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수원특례시 주요 관심사업 등 종합/-은하수마을과 주변

[경기이야기] 집창촌(성매매 집결지)의 어제와 오늘수원역 일대·파주 용주골·평택 쌈리 ‘3대 집창촌’

[경기이야기] 집창촌(성매매 집결지)의 어제와 오늘수원역 일대·파주 용주골·평택 쌈리 ‘3대 집창촌’

  • 김예진 기자
  • 승인 2017.09.14 19:12

수원시가 수원역 주변 성매매업소 집결지 정비를 위한 용역에 착수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 수원시는 최근 ‘수원역 성매매 집결지 도시환경정비사업 추진상황 보고회’를 열고 관련 용역 착수를 포함한 정비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이달 중 해당 연구용역을 수행할 업체를 선정하고 내년 4월까지 용역 결과를 수립한 뒤 해당 지역을 도시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정비를 추진하는 지역은 수원역 맞은편 성매매업소 집결지 일대 2만2662㎡다.

1960년대 초반에 조성되기 시작한 수원역 집창촌은 현재 팔달구 매산로 일대에서 90여 개 업소가 영업하고 있으며, 성매매 종사 여성만 2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수원민자역사를 중심으로 수도권 1호선 및 분당선 지하철, KTX 열차가 운행되고 역사 주변에 롯데몰 및 AK플라자, 노보텔 호텔 등이 입점하면서 집창촌은 도심속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급기야 지난 5월 20일부터 6월 11일까지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2017’ 중심개최도시로 선정된 수원에서 대회가 열렸을 때 국제축구연맹(FIFA)은 노보텔 호텔 창밖으로 보이는 집창촌 풍경을 보고 선수단 숙소를 라마다플라자 수원호텔로 변경했다.


수원역 성매매 집결지는 오랫동안 경기도의 대표적인 집창촌이었다. 파주 용주골과 평택역 쌈리를 포함해 경기도 3대 집창촌으로 여겨졌다.

수원역 집창촌은 근대 교통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오랫동안 수원은 교통의 요지였다. 경기도 남부와 충청·호남 지역에서 올라오는 사람들이 수원을 경유해 서울이나 경기도 목적지로 향했다. 얼마 전까지도 서울이나 경기도 북부에서 경기도 남부나 아랫지방으로 가려면 상당수가 수원에서 차를 갈아타야 했다. 지금도 젊은이들과 직장인들이 수원역 일대를 많이 오간다.

수원 집장촌 정비는 선거때면 수원시장 후보들의 단골 공약 사항이기도 했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없애겠다는 소리는 자신있게 하지는 못했다.

파주 용주골 집창촌은 한국전쟁 때 미군이 자리잡으면서 생기기 시작했다. 용주골은 파주군 파주읍 현풍리 일대를 말한다. 1953년 주한미군 2사단이 파주에 자리잡으면서 미군을 상대로 한 상점과 클럽 등 유흥가가 들어섰다. 용주골은 이후 계속 번창했으며 1960년대와 1970년대 미군들의 천국이었다. 파주 미군부대뿐 아니라 동두천 의정부 포천 고양 등 서부전선 일대의 미군들이 몰려들었다. 용주골에서 하룻밤을 보내기 위해 헬리콥터를 동원했다는 미군 장교의 이야기도 들린다. 당시 성매매 여성의 숫자가 1000명이 넘었다는 기록도 있다.

그러다 1969년 닉슨독트린으로 주한미군이 철수하며 숫자가 줄어들고 1971년 문산 미2사단이 동두천으로 옮기면서 쇠락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쇠퇴해가던 용주골은 1990년대 다시 부활한다. 1990년대 일산 신도시가 생기고 서울에서 성매매와의 전쟁이 선포되자 오히려 용주골이 살아난다. 서울에서 쫓겨나다시피한 유흥가 여성들이 용주골로 들어왔기 때문이다. 1990년대 중반 지상파 방송사는 ‘용주골을 아십니까’로 특집 방송을 하기도 했다. 1990년대 이후 한동안 불야성을 이뤄 서울에서도 용주골로 가는 택시를 잡으려는 젊은이들이 적지 않았다.

2004년 말 성매매방지특별법이 시행되고 경기가 예전같지 않자 용주골의 업소와 종사자 수가 크게 줄어들어 이제는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파주 용주골은 얼마전부터 경기북부 대표 문화명소로 새롭게 태어날 준비를 하고 있다. 파주시는 파주읍 연풍리 용주골 지역을 문화와 경제적 풍요가 어우러진 도시로 탈바꿈시킬 예정이다. 2021년까지 104억원을 투입해 용주골 거리 약 1㎞ 건물 전면부 외관을 60∼70년대 건물로 조성해 창작문화거리로 만들고 빈 점포에는 생활예술인들의 소규모 공작소를 유치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김예진 기자  kyj@1gan.co.kr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