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 사회의 칸 ==../-경기도지사 外(광역단체장.교육감 선거,서울 등

야권신당, 경기도지사 경선 '룰싸움' 본격화

 

야권신당, 경기도지사 경선 '룰싸움' 본격화
원혜영 "일반시민 참여 확대 '시민참여 공론조사'" 제안 김진표 "선관위서 '경선공영제'"…김상곤 "당 방침 수용"
데스크승인 2014.03.07  | 최종수정 : 2014년 03월 07일 (금) 00:00:01   

   
▲ 원혜영 민주당 의원이 6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지사 선거 통합신당 후보 선출 방식을 숙의형 오픈프라이머리인 '국민참여경선 2.0'으로 혁신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과 안철수 의원 세력이 창당하기로 한 야권 신당의 경기도지사 후보군들이 본선에 나설 후보 선출을 위한 게임의 룰인 경선 방식을 둘러싼 본격적인 힘겨루기가 시작됐다.

경선룰이 어떤 방식으로 정해지느냐에 따라 야권 신당의 후보 얼굴이 달라질 수도 있어서다.

포문은 원혜영(부천 오정) 의원이 열었다.

원 의원은 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야권 신당의 도지사 후보는 ‘시민참여 공론조사’를 통해 선정하자고 제안했다. 민주당이 잠정적으로 정해놓은 경선룰(당원 투표 50%, 여론조사 50%)을 백지화하고 새로운 룰을 만들자는 것이다.

원 의원은 “권위있는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하여 패널을 선출하고 이들이 한 자리에 모여 후보를 심도 있게 판단할 수 있는 방식”이 시민참여 공론조사라고 설명했다.

그는 “기존의 국민참여경선은 당원 50%와 일반시민 50%로 선거인단을 구성하고 순회경선을 통해 후보의 자질을 검증하는 방식”이라며 “이 방식은 계파나 동원정치에 기울어지는 문제가 있고, 경마식 여론조사에 의한 후보결정방식은 단순 인지도를 확인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원 의원은 “(시민참여 공론조사는) 보다 개방적이고, 보다 많은 시민의 참여를 보장하는 동시에 후보들의 경쟁력뿐만이 아니라 가치와 비전, 인물의 가치까지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방식”이라며 “일반시민의 광범위한 참여를 보장하는 참여민주주의의 요소와 보다 심도 있는 소통과 의사결정을 보장하는 심의민주주의의 요소를 결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 김진표 민주당 의원이 6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경기지사 선거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책 구상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김진표(수원 정) 의원이 즉각 맞받았다.

김 의원은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전략공천설을 비판하며, 경선관리를 선거관리위원회에 맡기는 ‘경선공영제’를 실시해야 한다고 재차 촉구했다.

김 의원은 기자회견 형식을 빌어 “경선 룰은 누구나 생각하듯 투명한 원칙이 세워져야 한다”면서 국가선관위에 위탁해 엄격하고 객관적·종합적 관리와 함께 치열한 정책경쟁을 위한 지역순환 토론회 등을 개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소위 전략공천이라고 포장되는 빅딜이나 지분 나눠먹기가 그동안 우리 정치에서 가장 배격해야 할 구 정치의 대표적 사례로 지목돼왔다”면서 “새누리당도 서울, 경기도 모두 치열한 경선을 발표했는데 우리 통합신당이 만약 경선도 없이 밋밋하게 간다면 본선 경쟁력이 있겠는가. 이것은 6·4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결코 생략할 수 없는 절차”라고 강조했다.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은 이날 안철수 의원 측 새정치연합 사무실을 방문한 자리에서 “통합신당에서 후보 결정 방식이나 절차가 합리적으로 정해지면 그에 따르려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내놨다.

김재득기자/jdkim@joongboo.com

[관련기사]
대진표 확정 첫 날…경기지사 후보군 표심잡기 '마이웨이'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