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 사회의 칸 ==../-더불어민주당( 대표

'엄지혁명'의 굴욕… 매번 말썽/'민주당 수준 이 정도였나'… 국민 짜증지수 돋군 제1야당 경선

'엄지혁명'의 굴욕… 매번 말썽/'민주당 수준 이 정도였나'… 국민 짜증지수 돋군 제1야당 경선

***

'엄지혁명'의 굴욕… 매번 말썽

 
 
[세계일보]유권자의 정치참여 기회를 넓히는 ‘엄지혁명’으로 각광받는 모바일 투표가 26일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또 말썽을 일으켰다.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모바일 투표는 매번 부정·불공정 시비를 낳아 근본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모바일 투표가 처음 도입된 건 2007년 대통합민주신당 대선 후보 경선이다. ‘국민참여경선’을 표방한 대통합민주신당이 후보 선출권을 당원에서 일반국민에게로 확대하며 그 수단으로 모바일 투표를 택한 것이다.

그래도 종래 투표소 선거인단이 168만명으로 모바일 선거인단 23만8000명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당시 정동영·손학규 후보가 1위를 다퉜는데, 모바일 투표에서는 손 후보가 이겼으나 승자는 투표소 투표에서 앞선 정 후보였다. 다만 모바일 선거인단 투표율은 74.3%로 투표소 선거인단 투표율(16.19%)을 압도해 모바일 투표의 잠재력을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당권을 잡은 손학규 대표는 모바일 투표를 각종 선거에 적극 도입했다. 특히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박원순·박영선 야권 후보 단일화 경선과 1·15 민주통합당 전당대회 당대표 경선은 모바일 투표가 폭발력을 발휘하며 선거문화를 바꾸는 계기가 됐다. 1·15 전대 때에는 무려 56만9000여명이 모바일 선거인단에 참여했다.

모바일 선거가 대세가 되면서 그 그늘도 커졌다. 특히 동원선거 폐해가 모바일 투표에서도 반복됐다. 야당이 후보 공천에 모바일 투표를 전면 도입한 지난 4·11총선에선 광주 동구 한 동장이 선거인단 모집과정에서 자살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통합진보당 관악을 선거에 출마했던 이정희 전 공동대표는 모바일 여론조사 조작 사건 때문에 후보를 사퇴했다.

민주당 6·9 대표 경선 때는 일부 유권자가 모바일 투표와 현장 투표에 모두 참여하는 ‘중복투표’ 사건이 벌어졌다. 이 때문에 이번 대선후보경선준비기획단장인 추미애 최고위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6·9 경선은) 모바일 투표 참여가 적은 데다 억지로 호객행위를 하다시피 참여를 유도하다 보니 관리도 느슨하게 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당심과 모바일 투표 결과가 자주 어긋나는 점도 문제다. 국민 참여 증대라는 효과를 거뒀지만 당원·대의원이 “투표해봐야 소용없다”는 인식을 갖게 된 것이다. 본인인증 법적 지원 등 제도 개선도 시급하다. 모바일 투표가 쉽지 않은 이들도 많아 보통·평등선거 원칙에 반하는 결과가 벌어질 수 있고 대리·공개투표를 완벽히 막을 수 없다는 점도 근본적 한계다.

박성준 기자 alex@segye.com



▶ 바로가기
[사람을 만나다-스마트피플] [세계 SNS]
[세계일보 모바일웹] [무기이야기-밀리터리S]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세계일보 & Segye.com

 

 

***

'민주당 수준 이 정도였나'… 국민 짜증지수 돋군 제1야당 경선

 
모바일 투표 방식 문제 제기…손학규 김두관 정세규 울산 경선 불참

[CBS 조은정 기자]


대통령 후보를 선출하겠다는 제1야당, 민주통합당의 경선이 갖가지 불공정 시비와 후보들의 불참으로 파행을 겪으면서 당이 뿌리채 흔들리고 있다.

지난 25일 제주 경선이 끝난 직후 모바일 투표 방식에 문제가 제기된 가운데 손학규, 김두관, 정세균 세 후보들이 다음날 울산 경선을 전원 불참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홀로 경선장에 남은 문재인 후보는 제주에 이어 울산에서도 52.07%의 득표율을 올리며 1위를 차지했지만 승리의 기쁨을 누릴 새도 없어 말 그대로 '상처뿐인 영광'이었다.

이번 문제는 모바일 투표 호명이 랜덤(무작위) 방식이 아닌 기호순으로 진행됐고, 후보들의 이름을 다 듣지 않고 중간에 버튼을 누르면 기권처리되면서 비롯됐다.

네 후보의 이름을 모두 들어야 유효표가 되기 때문에 기호 1, 2, 3번(정세균, 김두관, 손학규 순)보다 기호 4번 문재인 후보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주장이다.

기존 안내 멘트는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로 누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기호순으로 불러드리는 네명의 후보 이름을 모두 들으신 후 그 중 한 명만 선택해주시고 투표 결과를 반드시 확인해주세요"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 선관위는 후보들이 제기하는 문제에 대해 명확한 해명을 하기보다 임기응변식 조치를 취하기 바빴다.

문제가 제기된 24일 밤 선관위측은 "모바일 투표는 각 후보들이 모두 합의한 방식으로 문제가 없다"고 했다가 다음날 오전에 후보들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자 안내 멘트를 수정했다.

경선 중간에 사실상 룰을 바꾸면서도 이에 대한 사과는 없었다.

다음날 후보들의 울산 경선 보이콧 움직임이 가시화되자 당은 2, 3차 조치를 추가로 내놨다. 선관위는 문제가 된 제주와 울산 경선의 재검표를 실시해서 기권으로 처리된 선거인단에 재투표할 기회를 주고 강원 경선은 일단 중단하기로 했다.

급기야는 기호순이 아닌 랜덤순으로 호명 방식을 바꾸기로 해 하루에도 경선룰이 3차례나 바뀌는 황당한 상황이 연출됐다.

하지만 당의 이같은 조치에도 불구하고 세 후보들은 울산 경선의 투표와 개표 작업을 강행한다며 경선장에 끝까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불신과 반목이 뿌리깊게 자리잡은 것이다.

26일 긴급 회동을 통해 사실상 공동 대응에 나선 세 후보는 "새로운 경선관리 체제가 필요하고, 그 경선관리체제에는 후보 측 대표자들이 옵저버가 아닌, 주체로 참여해야 한다"며 선관위 교체를 요구하고 있다.

캠프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친노가 당권을 이용해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고 있다", "통합진보당의 구당권파와 뭐가 다르냐"는 계파 분열적인 말이 스스럼없이 나오는 실정이다.

세 후보들은 현재까지 얻은 것보다는 잃은 것이 많다. 결국 기대했던 이변과 역전은 물 건너갔고, 정당정치에 대한 국민의 실망만 키운 꼴이 됐다.

당도 치명적인 상처를 입기는 마찬가지이다. 후보들을 추스리는데 실패했을 뿐 아니라 룰을 수시로 변경하면서 경선의 신뢰성마저 잃었다.

울산 경선 결과 발표를 강행하면서 후보들과 당 사이에는 '건널 수 없는 강을 건넜다'는 평가도 나온다.

악화일로를 걸으며 당의 근간을 흔들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수습하고, 대선 경선을 정상화시키기 위해서는 이해찬 대표 등 당 지도부와 후보들 사이에 국민을 납득시킬 수 있는 정치적 합의 도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해찬 대표는 제주 경선 전날인 지난 24일 확대간부회의를 통해 "우리 경선이 보다 알차고 감동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한 바 있다.
aori@cbs.co.kr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