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21대 총선 타깃 여론조사- 86세대 ‘부동산 정책 바꿔야’ 65.1% ‘탈원전도 반대’ 56.8% 외 기사 20개 제목 게재
▼ 내용 전체가 보이지 않을 경우나, 화면이 보이지 않을 경우는 아래 클릭하세요 ▼
https://blog.naver.com/jcyang5115/221807000653
게재 일자 : 2020년 02월 12일(水)
86세대 ‘부동산 정책 바꿔야’ 65.1% ‘탈원전도 반대’ 56.8%
④ 50대 민심
文정부 정책에 ‘옐로카드’
소득주도성장 변화 요구는
호남 60.7%·중도선 80.1%
‘86세대 정치인’ 퇴진론 공감
호남·진보층 상대적으로 낮아
12일 문화일보의 50대 유권자 대상 타깃 여론조사 결과 소득주도성장 정책과 부동산 대책, 탈원전 정책 등 문재인 정부의 핵심 정책에 대한 기조 변화 요구가 거센 것으로 나타났다. 또 50대 유권자 대부분이 ‘86세대’(1980년대 학번·1960년대 출생)에 속함에도, ‘86세대 정치인 퇴진론’에 대한 공감도가 70%를 넘었다. 이는 50대가 정책과 정치의 대변화를 갈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50대는 20대와 함께 대표적인 ‘스윙 보터(swing voter·부동층)’로 꼽히는 만큼, 정치권이 이들의 요구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 이들의 불만이 21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응징 투표’로 표출될 가능성이 엿보인다.
◇ 86세대 정치인에게 ‘레드카드’ 든 86세대 = 이번 조사에서 ‘86세대 퇴진론’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는지 물은 결과 응답자의 73.4%(매우 공감 29.9%·공감 43.5%)가 ‘공감한다’고 했다. ‘공감하지 않는다’(전혀 공감하지 않음 6.2%·공감하지 않음 16.9%)는 응답은 23.1%에 그쳤다. ‘86세대 퇴진론’에 공감하는 응답은 정치성향이나 지역, 직업, 지지 정당 등과 상관없이 사실상 모든 계층에서 높게 나왔다. 자신의 정치성향을 ‘보수’라고 답한 응답자의 79.8%(매우 공감 35.7%·공감 44.2%)와 자유한국당 지지층의 84.0%(매우 공감 42.5%·공감 41.5%), 문 대통령 국정운영 부정 평가층의 83.9%(매우 공감 41.2%· 공감 42.7%) 등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64.5%(매우 공감 18.1%·공감 46.4%), 진보층의 67.8%(매우 공감 25.1%·공감 42.7%), 문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평가층의 62.9%(매우 공감 19.0%· 공감 43.9%)도 ‘86세대 퇴진론’에 공감을 표했다.
반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광주·전라(33.2%) 지역, 민주당 지지층(31.2%)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 소득주도성장·부동산·탈원전 등 핵심 정책 변화 요구 =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 정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2.3%가 ‘정책 기조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현 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25.1%)의 약 3배에 육박한다. 친여 색이 강한 광주·전라 지역에서도 ‘기조 변화’ 요구가 60.7%에 달했다. 중도층의 80.1%도 변화를 요구했다.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5.1%가 ‘정책 기조 변화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현 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32.7%)의 약 2배다. 특히 대구·경북(74.8%)과 부산·울산·경남(74.2%), 보수층(82.5%)에서 ‘기조 변화’ 요구가 더 높았다. 중도층에서도 70.3%가 변화를 요구했다. 반면 진보층은 53.7% 대 45.2%로 ‘기조 유지’ 요구가 더 높았다.
탈원전 정책에 대해서는 ‘정책 기조 변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56.8%, ‘현 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36.2%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55.9%) 지역에서만 ‘기조 유지’ 응답이 50%를 넘었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기조 변화’ 응답이 우세했다. 중도층과 무당층의 경우 ‘기조 변화’ 요구가 각각 64.5%, 62.5%였다. 진보층(59.2%)과 민주당 지지층(62.2%), 문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평가층(62.4%)에서도 ‘기조 유지’ 응답이 절반 이상이었다.
한편,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금강산 등 북한 지역에 대한 개별 관광 사업 재개 및 대북 교류 협력 사업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는 ‘찬성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50.1%, ‘반대한다’는 응답이 45.9%로 나타났다.
문화일보 총선관련 <50대> 여론조사 결과 통계표 보기 ▶
◇어떻게 조사했나 = △조사기관:엠브레인 △일시:2020년 2월 9∼10일 △대상:전국 거주 만 50∼59세 남녀 1007명 △조사방법: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 △피조사자 선정 방법:성·연령·지역별 할당 후 휴대전화 가상번호 △응답률:26.0% △오차 보정 방법:2019년 12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 기준 가중치 부여 △표본오차:95% 신뢰수준, ±3.1%포인트 △내용:21대 국회의원 총선거 투표 의향 등(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김유진 기자 klug@munhwa.com
'◐ 경제.부동산의 칸 .. > *부동산 관련,기고 칼럼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치시대] 수원에 불어 닥친 부동산 열풍 - 조응래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0) | 2020.02.15 |
---|---|
국세청에 털린 6가지 부동산 탈세 유형은 (0) | 2020.02.14 |
총선 공약경쟁…與 ‘봉준호 마케팅’, 野 ‘부동산稅 인하’ (0) | 2020.02.13 |
[공시지가]"소득은 제자리인데 세금만 늘어…부동산시장에 악재" (0) | 2020.02.13 |
월세불사 급매낚아채기....`부동산 빙하기` 극한 재테크 (0) | 2020.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