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 | 정치부/류승연 기자 | 언제부터인가 ‘무소속 출마 당선 후 입·복당’이 국회의원 선거의 유행처럼 돼 버렸다. 이번 4·29 재보선도 예외가 아니다. 민주당은 2곳, 한나라당은 1곳에서 ‘집안싸움’을 벌인다.
무소속 출마자들이 내세우는 출마의 변은 다양하다.
전주 덕진의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은 애당심이 이유라고 했다. 당을 위해 일하고 싶은데, 당이 공천의 기회조차 주지 않으니 무소속 출마를 할 수 밖에 없다는 논리다.
전주 완산갑에 출마한 신건 전 국정원장은 15일 후보자등록을 마친 후 “전주 발전을 위해 무소속으로 출마하게 됐다”며 지역발전을 내세웠다. 신 전 원장은 "민주당 복당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했지만, 두고볼 일이다.
경북 경주에서 출사표를 던진 친박근혜계 정수성 전 육군대장의 출마의 변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업 계승이다. 그는 “화랑정신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업을 계승해 신라 천년의 영광을 재현하겠다”고 했다.
당선된 후에는 한나라당에 입당한다는 것이 정 전 대장의 당초 입장이었지만, 최근에는 친박연대의 문을 두드리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중진 인사들의 잇따른 무소속 출마는 한국 정당정치의 현주소이기도 하다.
특히 정 전 장관은 지난 대선에서 민주당의 얼굴인 대선후보였다가 친정에 대항해 신 전 원장과 무소속 연대를 결성, ‘공(公)보다는 사(私)’가 앞선정당정치의 후진성을 여실히 보여주게 됐다.
‘무소속 출마 후 입·복당’이라는 선례가 이러한 정치적 후진성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각 당이 복당불가 방침을 밝히고 있지만 이미 약발 효험은 없다.정당의 공천시스템이 권력투쟁의 수단으로 이미 전락했기 때문이다.
<류승연 기자 scaletqueen@asiatoday.co.kr> {ⓒ '글로벌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