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차기 당권 주자 릴레이 인터뷰-(2) 김무성 의원] “친박·비박·친이 사라지게 하겠다”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은 30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과열 경선에 대한 비판을 의식한 듯 “당 대표가 되면 당내 화합에 주력해 친박(친박근혜), 친이(친이명박), 비박 등의 구분이 사라지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전당대회 판세와 관련해서는 “민심과 당심은 같이 갈 수밖에 없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번 인터뷰는 서청원 의원이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김 의원을 향해 직격탄을 날린 직후 이뤄졌다. 평소 거침없기로 소문난 김 의원은 이날만큼은 말 한마디 한마디 조심스럽게 했다. 서 의원과의 갈등이 더 이상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애쓰는 표정이 역력했다. 그는 “언론은 내가 ‘박 대통령이 역사에 기록될 만한 훌륭한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강조한 것은 부각시키지 않고 다른 얘기만 키운다”며 불편한 감정을 감추지 않았다.
-서 의원이 김 의원의 “박근혜정부가 독선에 빠진 권력이라 규정하지는 않겠지만 일부 그런 기미가 나타났다”는 발언을 강하게 비판했는데.
“견제 받지 않은 정권은 독선에 빠진다는 것은 정치학 교과서에 있는 말이다. 내가 먼저 한 말이 아니다. 박 대통령을 성공한 대통령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대전제 하에서 그런 얘기를 한 거다. 당은 밝은 눈과 큰 귀가 돼 여론의 창구역할을 해야 한다. 당·청의 건강한 긴장관계가 대통령 잘못되라고 하는 것은 아니지 않는가.”
-당 대표가 되면 소위 친박 실세라는 사람들이 3개월 안에 끄집어 내리겠다고 했다고 밝혔는데 근거는 있는가.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이야기 아니냐.”
-현 정부 하에서 PK(부산·경남) 인사들이 고위직에 많은 점도 지적했다. 김 의원도 부산 출신인데 당 대표에 도전하고 있다.
“선출직은 임명직과 다르다. 당 대표는 선출직이다.”
-세월호 참사 책임을 지겠다고 사의를 표명한 정홍원 국무총리는 유임됐고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은 현직에 있는데.
“책임은 그 자리를 유지하느냐, 그만두느냐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다시는 세월호 참사와 같은 비극이 생기지 않도록 대비책을 잘 강구하는 것이 책임지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김 의원에게 박근혜 대통령이란.
“(한참을 눈 감고 생각하다가) 운명이라고 생각한다. 박 대통령 만들기에 제일 먼저 뛰어들어서 역할을 했다가 세종시 문제 때문에 다소 멀어졌다. 하지만 지난 대선 때 책임을 맡아 임무를 완수했다. 박근혜정부가 위기를 맞아서 위기 극복을 위해 다시 나섰다. 박 대통령이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일조한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다.”
-비박으로 분류되는 데 대해 섭섭함은 없나.
“지난 대선 때 총괄선대본부장을 했던 나를 친박이 아니라 비박이라고 하는 것 자체가 소수 권력 독점자들의 줄 세우기 작태다. 나를 지지하는 분들 중에 친박 인사들도 많다. 모두 고생해서 박 대통령을 만들었으면 친박, 친이, 비박 이런 구분은 없어져야 한다.”
-당내 경선 과열에 대한 우려가 높다.
“나는 단 한번도 네거티브를 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하지 않을 것이다. 얼마 전에 여론조사 조작과 관련한 의혹이 있었을 때 캠프 관계자들에게 고발 등 아무 조치도 하지 말라고 지시 내렸다. 정치라는 것이 타협과 합의, 포용이다. 결과가 나오면 깨끗이 승복하고 또 지나간 과거는 깨끗이 잊는 거다. (가볍게 웃으며) 내가 집착했다면 암 걸렸을 것이다. 두 번이나 당에서 공천을 못 받았는데.”
-경선 막판에 ‘박심’ 논란이 다시 쟁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박 대통령이 전대에 개입하지 않으리라고 본다. 없는 ‘박심’을 파는 것은 거짓이다.”
-공천 개혁을 외치지만 당 대표가 되면 똑같이 공천에 개입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는데.
“다들 그렇게 생각한다. 하지만 앞으로 누가 당 대표를 하더라도 공천권을 가지고 장난치지 못하도록 하겠다. 공천권을 반드시 국민들에게 돌려주겠다. 이건 내가 전대 이전부터 주장했던 거다.”
-당 대표가 되면 제일 먼저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가.
“7·30재보선 현장으로 달려갈 것이다. 새누리당의 과반수가 깨지면 정말 위기다.”
-진심으로 대권 생각은 없나.
“대권을 노린다면 당 대표 하지 말아야 한다.”
하윤해 권지혜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