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6·4지방선거 공천 심사를 벌이고 있는 새누리당 경기도당이 수원·성남·고양·용인시장 등 경쟁이 치열하고, 상징성이 큰 기초단체장 선거구 10여곳에서만 이른바 ‘체육관 경선’을 치르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1일 알려졌다.
나머지 기초단체장 및 광역·기초의원 후보는 당원협의회 차원에서 ‘컷오프’를 통과한 공천 신청자들과 협의해 100% 여론조사를 실시하거나, 후보 단일화를 하는 등의 방식으로 후보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럴 경우, 경기지역 시장·군수 31명, 경기도의원 116명, 시·군의원 376명 등 모두 523명의 후보 가운데 1.9%인 10여명만이 국민이 참여하는 실질적인 의미의 ‘상향식 공천’ 방식으로 공천권을 획득하게 되는 셈이 된다. 새누리당이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드리겠다’며 도입한 ‘상향식 공천’제도가 사실상 기초선거 무(無)공천 약속 파기 목적으로 사용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도당은 오는 24일 기초단체장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을 경기도지사 후보를 뽑는 경선과 함께 실시하기로 잠정 결정하고,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와 막바지 협의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道)선관위 관계자는 이날 “새누리당 도당에서 10여곳의 시장·군수 경선을 도지사 후보 경선과 동시에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요구했다”면서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개표 방법과 명부 작성 등 세부적인 부분에 대해 조율중”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새누리당 도당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도당 공천위)는 수원·성남 등 상징성이 큰 10여곳에서만 체육관 경선을 실시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당 공천위 핵심 관계자는 “모든 선거구에서 경선이 이뤄질 것 같지는 않다”면서 “시장·군수의 경우 10여곳에서만 체육관 경선이 실시되고, 나머지 지역은 여론조사 경선, 후보자간 합의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협위원장과 공천 신청자들이 후보 선출 방식을 자체적으로 논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반 국민이 선거인단으로 직접 참여하는 체육관 경선은 기초단체장에 한해 상징성이 있는 곳에서만 일부 실시하고, 나머지는 당협에 권한을 위임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도당 공천위의 이같은 방침은 실질적인 의미의 상향식 공천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다.
가상준 단국대 정치학과 교수는 “당초 새누리당이 주장했던 상향식 공천의 의미에서 퇴색됐다”면서 “현실의 벽에 부닥치자 ‘준상향식’ 공천으로 바꾼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복진기자/bok@joongbo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