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李도 親朴도 결론은 박근혜 | ||||||
쇄신특위·소장파-박희태 ‘화합형 대표론’ 합의 시한부 휴전 돌입…소장파·민본21 집단행동 중단 | ||||||
| ||||||
‘지도부 사퇴’와 ‘조기 전당대회’를 놓고 극심한 계파간 대립속에 내분 양상으로까지 치닫던 한나라당의 쇄신논의가 돌고 돌아 원점으로 귀결되는 양상이다. 특히 지도부와 친박근혜계의 반대속에서도 쇄신특위에 이어 ‘7인 성명’을 발표한 소장파와 이에 가세했던 ‘민본21’등 친이명박계가 들고나왔던 ‘화합형 대표론’으로 ‘박근혜 대표론’이 합의되면서 친이도 친박도 결론은 박근혜였다는 분석이다. 8일 ‘화합형 대표 추대론’으로 맞붙은 쇄신특위·소장파와 박희태 대표는 ‘박 대표 추대’ 성사를 조건으로 6월 말까지 시한부 휴전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연판장 서명’ 등 집단행동에 들어가기로 했던 ‘7인 성명’의 소장파와 민본21은 이날 집단행동을 일단 중단했다. ‘쇄신파의 반란’에 지도부의 조건부 동의로 ‘8일의 혈투’가 마무리되는 양상이지만, 속내는 더욱 복잡해졌다. ‘친박’ 이정현 의원은 “화합형 대표 추대론이나 조기전대가 아니라 국정쇄신이 본질”이라며 이날 쇄신특위 위원을 전격 사퇴하고, ‘친이재오’계의 좌장 안상수 원내대표는 “전당대회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제한하는 것은 참정권 제한”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결국 ‘박근혜 대표론’의 총론에는 합의하면서도 각 계파의 이해관계가 직결되면서 친이와 친박 모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대체적인 분위기는 대동소이하다. 친이계 김성태 의원은 “화합형 대표 문제는 이명박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풀어야 할 문제”라고 밝혔고, ‘민본21’간사인 김성식 의원은 “‘화합적 전당대회’의 관건은 우선적으로 대통령이 박 전 대표와 국정 동반자 관계를 확립하는 데 있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수차례 ‘원칙과 신뢰의 정치’를 주장해온 친박 의원들도 “선거를 앞둔 1회용 소방수가 아니라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쇄신과 박 전 대표와의 신뢰회복과 동반자 관계 정립이 최우선”이라는 입장이다. 쇄신논의의 종착역에 대한 답은 이미 나와 있는데, 누가 방울 거는 일에 총대를 멜 것인지가 화두다. 결국 ‘2선 후퇴’를 공식 선언한 이상득 의원처럼 친이계와 친박계는 물론 당과 청와대를 오가며 막후 역할을 할 수 있는 ‘또 다른 조정자’에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
|
'▣ ↑파란blog이전(+)됨:약7십만접속 > -기존_자료2 종합(박근혜 前 대통령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의식 여론조사] `차기 대통령` 박근혜 부동의 1위… 유시민 `깜짝 2위` (0) | 2009.06.11 |
---|---|
불편한 양 박 (0) | 2009.06.11 |
6.5 영의포럼 창립 1주년 박근혜님 축사 영상 (0) | 2009.06.10 |
저격당한 육영수 여사 부축했던 탁금선씨 별세 (0) | 2009.06.10 |
[스크랩] 한나라당 박근혜 전대표가 5일 오후 여의포럼 창립1주년 세미나에 (0) | 2009.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