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기국제공항(내용 수정=하위로 옮김 예정

수원·화성 군공항 통합공항 건설 타당성 ‘차고 넘친다’​

수원·화성 군공항 통합공항 건설 타당성 ‘차고 넘친다’

이주철 기자

승인 2020.04.08 19:56

신공항 최적지는?

국방부 용역 결과

군공항 이전 투입비 총 4조 규모

도내 생산유발액 5조5천751억

부가가치 유발액 1조9363억

일자리 유발 인원 3만9062명

경기도시공사 용역 결과

공항 손익분기점보다 웃도는

2030년 연간 320여만 명 방문

민간공항 건설비 20분의 1 수준

화옹지구 소음 문제도 해소 충분

최근 경기지역 중 수원과 화성은 공항 유치에 대한 공감대가 가장 많이 형성된 지역이다. 특히 ‘군공항 통합공항 전환’에 경제력과 투자비용 등에서 타당성을 갖췄다는 결론이 나왔다.

국방부 용역자료를 보면 수원시와 화성시에 걸친 군공항 이전으로 도내에서 발생하는 생산 유발액은 5조5천751억원, 부가가치 유발액 1조9천363억원, 일자리 유발 인원 3만9천62명으로 파악됐다.

이는 소음 피해를 해소하기 위한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지역 발전에 지원되는 비용이 있다. 수원과 화성 군공항 이전에 투입되는 총 비용은 4조원 규모다.

예비 이전 후보지로 지정된 화성 화옹지구에만 5천억원 이상의 지원비가 직접 든다. 또 군과 관련된 인구가 유입되고, 소비활동도 발생한다는 게 국방부 입장이다.

대규모 주거단지에 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조성되고, 민간공항까지 유치된다면 공항철도를 비롯한 간접시설까지 들어서게 될 것이다.

이같은 공항을 건설하는데 가장 필요한 것이 ‘여객수요’인데 경기남부권에서는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경기도시공사 용역 결과, 2030년쯤 국제·국내선을 합해 연간 320여만명이 찾을 것으로 조사됐다. 공항 손익분기점인 200만여명보다 훨씬 웃돈다. 군공항 활주로를 사용할 경우 민간 공항 건설에 드는 비용(5조원)의 20분의 1 수준인 2천500억원 정도면 건설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가장 큰 문제가 ‘소음’이다. 남부권 신공항과 관련해 거론되고 있는 성남과 평택지역도 입지 등에서 타당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소음 문제 해소가 현실적으로 힘들다는 지적이다.

이에 반해 화성 화옹지구는 1991년 여의도 20배에 달하는 면적(4천482㏊)으로 간척됐다. 인구와 개발이 적어 ‘소음완충지’를 조성할 수 있고, 동서 방향으로 뻗은 활주로를 이용해 바다 방향으로 비행하는 방법 등으로 소음 피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활주로와도 이격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화성지역에 추진되는 에코팜랜드, 송산그린시티, 국제테마파크 등에 신공항이 시너지 효과를 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수원·화성·평택·오산·안양·과천·의왕 등지에서 관련 단체가 구성하고, 지난달 ‘도 단위 연합’ 단체 등 시민들도 군공항 이전·저비용 건설로 상생할 수 있는 대안으로 국제공항 추진이 적합하다며 서명운동 등 활동을 시작했다.

한편 국토교통부가 용역을 통해 작성하고 있는 ‘제6차공항개발종합계획(2021~2025)’ 목차 중 하나로 ‘공항인프라 확충 방안 마련’이 있다.

앞으로 5년 공항 정책의 근간인 이 부분에 ‘군공항에 민항설치’라는 문구가 담겨 있어 경기지역의 국제공항 설치를 정부가 직접 살펴볼 것으로 풀이된다. /이주철기자 jc38@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