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역_서울 경기 및 지방의 종합/*경기도의회(의장:김진경 부의장:정윤경·김규창

[정치와 미래] 도청이 떠난 자리 - (황수영 경기도의회 의원)

[정치와 미래] 도청이 떠난 자리 - (황수영 경기도의회 의원)

제 지역구에는 경기도청이 있습니다. 1967년부터 수원 팔달산 자락에 자리 잡은 경기도청이 광교로 이전을 앞두고 있습니다. 광교 신청사는 내년 9월 준공 예정이라는데, 제반 시설 점검과 안정화 작업을 거치면 2022년 상반기 입주가 예상됩니다. 도청의 이전과 그에 따른 사후 대책. 준비할 시간이 결코 많지 않습니다.

도청이 떠난 자리.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생각만 하면 혼자 흰 도화지에 그림을 그리듯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희망을 품다가도 다시 현실의 제약에 막혀 걱정이 앞서기만 합니다.

6만5천900㎡ 부지에 도의회 포함 10개동의 건물. 매일 2천명 이상이 근무하던 연면적 5만3천696㎡의 공간. 120만 인구가 사는 수원 도심 정중앙에 위치하며 팔달산이라는 천혜의 자연과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 성곽과 이어지는 자리. 이 금쪽같은 공간을 과연 어떻게 구성해야 할까요.

도청 주변 주민들은 당장 도청이 떠난 후의 지역 공동화를 걱정합니다. 지역공동화를 막기 위한 대안으로 경기도 산하기관 중에 자기 건물이 없어 임대료를 내고 있는 산하기관들을 단체로 입주시켜 유동인구를 확보하고 상권을 유지하자는 의견이 있습니다. 여러 안 중의 하나로 검토할 만한 의견이기는하지만, 이렇게 덜컥 결정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제가 보기에 가장 중요한 것은 공간 구성에 대한 기본 관점과 가치관을 정립하고 이를 주민들과 공유하는 것입니다. 도심 속 금싸라기 땅을 보며 누군가는 돈을 떠올리고 누구는 환경을 떠올립니다. 똑같은 땅을 보며 이 땅에 아파트를 짓자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공원을 만들자는 사람이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도청 이전부지 공간은 도민에게 환원돼야 한다는 것이고, 이런 어마어마한 공간이 도민에게 환원될 수 있는 기회는 수십 년에 한번 있을까 말까한 일이라는 것이고, 그러기에 백년 앞을 내다보는 거시적 관점에서 절대 눈 앞의 이익이나 효율성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는 원칙을 세워야 한다는 것입니다.

경기도청이 떠난 자리는 가령 ‘경기도민청’이라는 컨셉을 견지해야 합니다.

이름이야 어찌됐건, 관(官)이 떠난 자리에 민(民)이 들어와야 합니다. 민선 7기 경기도정의 핵심 철학 중의 하나가 도민 참여, 도민 환원이니만큼, 도청이 떠난 자리를 도민이 채워야 한다는 원칙이 잘 반영되리라 믿습니다.

도청 구관 우물 정(井)자 건물은 문화재로 등록된 역사성이 있는 건물입니다. 이 건물을 경기도역사를 보관하고 전시하는 경기도기록원으로 사용하면 어떨까요. 도의회 건물을 예로 들면, 도의회 본회의장 구조의 특성 상, 뻥 뚫린 공간에 기둥이 없고 천장이 높습니다. 도의회 건물을 조금만 리모델링 하면 공연장을 갖춘 도민의 복합문화예술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팔달산 지하에 있는 방공호 시설(충무호)도 꾸미기에 따라 특색 있는 명소가 될 수 있습니다.

제 지역구에는 경기도청이 있습니다. 이전을 앞두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관청이 있던 공간이 도민 중심의 공간으로, 늘 도민들로 북적이는 공간으로 재탄생하기를 바랍니다. 사람들이 모이고, 쉬고, 토론하고, 학습하고, 또한 즐기는 공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훗날 22세기에 우리 후손들이 말하길, 2021년 당시에 이 공간 구성을 결정한 사람들이 참 잘했다. 이런 말을 하는 공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저도 제 역할을 하겠습니다.

황수영 경기도의회 의원

페이스북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