다.
또 최근 갈등을 빚고 있는 수도권매립지 문제에 대해 당사자 간 협의체를 구성해 심도있게 토론하고 당사자 간 합의를 통해 도출할 수 있도록 공익적 입장에서 리더십을 발휘할 것임을 약속했다.
- 선거가 8일 남았다. 필승 전략은.
어떤 선거에서든 승리를 자신한 적이 없다. 결과는 국민이 결정하시는 것이다. 이번 대선 선거운동 전체를 통해 일관되게 추진해온 전략은 민생 챙기기와 국민통합, 그리고 정치쇄신이다.
국민의 목소리를 듣고 애환과 소망을 꼼꼼히 적어서 민생을 살리기 위한 실천약속을 만들었다. 반드시 약속을 실천해서 국민의 삶을 따뜻하게 보살피는 민생정부를 만들고자 한다.
대선 필승 전략은?
“국민의 열망ㆍ목소리 크게 들어 민생 살리기 약속 반드시 실천”
- 이번 대선의 의미와 당선되면 가장 먼저 어떤 조치를 할 것인가.
이번 대선은 준비된 미래로 나아가느냐, 실패한 과거로 돌아가느냐를 결정하는 중요한 선거이다. 국민통합을 이루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책임 있는 변화를 만들 것이다. 국민대통합을 위해 무엇보다 지역과 성별을 차별하지 않고 인재를 골고루 등용시키는 대 탕평 인사를 할 것이다.
- 여성대통령의 탄생은 어떤 변화를 가져 올 것이라고 보나?
앞으로 여성대통령이 탄생한다면, 우리 사회에 남아있던 차별과 금기들이 사라질 수 있는 새로운 출발이 될 것이다. 우리 딸들의 미래에 무한한 기회가 됨과 동시에 사회 전반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최고의 변화이자 쇄신의 출발이라고 믿는다.
- 지역신문특별법의 상시법 전환 등에 대해 어떤 입장인가.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지역 언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지금 지역 언론들이 어려운 여건과 급변하는 미디어환경 속에서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지역 언론이 지역발전을 선도하고, 지역여론의 대변자 역할을 잘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
지역신문특별법의 한시규정 폐지를 통한 상시법 전환, 지역신문발전기금의 추가 확충 등의 방안은 지역언론이 제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방안이라고 판단한다, 이러한 기조 하에 구체적인 지원방안에 대해서는 각계 의견을 수렴해서 검토해 나가겠다.
지역신문특별법, 상시법 전환 입장은?
“지역언론, 지역발전 선도 역할 지발금 확충 등 아낌없이 지원”
-수도권 규제 완화에 대한 견해와 해결방안은.
수도권과 지방을 지역균형발전과 상생발전의 차원에서 접근해 나갈 계획이다. 수도권의 불합리한 규제는 일자리창출 및 경제활성화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되, 수도권의 접경지역, 오지 등에 대해서는 그 지역의 특성을 활용하여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접경지역에는 이 지역이 보유한 희귀 생태자원과 문화유산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평화지대 프로젝트’를 추진해 나갈 예정으로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육성하고, 또한 남북화해협력을 전제로 남북공동경제구역을 설치하여 남북경제 협력을 촉진하며, 장기적으로는 유라시아 대륙진출 물류전진기지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 수도권 매립지 연장을 놓고 인천과 서울, 경기가 심각한 갈등을 빚고 있는데 대책은
이 문제는 2016년 매립완료가 예상했던 수도권 매립지가 매립 가능 부지의 54%만 사용되어, 이로 인한 매립기한 연장 문제를 놓고 서울·경기·인천 간에 갈등이 첨예하게 발생했다.
인천은 악취 등 환경상 주민피해, 매립지로 인한 지역개발 저해 등을 이유로 계획대로 2016년에 매립을 종료하자는 입장이고, 서울·경기는 대체 매립장 조성 등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매립기한을 연장하자는 입장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방자치단체 간 갈등이 첨예한 문제는 당사자 간 협의체를 구성하여 심도있게 토론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정부는 당사자 간 합의를 도출할 수 있도록 공익적 입장에서 리더십을 발휘할 것이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