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수원특례시의 종합/*염태영( 前 수원특례시장

[신년 인터뷰] 염태영 수원시장 "지난 11년 시정 중심에 자랑스런 시민있었다"

[신년 인터뷰] 염태영 수원시장 "지난 11년 시정 중심에 자랑스런 시민있었다"

입력 2021-12-31 13:20:28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

염태영 수원시장. /수원시 제공

 

"지난 11년 제 수원시정 중심엔 늘 자랑스러운 시민이 있었습니다."

민선 5·6·7기 수원시를 이끌어 온 염태영 수원시장이 지난 11년 수원시정을 돌아보며 경인일보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염 시장은 지난 수원시장 임기 동안의 자신을 어떻게 표현하겠냐는 질의에 "시민과 함께하는 수원시장이었다"고 답했다. 2010년 처음 수원시장에 취임하며 '휴먼시티 수원'을 만들겠다고 약속한 그는 지금까지 '사람 중심'의 시정을 운영해 왔다고 자부한다.

지난 12년 임기를 되돌아보고 2022년 새해 수원시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염 시장과의 인터뷰로 직접 들어봤다.

다음은 염 시장과의 일문일답.

■지난 11년 수원시정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사업이나 정책은?

지난 11년 돌아볼 때 가장 아쉬운 대목 중 하나는 수원, 화성, 오산의 행정통합 실패다.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한 행정구역 통합 시도에 3개 도시 모두 출발 당시에는 시민 찬성율이 50%를 넘었었다. 하지만 해를 넘기며 통합논의가 막바지에 이르자 지역에서 파열음이 들리며 결국 무산되고 말았다.

3개 도시 행정통합이 중요한 이유는 수원시 뿐 만 아니라 오산, 화성 모두 그 자체로 자족도시로 성장하기에는 뚜렷한 한계가 있다는 점 때문이다. 단체장의 역량으로 넘어설 수 없는 도시 면적, 산업 분포, 자연 생태계의 한계를 3개 도시가 뭉치면 해결할 수 있다. 생활권을 공유하는 지역이 굳이 제각각의 행정체계로 나뉘어 있는 것은 비효율적일 뿐 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행복권을 가로막는 행정 편의주의적 발상이라고 생각한다. 정치적 기득권을 지키려는 이들의 저항도 큰 걸림돌이다.

같은 도시생활권역 내에 있는 중소도시들은 뭉쳐서 규모의 경제를 이루고, 주민들의 자발적인 자치의 영역은 동이나 읍면 단위로 더 잘게 쪼개는 방식으로 행정체계의 개편이 필요하다. 그래야 도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고 본다.

■임기 동안 가장 기억에 남는 인물을 한 명 꼽는다면?

이미 고인이 되셨지만 고 심재덕 시장님이다. 심재덕 전 수원시장님은 내가 수원시장에 당선되기 1년 전, 2009년에 돌아가셨지만 항상 그분이 남기신 유산을 잇고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수원시정을 이끌었다.

내가 수원에서 환경운동센터를 이끌며 시민환경운동을 할 때, 당시 수원시가 추진하던 수원천 복개공사를 반대하며 시민운동을 주도했었다. 심재덕 전 수원시장님은 우리의 요구를 경청하고 당시 30% 정도 공사가 진행되고 있던 복개공사를 원점으로 돌리는 결정을 내렸다. 공공 행정이 시민단체의 요구를 적극 수용해 개발공사를 멈추는 결단은 아무나 쉽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 분의 겸허한 인품과 합리적 태도가 나에게 큰 귀감이 되었다.

광교에 수원 컨벤션센터를 건립한 것도, 심재덕 전 시장님이 수원시의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일찌감치 마이스 산업을 구상하고 계획하셨던 것을 내가 이어받아 실현한 것이다. 또, 그 분이 일생을 거쳐 추진해 오셨던 화장실문화 개선 사업 역시 수원을 넘어 대한민국 화장실 문화를 선진화 하는데 크게 기여하셨다.

나 역시 심재덕 전 시장님의 사업을 도우면서 화장실 개선 사업의 의의에 적극 공감하게 되었고, 지금은 내가 세계화장실협회 회장을 물려받아 그분의 뜻을 이어가고 있다.

■수원시장으로써 지난 11년 간 염태영을 한 마디로 표현한다면?

"시민과 함께하는 수원시장이었다"고 표현하겠다. 2010년 수원시장으로 취임하며 '휴먼시티 수원'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휴먼시티'는 사람이 중심이 되는 도시를 말한다. 우리 시는 시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 시민 참여 제도를 기반으로 '사람 중심 시정운영'을 추진해왔다. 시민 누구나 시정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좋은시정위원회', '500인 원탁토론', '도시정책 시민계획단' 등 다양한 거버넌스 기구·제도를 바탕으로 시민들의 목소리를 시정에 반영하고 있다.

시민 여러분의 참여 덕분에 '휴먼시티'를 만들겠다는 약속을 지키고, 많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지난 10여 년 동안 시장으로 일하면서 '위대한 시민은 위대한 도시를 만든다'는 말을 여러 차례 실감했다. 지난 10년, 시정의 중심에는 늘 자랑스러운 시민이 있었다.

■경기도지사 출마설이 이어지는데 의사가 있나?

지금껏 대한민국을 자치분권국가로 이끌기 위해 전국의 기초정부들과 연대해 왔다. 기초정부들이 공통으로 안고 있는 고민들, 즉 마을만들기, 지방소멸, 재정분권, 복지분권, 탄소중립과 같은 문제들을 전국 의제화 하고 그 해결방법을 찾기 위해 민주당 최고위원이 되는 길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 길이 우리사회를 보다 민주화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끈다는 신념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행보는 이 신념이 이끄는 대로 결정될 것이다. 자치분권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미완의 과제이고, 구체적인 실천의 장에서 그 효능성을 입증해야할 과제이기도 하다. 지금 이 시점에서 어떤 역할, 어떤 자리가 이에 가장 적합하고, 또 나다운 길인지 숙고 중에 있다.

■2022년 수원시 새해 주요시정 방향은?

다가오는 새해 수원시정 첫 번째 목표는 '민생경제의 회복'이다. 코로나19로 장기간 고통을 겪는 소상공인 등 수원시민들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드리겠다. 청년과 여성, 신중년 등 개별적으로 처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맞춤형 일자리를 공급해 일자리 걱정을 덜어내고, 수원페이 인센티브 확대로 골목상권 활력을 더하며, 중소기업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을 촘촘하게 설계할 예정이다.

오는 1월 13일 출발하는 수원특례시를 성공적이고 선도적인 지방자치분권의 모델로 만들어내기 위한 행정적인 뒷받침을 해나가는 것도 수원시정의 주요 목표다. 특례시 출범은 완성이 아닌 시작을 의미한다. 이양받을 특례사무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건의하는 것에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수원시의 미래를 위한 계획도 소홀히 할 수 없다. 새로운 성장의 동력으로 삼을 문화예술과 관광 콘텐츠를 강화에 매진하겠다. 향후 5년간 국비 100억원과 시 예산 100억원 등 총 200억원이 투입되는 문화도시 사업을 시작해 시민과 함께 마을과 지역, 생태를 아우르는 문화도시 구현에 나설 계획이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