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 사회의 칸 ==../-국민의힘( 대표

'이주영 장관 퇴임' 현정부 최초로 아쉬운 이유

'이주영 장관 퇴임' 현정부 최초로 아쉬운 이유
<기자수첩>아직도 안끝난 세월호 사태 "이주영 장관처럼만 하면..."


▲ 세월호 참사후 136일 동안 팽목항을 지켰던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데일리안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이 23일 세월호 참사 8개월여 만에 무거운 짐을 내려놓았다. 사고가 발생했던 4월 16일부터 9월 1일 청사에 복귀하기까지 136일 동안 ‘팽목함 지킴이’로 살아왔고, 다시 실종자 수색이 종료된 지난달 11일까지 세종시와 진도를 오가며 범정부사고대책본부장으로서 사고 수습을 진두지휘했다.

덥수룩한 수염에 하얗게 센 앞머리. 지난 7월 세월호 국정조사 때 보였던 초췌한 모습이 이젠 이 장관의 상징이 됐다. 세종시 청사로 복귀하면서 수염을 잘랐지만, 표정에 묻은 근심까지 지워내지는 못 했다.

해수부 장관으로서 이 장관의 공직생활은 고난의 연속이었다. 2월 12일 해수부 장관으로 내정된 이 장관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3월 6일 정식 취임했다. 하지만 취임 42일 만인 4월 16일 세월호 침몰 소식이 전해졌다. 이 장관은 이날부터 네 달 넘게 세월호 실종자 유가족들과 함께 진도 팽목항을 지켰다.

이 장관이 해수부 장관으로 있던 4개월여 동안 해양경찰청이 폐지되고 7명의 장관이 교체됐다. 이 장관은 6월 개각에 앞서서도 수차례 사의를 표명했으나 박근혜 대통령의 반대로 장관직을 유지했다.

이 장관의 유임은 무엇보다 희생자·실종자 유가족들을 위한 조치였다. 이 장관은 유가족들이 진정성을 인정해 사퇴를 만류하던 유일한 정부부처 관료였다. 정홍원 국무총리, 서남수 전 교육부 장관, 강병규 전 안전행정부 장관, 김석균 전 해경청장이 쫓기듯 사표를 제출하거나 파면당한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물론 이 장관에게도 어려움은 있었다. 사고 초기였던 4월 24일 이 장관은 유가족 상황실에 갇혀 7시간 동안 거센 항의를 받았다. 당시 유가족들은 정부의 더딘 수색작업과 불통에 격앙됐던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 장관은 끝까지 유가족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이후에도 이 장관은 직접 상황실을 찾아 유가족들을 상대로 브리핑을 하거나, 진도군청에 마련됐던 범정부대책본부에서 수색작업을 통할했다. 나중에 가선 유가족들이 이 장관을 붙잡았다. 유가족들에게 이 장관은 마지막 남은 희망과 같았다.

지난달 7일 이 장관은 진통을 거듭하던 세월호 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뒤, 비로소 사퇴 결심을 굳혔다. 나흘 뒤인 11일 실종자 수색작업이 종료되면서 이 장관은 사실상 모든 짐을 내려놓았다.

당시 이 장관은 이 같은 결정을 전하며 “마지막 한 분까지 찾아주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한 채 수색작업을 종료하게 돼 안타깝고 송구스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면서 “지금 이 순간에도 사랑하는 혈육이 돌아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실종자 가족 여러분에게 무슨 위로의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리고 23일. 박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이 장관의 사의를 받아들였다.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공직자로서 이 장관이 보여줬던 모습을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이란 말로 표현했다. 박 대통령은 이 장관에게 “앞으로 어느 자리에 있든지 나라를 위해 더 큰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한다”면서 회의에 참석한 다른 국무위원들에게도 이 장관의 자세를 본받길 주문했다.

지난 8개월 중 기억나는 이 장관의 모습이라곤 팽목항에 머물며 유가족들을 위로하던 모습, 국정조사와 국정감사에 출석해 세월호 참사의 총대를 메던 모습 정도가 전부이다. 하지만 이 장관은 공직자로서 국민은 섬긴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또 공직자의 진정한 덕목은 능력보단 자세라는 것을 몸소 보여줬다.

앞으론 국회의원 이주영을 보게 되겠지만, 장관 이주영의 모습이 벌써부터 그립다. 이 장관을 보며 정부에 희망을 가졌던 것처럼, 이제 정치권에 희망을 가질 수 있었으면 좋겠다.[데일리안 = 김지영 기자]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