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일보 신년 여론조사] 경기도민 32.4% "공공기관 이전 꼭 할 필요 없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도지사 재임시절 추진한 경기도 공공기관의 이전...)
기자명 임창희 입력 2024.01.02 00:01
찬성, 40대 32.1% 50대 29.9%
60대·70대 이상 10%대 수준 낮아
이전 반대 응답 60대 34.2% 최다
나머지 연령 20%대 응답률 보여
지지 정당 따라서도 입장 엇갈려
민주 33.1% 이전·국힘 33.4% 반대
|
![](https://blog.kakaocdn.net/dn/Gi3Q6/btsCU0hd7ZG/RRob0i9fhJgsmrt0kqAUp1/img.jpg)
경기도민들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도지사 재임시절 추진한 경기도 공공기관의 이전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중부일보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데일리리서치가 경기도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12월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 동안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5%p)에 따르면, 민선7기에 진행된 경기도 공공기관 이전을 진행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32.4%가 '꼭 할 필요는 없다'고 답했다.
공공기관 이전을 해야한다는 응답은 25.9%, 이전하지 말아야한다는 응답은 24.1%였다. 잘모르겠다는 17.6%였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꼭 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은 60대에서 37.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50대가 35.3%, 70세 이상이 32.0%, 30대가 31.5%였다.
이전을 해야한다는 응답은 40대(32.1%)와 50대(29.9%)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60대(16.9%)와 70세 이상(15.7%)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이전하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은 60대에서 34.2%로 가장 많았고,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20%대의 응답을 보이며 다소 낮게 조사됐다.
지지정당에 따라서는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입장이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총선에서 민주당에 투표하겠다는 응답자 중 33.1%가 공공기관 이전을 해야한다고 답한 반면, 국민의힘에 투표하겠다는 응답자에서는 17.5%만이 찬성 의견을 냈다.
반대로 이전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은 국민의힘에 투표하겠다는 사람의 33.4%로 찬성의견의 두배 가까이 높은 반면, 민주당에 투표하겠다는 응답자는 21.4%만이 반대 의견을 표시했다.
꼭 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은 민주당에 투표하겠다는 응답자 32.1%, 국민의힘에 투표하겠다는 응답자 31.5%였다.
성별로는 남성의 31.0%와 여성의 20.8%가 이전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이전하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은 남성(24.4%)과 여성(23.9%)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임창희기자
중부일보가 여론조사기관 데일리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이번 여론조사는 2023년 12월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 동안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가상번호 및 유선 ARS(RDD) 방식으로 진행됐다. 유·무선 비율은 유선 12%, 무선 88%다. 통계보정은 2023년 1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통계 기준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셀가중)을 부여했다. 응답률은 4.3%,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5%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관련기사
- [중부일보 신년 여론조사] 경기도민 47.3% "윤 정부 견제 위해 총선서 야당후보 당선돼야"
- 경기도민의 절반가량은 올해 총선에서 ‘정부 견제론’에 더 무게를 실어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1일 중부일보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데일리리서치가 경기도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12월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 동안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5%p)에 따르면, 올해 총선을 앞두고 어떤 주장에 더 공감하느냐는 질문에 ‘정부 견제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47.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3
- [중부일보 신년 여론조사] 경기도민 43.7% "도 개편 위해 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필요"
- 경기도민의 43.7%가 경기도 개편을 위해서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가 추진돼야 한다고 답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1일 중부일보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데일리리서치가 경기도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12월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 동안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5%p)에 따르면 ‘경기도 개편을 위해 무엇이 더 필요한가’에 대한 물음에 43.7%가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꼽았다.지역별로 살펴봤을 때 경기 서남부권보다 동북부권에서 북부특별자치도에 대한 높은 지지를 보였다.구체적
- [중부일보 신년 여론조사] 경기도민 60.8% "총선서 새 인물 뽑겠다"… 현역 지지는 21.2%
- 제22대 총선이 100일도 채 안 남은 상황서 경기도민 중 과반이 현역 국회의원보다 새로운 인물을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일 중부일보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데일리리서치가 경기도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12월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 동안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5%p)에 따르면 ‘내년 총선에서 누구를 지지하겠는가’에 대한 물음에 ‘새로운 인물을 지지하겠다’고 응답자 중 60.8%의 도민이 답했다.21.2%는 현역으로 활동 중인 국회의원을 지지하겠다고 답했고
- [중부일보 신년 여론조사] 경기도 총선 정당지지도… 더불어민주당 44.0% vs 국민의힘 33.9%
- 제22대 총선을 90여 일 앞둔 상황서 정당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가장 높은 지지세를 기록했다.1일 중부일보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데일리리서치가 경기도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12월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 동안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5%p), ‘만약 내일 총선 투표일이라면 어느 정당에 투표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44.0%가 ‘더불어민주당’을 선택했다. 반면 ‘국민의힘’을 선택한 응답자는 33.9%로, 두 정당 간 차이는 오차범위 밖 10.1%p
- [중부일보 신년 여론조사] 이재명 민주당 대표 총선 지휘… 경기도민 40% '긍정' vs 44.3% '부정'
- 경기도민들은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 체제로 총선을 치르는 것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1일 중부일보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데일리리서치가 경기도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12월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 동안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5%p)에 따르면 이재명 체제가 총선에 나쁜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은 44.3%, 좋은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은 40.0%로 나타났다.두 응답의 격차는 4.3%p로 오차범위 안이다.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7.7%였으며
- [중부일보 신년 여론조사] 한동훈 국힘 비대위원장 총선 지휘… 경기도민 40.3% '긍정' vs 37.3% '부정'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00일도 채 안 남은 총선을 지휘하는 데 대해 경기도민 40.3%가 긍정평가를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1일 중부일보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데일리리서치가 경기도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12월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 동안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5%p), ‘한동훈 법무부장관이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으로 국민의힘 총선을 지휘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응답자 40.3%가 ‘좋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이어
임창희 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역_서울 경기 및 지방의 종합 > ⋁경기도 소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소방재난본부, 팔달산 옛 도의회 청사로 옮긴다 (0) | 2024.02.09 |
---|---|
[1] [사설] 경기주택도시공사 구리 이전 중단해야/ [2] 서울 편입론에 '경기주택도시공사 이전' 혼선 (0) | 2024.01.31 |
신임 경기도 경제부지사에 김현곤 기재부 재정관리국장 내정 (1) | 2024.01.01 |
2024년 갑진년(甲辰年), 더 좋아지는 경기도 행정제도와 정책 (1) | 2023.12.29 |
경기도내 새해 해돋이 명소 6곳은 어디? (2) | 2023.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