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수원특례시의 종합/*기존_ 자료3(수원관련)종합

전통 + 상권… 보존 vs 개발세계문화유산 기로에 서다 =수원화성

전통 + 상권… 보존 vs 개발세계문화유산 기로에 서다 =수원화성
2008.01.09 22:21
http://tong.nate.com/jc5115/42809983
전통 + 상권… 보존 vs 개발세계문화유산 기로에 서다
류설아기자
rsa119@
변화 꿈꾸는 수원 화성
인근에 마구간 설치 볼거리 조성계획

관광·쇼핑 연계 남문주변 활성화 모색

내달 문화재조례 개정안 찬·반 토론회

수원 화성(華城)이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지 올해로 11년째다.
1999년에 시작된 복원사업으로 화성행궁 521칸이 옛모습을 되찾는 등 3천334억원을 들여 모두 135개 사업이 마무리됐다.
앞으로 1조3445억원을 추가로 투입해 화성행궁 앞 광장 복원 등 12개 사업을 벌여 오는 2020년까지 지금과 또 다른 수원 화성을 만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지난해 수원 화성을 놓고 이뤄진 변화와 문화재보호와 인근 주민들의 경제적 욕구 등 충돌하는 가치를 따져 미래를 전망해 본다.

▲ 지역사회와 주민들이 나서다.
1999년에 시작된 수원화성 복원사업은 지난해에도 어김없이 진행됐다.
복원사업하면 공사차량이 지나다니고 기계음이 울려퍼지는 풍경이 연상된다.
그러나 수원 화성의 행궁 뒷길은 전혀 다른 광경이 연출돼 눈길을 끌었다.
행궁 뒷길 주민과 지역사회 시민단체들이 손을 맞잡고 문화재보호구역으로서 그 가치를 훼손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도시환경 재구성에 나섰기 때문이다.
지난해 7월 시민과 시민단체, 지역 예술인들이 뜻을 모아 벌인 '수원 화성 행궁길 가꾸기'사업은 문화재보호구역으로 개발이 제한된 행궁 뒷길을 아름답게 재정비하는 프로젝트였다.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의 화성사업소부터 로데오거리까지의 화성 행궁 뒷길은 그간 문화재보호구역으로 개발에 제약을 받아 오래된 단층 건물이 전부인데다, 밤이면 인적도 드물어 '죽은 거리'로 인식돼 왔다.
특히 남문 시장을 중심으로 활성화를 이뤘던 과거와 달리 상권도 침체돼, 이곳의 입주상인들과 시민들의 개발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행궁길 주민들과 시민단체, 예술인들이 수원시의 지원을 받아 이 거리의 10여개 점포에 문화재 친화적인 이미지를 담은 간판을 설치하는 수원 마을 재구성 프로젝트 '살아나는 거리, 간판에 날개를 달자'를 실시했다.
이들은 또 '10인의 작가가 만드는 행궁가는 길의 삶과 문화전'을 타이틀로 화성행궁 뒷길의 빈점포 8곳을 빌려 전시회와 체험전을 벌이는 등 문화재를 보호하면서 인근 주민들이 생존할 수 있는 방법 모색에 적극 나섰다.
이 사례는 최근 대두되는 공공미술과 문화재보호 등의 요소를 함께 충족시킨 것으로 기록될 만하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한 시민운동가는 "문화재 보존의 중요성을 알면서도 개인이익에 위배되면 불만을 갖게되는 것이 당연지사"라며 "문화재를 보호하면서도 충분히 주민들의 경제적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더 아름다운 문화 거리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전통과 상권, 모두 살려라!
수원천을 둘러싼 전통복원과 상권 활성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화성행궁에서 남문상권의 중심지인 지동교까지 걸리는 시간은 도보로 10여분 정도.
이에 수원시는 화성 관광용 열차의 노선을 확대해 시민의 관심을 모으고 관광객들이 더 많이 들를 수 있도록 주력할 방침이다.
행궁공연 관람을 한 관광객이 관광열차에 탑승해 남문상권의 상가까지 와서 쇼핑투어를 하는 단체관광코스를 만들 경우 매출증대까지 노릴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기 때문.
또 주변에 위치한 작은 갤러리와 전통문화전수관 등을 연계해 관광코스 프로그램을 설정할 경우 숙박은 서울에서 하고 수원은 '들렀다 가는 지점'으로 계획하는 기존의 관광코스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최근 이같은 흐름에 발맞춰 수원천 주변에 대한 복원과 정비도 발빠르게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팔달산 기슭에 36년간 자리를 잡고 있던 강감찬 장군 동상을 옮기기 위한 고유제(告由祭)가 열렸다.
강감찬 장군은 원래 서울 관악구 봉천동 낙성대에서 태어난 인물이지만 1971년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애국조상건립위원회'를 만들어 전국 각 시.군마다 위인의 동상을 세워 정신을 본받도록 지시하면서 연고가 없는 수원의 팔달산에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화성연구회 등 수원 화성 복원에 관심을 둔 지역단체와 시민들의 뜻에 따라 수원시는 12억원을 들여 강 장군 동상을 광교산 입구의 '광교공원'으로 옮기고, 동상 자리에는 수원화성을 지키는 신(神)을 모신 사당인 성신사(城神祠)를 내년 10월까지 복원할 예정이다.
이밖에 지난해 수원시의회는 시에대한 행정감사에서 제기한 수원 화성 인근에 마구간 설치를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조례를 추진, 또 하나의 볼거리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현행 문화재보호법에는 문화재보호구역 내에 가축사육을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때문에 문화재보호구역 내에 불법으로 마구간을 운영한다는 지적을 받은 수원시는 관광객을 위한 볼거리로 운영한 화성 성곽을 도는 기마순라군(옛 화성을 지키는 기마병)을 중단하고 마구간을 철거하기로 했으나 대체 마구간을 확보하지 못했다.
시는 문화재보호구역에서 500m 떨어진 지역에서 관광을 위한 목적으로 가축을 사육할 수 있도록 하는 예외규정을 담은 '수원시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 처리에 관한 조례(안)'을 시의회 상정했다.

▲ 보존 vs 개발, 수원화성을 놓고 벌어진 가치충돌.
경기도는 지난해 문화재 주변 건설공사를 완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문화재보호조례개정을 추진하면서 환경·시민·종교단체 등의 반발을 샀다.
경기도의회 자치위원회 이경천(한·남양주1)의원은 지난해 '경기도문화재 보호조례 중 개정 조례안'을 제출했다.
주요 개정안은 도시지역 중 주거지역· 상업지역·공업지역인 경우 문화재 외곽경계로부터 200m 이내, 녹지지역과 도시구역외 지역 국가지정문화재는 500m, 도 지정문화재는 현행대로 300m를 유지토록 했다.
조례개정의 이유로는 문화재 주변 주민들의 재산권행사다. 이 조례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수년간 개발이 제한됐던 수원 화성 인근에 개발붐이 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문화유산 파괴'를 주장하며 종교계와 환경단체 등의 반대 결의대회가 개최됐다.
비대위는 성명서를 통해 "문화재보호구역을 축소하는 내용의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주변지역 난개발로 문화재에 회복할 수 없는 상처를 입히게 될 것"이라며 "개정안을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도의회 문화공보위원회는 이를 두고 지난해 12월 경기도문화재보호조례개정을 찬성하는 측과 토론회를 개최했고, 올해 2월 찬·반 양측이 함께하는 토론회를 열 계획이다.

/글=류설아기자 blog.itimes.co.kr/rsa119

/사진=김철빈기자 (블로그)naro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