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
| |||
【수원=뉴시스】유명식 기자 = 경기도의 국립 농어업박물관 유치에 청신호가 켜졌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수원 농진청 부지를 대상으로 국립 농어업박물관 건립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6일 도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지난해 말 기획재정부에 농어업박물관 예비타당성 조사요구서를 냈다. 예정지는 전라북도로 이전하는 농촌진흥청의 현 부지(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35만6000㎡ 가운데 14만6000㎡다.
농식품부는 6월까지 진행되는 이번 조사에서 사업성이 확인되면 이곳에 2018년까지 2176억원을 들여 연면적 4만5000㎡ 규모의 농어업박물관을 짓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부지는 도와 수원시가 이전 공공기관의 종전부지를 관리하는 국토해양부로부터 기부받아 무상 제공한다는 전제다.
앞서 농식품부는 지난해 8~11월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에 의뢰, 농진청 서둔동 부지에 농어업박물관을 건립하는 계획에 대한 자체 비용편익(B/C) 분석을 했다.
그 결과 B/C 값이 0.9(1.0 이상이면 타당성 있는 것으로 봄)로 나왔다.
도 관계자는 "이는 경제성 확보에 상당히 근접한 수치"라며 "동물농장과 수목원, 과일동산, 아쿠아리움(aquarium) 등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추가하고 인근의 서호와 여기산 등을 묶어 관광 단지화한다면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도가 농어업박물관 유치전에 뛰어든 것은 같은해 10월이다. 도는 농식품부에 농어업박물관 유치 건의서를 내고 경상북도 상주, 전북 새만금 지구 등과 경쟁에 나섰다.
도는 현 농진청 부지가 역사성과 상징성을 감안할 때 농어업박물관의 최적지라고 주장하고 있다. 정조대왕이 세계문화유산인 화성(華城) 축성과 함께 둔전(屯田), 축만제(서호)를 만든 역사적인 지역이라는 것이다.
도 관계자는 "화성(華城)과 에버랜드, 민속촌, 비무장지대(DMZ) 등과 연계한 테마 관광코스를 개발할 수 있는 등 경제적 활용도가 높고, 농진청 이전에 따른 지역 공동화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등의 당위성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yeuji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지역_서울 경기 및 지방의 종합 > *경기도 140711까지 종합포스팅(경기도 의회,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실 의정활동’ 약속했던 의원님들 어디 가셨나요 (0) | 2013.02.18 |
---|---|
경기도 경쟁력 앞세운 대규모 사업 연거푸 유치 (0) | 2013.02.12 |
경기도 규제개혁 공모전 개최 (0) | 2013.02.05 |
경기도내 민자도로 22곳 추진중…사업비만 22조원 (0) | 2013.02.04 |
김문수 지사, 일본 NEG사 5억 달러 초대형 투자유치 (0) | 201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