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여러가지의 칸 ===/*효(孝) 문화운동

<<효도(孝道)는 최고의 인간경쟁력 >>- 효(孝,Filial piety)세계화운동본부

<<효도(孝道)는 최고의 인간경쟁력 >>- (,Filial piety)세계화운동본부

 

 

2015. 5. 4. ·

"세계최고의 정신문화는 효(孝)이며,인간존중 생산성 경영은 바로 효경영입니다...효경영과 마케팅, 효(孝,filial duty)세계화를 위하여!!

효(孝)를 실천하지 않은 인간들이 아이들과 청소년들 인성교육을 논하는 것은 어불성설 (語不成說)일뿐....."

1996년도에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 시카코대학의 <게리 베커>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한국인은 전통적인 대가족 제도와 효(孝)사상으로 한강의 기적을 이뤄냈다. 앞으로 이 ...두 가치를 잃어버린다면 한국의 재도약은 어려울 것이다.’ 라고.

어찌 보면 그는 우리가 근대화 과정을 밟으면서 잃어버린 것에 대해 가장 정확히 꼬집어 준지도 모른다. 우리가 지금 와서 가장 아파하는 부분이 바로 전통정신의 실종인데, 그가 정곡(正鵠)을 찌른 것이다.

생각해보면 우리는 선진국에 비해서 자원이나 인구, 자본, 기술면에서 불리한 위치에 처해 있다. 외국시장에서 상품의 품질 경쟁에 있어서도 우리 상품의 불량률이 아직도 일본의 3배, 대만의 2배에 달한다.

우리가 외국에 내놓을 수 있는 것은 반도체와 전자제품 등과 아울러 우리의 높은 문화수준인데, 고급의 문화재도 따지고 보면 다 옛날 것이다. 신라금관이나 첨성대-상감청자-팔만대장경이 그렇고, 한글이나 거북선-숭례문-비원-경회루 등이 다 옛날 것이 아니던가.

21세기를 맞은 지금 다른 나라들은 최고 기술과 지식 정보로 승부를 하는데, 우리는 세계시장에 내놓을 게 별로 없다는 말이다. 물론 2003년에 세게 시장에서 1등의 지위에 오른 제 수가 53종에 이르지만 중국은 753종을 차지한다.

그나마 오늘의 국력을 만든 것은 역사와 문화 창조력에 기초한 정신이었다. 남과는 다른 우리만의 독특한 정신문화 말이다.

우리는 안에 있어서 잘 모르고 있지만, 외국에서는 ‘한국의 정신’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그 ‘한국정신’이란 사람과 자연 그리고 하늘을 똑같이 존중하는 얼을 말한다. 서양 사람들은 물질문명을 발달시키느라 자연을 파괴하고, 남의 나라를 침략하여 자원을 빼앗아가고, 심지어 사람들까지 끌고 가 노예로 부려먹곤 했지만, 우리 한국인은 그렇지 않다. 상대방이 누구든 이 세상에서 사람을 가장 존귀한 존재로 보고 존경하며 떠받들어 주는 것이 우리 정신이었다.

그러니까 <게리 베커>교수의 지적이 옳다. 우리는 천지간의 모든 생물과 무생물을 사랑하는 마음 하나로 모든 위기를 이겨내고 반만년 역사를 꾸려온 것이었다. 홍익인간사상이라는 5천년 전래의 정신 역시 인류 모두에게 행복을 안겨주자는 정신이 아닌가.

서양 사람들이 우리나라에 와서 제일 부러워하는 것은 김치 불고기도 파란 가을하늘도 고궁과 민속촌도 아니다. 적어도 물질적인 것은 아니다. 어이없다 할지도 모르지만, 그건 노인을 공경하는 미풍양속이라는 말이 있다. 특히 자식들이 부모를 한집에 모시고 함께 사는 것, 서양 사람들은 그것이 그렇게도 부럽다고 한다.

하얀 머리의 노인이 손자와 더불어 어르고, 집에서 잔일을 거들며, 생활에 있어서 한 중요 멤버가 되어 움직이는 것, 그것이 바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노인들이 바라는 진정한 행복이라는 주장이다.

서양 사람들은 노인복지가 아주 잘되어 있어서 노년이 되면 공원 벤치에 앉아 편안하게 노을을 바라보며 유유자적한다. 우린 그게 참 행복인 줄 알았는데, 그들은 생각이 다르다. 맛좋은 빵과 고기를 먹고, 옷 잘 입고, 잘 쉬고, 아프면 병원 다니며 치료하고 하는 것이 결코 인생에 있어서 행복의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것이다. 비록 의식주는 풍족하지 못해도 3대나 4대 가족이 한데 어울려 대화하고 협동하며 살아가는 것, 그러다가 나이 들어 죽을 때는 차가운 병원 침대에서가 아니라 자식들 팔에 안겨 죽는 것, 바로 그것이 최대 행복 이라는 말이다.

북유럽 노인네들은 겉으로는 참 행복해 보인다. 물질복지가 최고 수준에 이르러 부족함이 없으니까 말이다. 그런데도 그들은 사람이 그립다면서 한국의 노인복지를 인간복지(humanistic welfare), 생애복지(life-long welfare)라고 참말로 부러워들 하고 있다. 사실은 서양 사람들이 말하는 그런 노인공경이나 웃어른 모시기는 우리 사회에서 점점 아득한 전설로 바뀌고 있어서 좀 부끄럽지만 말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노인(숙련인간)을 공경하는 아름다운 전통을 지니고 살았다. 어딜 가든지, 뭘 먹든지, 항상 웃어른을 먼저 생각해왔다.

버스나 지하철을 타도 자리를 노인에게 양보하는 것은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이고 미덕이다. 젊은이들이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것은 누가 해라 마라 해서 하는 것도 아니고, 법에 규정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 그냥 마음 깊은 곳에 자리 잡은 인간의 원초적 정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그런 마음이 없는 사람이라면 그는 한국 땅 어딜 가나 환영받긴 틀린 존재라고 생각한다.

서양 사람들은 산술적인 평등의식이 강하다. 그러니까 나 아닌 모든 대상을 너(you)라고 부른다. 그 대신 우리는 이 세상에서 인간이 가장 존중받아야 할 대상이라는 것을 잘 알지만, 평등에는 숫자적인 것 말고도 다른 질적인 것이 있음을 아는 고급의 민족이다. 평등에는 수적인 문제를 떠나 양적인 평등, 질적인 평등도 있다.

사람이면 그가 누구든 ‘존재’와 ‘생명’이라는 점에서 같은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70년이 넘게 이 사회와 국가를 위해 봉사한 사람과 이제 갓 태어난 아이와는 그 함량이 다르다고 보는 이치를 터득하고 사는 것이 우리 민족이다. 더욱이 저를 낳아준 부모와 그 부모 밑에서 20여 년을 자라는 자녀는 다를 것이다. 그런 이유로 노년세대를 대하는 신세대의 태도와 행동은 각별해야 한다.

효도는 서양의 물질문명이 잊어버린 인간의 경쟁력을 되찾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노희상 선생님-