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수원특례시의 종합/*기존_ 자료3(수원관련)종합

안전도시 자랑하던 수원시에 폭발참변

안전도시 자랑하던 수원시에 폭발참변
2011년 09월 26일 (월) 경기일보 webmaster@ekgib.com
국제안전도시를 자랑하던 수원의 도심 한복판이 폭발사고로 쑥대밭이 됐다. 영업 중이던 주유소세차장이 폭발해 주택이 무너지고, 시민들은 죽거나 다쳤다. 동양최초의 안전도시에서 발생한 전형적인 후진국형 참사다.

이번 사고는 통상적인 폭발사고와 다르다. 주유소 건물이 통째로 날아갔고, 인근 주택의 벽과 유리창이 모두 부서졌다. 주유소 내 차량은 물론이고 인근을 지나던 차량까지 파손됐다. 세차 중이던 손님이 숨졌고, 외국인 근로자를 포함한 종업원 2명도 희생됐다. 인근을 지나던 시민 3명은 쏟아져나온 불길에 중상을 입었다.

목격자들은 ‘아비규환’이었다고 전했다.

수원시는 10년 넘게 자랑해온 국제 안전도시다. 2002년 2월 국제안전도시로 공인받았다. 국내는 물론 동양에서도 최초였다. 이후 안전도시를 자랑하기 위한 각종 행사가 이어졌다. ‘수원 안전도시 박람회’ 등 국제행사도 개최됐다. 지난해 4월에는 ‘21세기 행복 코드는 안전’이라는 화두를 던지기도 했다. 제주도(2007년), 송파구(2008년), 원주시(2009년)의 인증을 이끌었던 선도적 안전도시라는 자랑도 끝없이 해왔다.

그랬던 수원시에서 제주도나 송파구, 원주시에서는 보지도 듣지도 못했던 후진국형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하루아침에 시민들을 ‘내 집 주변 주유소는 괜찮으냐?’는 공포 속으로 몰아넣었다.

이미지 타격의 문제가 아니다. 현실적 책임을 묻고 추궁할 문제다. 문제의 주유소를 허가하는 것은 수원시다. 주유소의 허가 조건은 까다롭다. 학교나 놀이터와 50m 이상, 공동주택, 종합병원, 소매점, 예식장과 25m 이상 떨어져야 한다. 이런 조건이 맞았다면 왜 인근 집이 무너지고 행인이 중태에 빠지나. 따져봐야 한다.

허가 이후의 안전관리책임도 의문이다. 사고가 난 주유소는 이미 유사석유 판매업소로 적발된 경험이 있다. 사고 당일에는 오전부터 심한 가스 냄새가 났다는 진술도 나오고 있다. 불법영업의 정황이나 안전사고의 징후가 농후했던 셈이다. 하지만, 주유소는 폭발했고 시는 아무런 예방도 하지 못했다. 이것도 조사해야 한다.

국제안전도시는 말로 되지 않는다. 박람회 개최했다고 완성되는 게 아니다. 돈 들여 인증받았다고 끝나는 게 아니다. 안전사고를 막기 위한 관계기관 간의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 건강 손상을 막기 위한 보건관리가 유지돼야 한다. 이것이 안전도시에 대한 ‘스톡홀롬 정신’이 구체적으로 지시하고 있는 인증조건이다.

세차하던 시민이 영문도 모르게 죽어나가고, 길 가던 시민이 불길에 휩싸여 병원으로 실려가는 이런 도시는 결코 안전도시가 아니다.
경기일보의 다른기사 보기
ⓒ 경기일보(http://www.ekgib.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