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 사회의 칸 ==../-국민의힘( 대표

새누리 세번째 돈추문… "자리·출세위해 모인 집단의 한계"

새누리 세번째 돈추문… "자리·출세위해 모인 집단의 한계"

 
현영희·홍사덕 이어 송영선… 잇단 친박 비리의혹에 당혹
심각한 박근혜, 특위 첫 참석 "쇄신에 재뿌려선 안돼" 강조
송영선 前의원 즉각 제명… 부패신고센터 등 가동키로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는 19일 오전 일정을 바꿔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정치쇄신특위 전체회의에 참석했다. 현영희 의원과 홍사덕 전 의원의 불법 정치자금 의혹에 이어 송영선 전 의원의 정치자금 요구 녹취록이 '3연타'로 터지자 비상을 걸기 위해서였다. 새누리당은 크게 당혹하는 분위기였다. 또 다른 비리가 언제 어떻게 터져 나올지 모르는 데다 최근 문재인 민주당 후보와 안철수 서울대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게 언론의 스포트라이트가 쏠리면서 박 후보의 지지율도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이다.

◇박근혜 "쇄신에 재 뿌리면 안 돼"

박 후보는 정치쇄신특위 회의에서 "쇄신의 발걸음에 재를 뿌리는 일이 다시는 있어서는 안 된다"면서 부패를 막기 위한 제도 개선 등 예방책을 차질없이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박 후보는 "당에 식구들이 많다 보니까 여러 가지 일들이 생기는 것 같다. 바람 잘 날이 없는 것 같다"고 했다.

박 후보는 "근거 없는 얘기, 사실이 아닌 얘기들이 왜 이렇게 확산되는지 정말 안타깝다"고 했다. 이에대해 당 관계자는 "박 후보 발언은 송 전 의원이 녹취된 말을 하지 않았다는 게 아니라 '돈이 없어 공천에서 밀렸다'는 등의 송 전 의원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는 뜻"이라고 했다.

이상돈 정치쇄신특위 위원은 잇단 악재에 대해 "느낌이 아주 안 좋다.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 같다"며 "앞으로도 계속 (뭔가) 터지지 않겠느냐"고 했다. 박 후보의 한 측근은 "한숨만 나올 뿐이다. 도대체 왜 이런 일이 계속되는지 내가 되레 묻고 싶다"며 "본격적인 대선 행보를 야권보다 한 달 먼저 시작해 벌어놓은 점수를 다 까먹은 것 같다"고 했다. 황우여 대표는 이날 의총에서 당 소속 의원들에게 "선거가 막바지로 접어드는 만큼 다들 언행에 각별히, 세심한 배려를 해달라"며 "작은 실책이나 실수도 파장이 클 수 있으니 다시 다짐하는 의미에서 나부터 마음을 다잡고 각오를 새롭게 하겠다"고 했다.


◇대책 내놨지만 효과는 미지수

새누리당은 이날 송 전 의원에 대한 제명을 의결했다. 제명은 당 차원에서 내릴 수 있는 징계 중 가장 강력한 조치다. 당 관계자는 "언론에 보도된 녹취록 내용만으로도 당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박 후보는 이날 경남 사천 태풍 피해지역으로 이동하면서 황우여 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당 윤리위에서 송영선 전 의원에 대한 거취문제를 어떻게 결정했는지 묻는 등 상황을 챙겼다고 한다.

당 정치쇄신특위는 최근 잇따른 비리 의혹과 관련, '정치부패신고센터'를 설치해 즉각 조사 체제를 가동키로 했다. 또 △남기춘 전 서울 서부지검장이 위원장을 맡는 '클린검증제도소위' 신설 △당원 전체를 대상으로 한 '클린정치혁신운동' 동참 호소 등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당 안팎에서는 여전히 공천이나 선거운동 과정에서 금품 수수가 있었다는 설이 나돌고 있다. 낙천 인사들 사이에선 "공천 때 (실세와 공천 신청자가) 서로 아는 사이면 3장(3억원), 모르는 사이면 5장(5억원)이었다고 하더라", "공천에서 누구, 누구가 돈을 챙겼다고 들었다"며 친박 중진과 박 후보 측근들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근본적으로 정치권에 만연된 스폰서 문화 때문"이라며 "박 후보가 유력 대선 후보로 오랫동안 자리매김해온 만큼 그 주변 인사들에게도 온갖 이권, 직책을 노리는 사람들이 많이 몰려들었을 것"이라고 했다. 신 교수는 "박 후보가 개인적으로 측근들을 철저히 관리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제도적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김봉기 기자 knight@chosun.com

[모바일 조선일보 바로가기] [조선일보 구독하기] [인포그래픽스 바로가기]
[블로그와 뉴스의 만남 블로그뉴스 바로가기]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